$\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성인 남녀의 선 자세에서 비예측적 지지면 이동 시체간 안정성과 균형능력 비교
Gender Difference in Trunk Stability and Standing Balance during Unexpected Support Surface Translation in Healthy Adul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2, 2014년, pp.97 - 103  

김민희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유신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윤범철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gender difference during standing balance in accordance with recruitment of abdominal muscles against sudden support surface translation. Methods: Twenty healthy males (n = 10, $26.50{\pm}3.54$ years, $170.60{\pm}6.30c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갑작스런 동요 시 중추신경계는 신체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기저면 내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비수의적 반사기전을 통해 균형을 회복하고자 한다.12 이 과정에서 인체 중심부의 체간 근육(core muscles)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13,14 그 중에서도 복부 근육은 체간 안정화에 역학적인 기여가 높은 것이 밝혀지면서 많은 임상가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 본 연구는 서있는 자세에서 갑작스런 동요가 유발되었을때 안정성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복부근육의 동원패턴에 따라 남녀간의 균형 능력에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갑작스런 지지면의 이동방식은 전세계적으로 균형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표준화된 도구이다.
  •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선 자세에서 남녀의 체간 안정성과 균형능력을 비교해보고자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갑작스런 지지면 이동을 통한 미끄러지는 상황을 연출하여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신체 동요 상황과 유사한 조건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재활 남녀 재활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모든 자료는 Kolmogorov-Smirnov 검정 방법을 사용하여 정규 분포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전략(안정, 할로잉, 브레이싱) X 성별 (남, 여)]에서 그룹간 검정을 통해 성별에 따른 체간 안정성 및 균형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교호작용을 통해 복부수축 조건이 성별에 따른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수준 α는 0.
  • 본 연구의 목적은 복부 수축 패턴이 적용된 신체 동요 시 성별에 따른 체간 안정성과 균형 회복 능력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여성의 신체 활동 시 부상 위험률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을 고려해 볼 때,3 남녀의 균형 특성을 확인하는 것은 그 원인을 추론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여성의 신체 활동 시 부상 위험률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을 고려해 볼 때,3 남녀의 균형 특성을 확인하는 것은 그 원인을 추론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갑작스런 신체 동요 시 남녀 간 체간 안정성 및 균형능력의 차이가 발생하지만, 복부 전략을 사용할 경우 그 차이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선 자세에서 복부 근육 수축 패턴을 적용하고 비예측적으로 지지면을 이동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갑작스런 동요 시 중추신경계는 어떤 판단을 내리는가? 갑작스런 동요 시 중추신경계는 신체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기저면 내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비수의적 반사기전을 통해 균형을 회복하고자 한다.12 이 과정에서 인체 중심부의 체간 근육(core muscles)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13,14 그 중에서도 복부 근육은 체간 안정화에 역학적인 기여가 높은 것이 밝혀지면서 많은 임상가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복부 근육은 무엇으로 분류되는가? 12 이 과정에서 인체 중심부의 체간 근육(core muscles)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13,14 그 중에서도 복부 근육은 체간 안정화에 역학적인 기여가 높은 것이 밝혀지면서 많은 임상가들의 주목을 받아왔다.15-17 복부 근육은 수축 패턴에 따라 복부 심부근의 독립 수축을 유도하는 할로잉(hollowing)과 모든 복부근육을 동시 수축하는 브레이싱(bracing)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안정시의 균형능력 비교 뿐 만 아니라 균형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복부수축의 패턴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함께 확인할 필요하다.
균형회복 능력의 분석을 위해 표식자를 신체의 어느곳에 부착하였는가? 피험자의 신체 분절을 인식하기 위하여 Modified Helen hays marker set에 따라 해부학적 경계점에 부착하였다.18 총 20개의 표식자를 목뼈 7번 가시돌기. 등뼈 7번 가시돌기, 등뼈 12번 가시돌기, 엉치뼈 1번 가시돌기, 전상장골극 양측, 후상장골극 양측에 부착하였으며 지지면 이동 장비의 움직임을 캡쳐하기 위하여 위에 4개의 표식자를 부착하였다. 갑작스런 동요 시 균형 회복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척추 분절의 각 변위와 무게중심점의 선형 변위를 분석하였고 모델링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Masud T, Morris RO. Epidemiology, of falls. Age Ageing. 2001;30(4):3-7. 

  2. Dunlop DD, Manheim LM, Sohn MW et al. Incidence of functional limitation in older adults: the impact of gender, race, and chronic conditions. Arch Phys Med Rehab. 2002;83(7):964-71. 

  3. Malone T, Hardaker W, Garrett W et al. Relationship of gender to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intercollegiate basketball players. J South Orthop Assoc. 1993;2(1):36-9. 

  4. Panzer VP, Bandinelli S, Hallett M. Biomechanical assessment of quiet standing and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Arch Phys Med Rehab. 1995;76(2):151-7. 

  5. Overstall P, Exton-Smith A, Imms F et al. Falls in the elderly related to postural imbalance. Br Med J. 1977;1(6056):261-4. 

  6. Ekdahl C, Jarnlo GB, Andersson SI. Standing balance in healthy subjects. Evaluation of a quantitative test battery on a force platform. Scand J Rehabil Med. 1988;21(4):187-95. 

  7. Era P, Sainio P, Koskinen S et al. Postural balance in a random sample of 7,979 subjects aged 30 years and over. Gerontology 2006;52(4):204-13. 

  8. Maki B, Holliday P, Fernie G. Aging and postural control. A comparison of spontaneous-and induced-sway balance tests. J Am Geriatr Soc. 1990;38(1):1-9. 

  9. Bryant EC, Trew ME, Bruce AM et al. Gender differences in balance performance at the time of retirement. Clin Biomech. 2005;20(3):330-5. 

  10. Kwon MJ, Bae SS, Chen JK. Description of rolling movement between the gender in the twenties. J Korean Soc Phys Ther. 1994;6(1):133-45. 

  11. Bae SS, Park, SO. Gender differences in movement patterns used by teenage to rise from supine to erect stance. J Korean Soc Phys Ther. 1994;6(1):147-53. 

  12. Horak FB, Nashner LM. Central programming of postural movements: adaptation to altered support-surface configurations. J Neurophysiol. 1986;55(6):1369-81. 

  13. Borghuis J, Hof AL, Lemmink KA. The importance of sensory-motor control in providing core stability. Sports Med. 2008;38(11):893-916. 

  14. Leetun DT, Ireland ML, Willson JD et al. Core stability measures as risk factors for lower extremity injury in athletes. Med Sci Sport Exer. 2004;36(6):926-34. 

  15. Arjmand N, Shirazi-Adl A, Parnianpour M. Relative efficiency of abdominal muscles in spine stability. Comput Method Biomec. 2008(3);11:291-9. 

  16. Carpes FP, Reinehr FB, Mota CB. Effects of a program for trunk strength and stability on pain, low back and pelvis kinematics, and body balance: a pilot study. J Bodyw Mov Ther. 2008;12(1):22-30. 

  17. Cholewicki J, Vanvliet Iv JJ. Relative contribution of trunk muscles to the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during isometric exertions. Clin Biomech. 2002;17(2):99-105. 

  18. Yu B. Effect of external marker sets on between-day reproducibility of knee kinematics and kinetics in stair climbing and level walking. Res Sport Med. 2003;11(4):209-18. 

  19. Chanthapetch P, Kanlayanaphotporn R, Gaogasigam C et al. Abdominal muscle activity during abdominal hollowing in four starting positions. Manual Ther. 2009;14(6):642-6. 

  20. Arab AM, Chehrehrazi M. Ultrasound measurement of abdominal muscles activity during abdominal hollowing and bracing in women with and without stress urinary incontinence. Manual Ther. 2011;16(6):596-601. 

  21. Brown LA, Jensen JL, Korff T et al. The translating platform paradigm: perturbation displacement waveform alters the postural response. Gait Posture 2001;14(3):256-63. 

  22. Vera-Garcia FJ, Elvira JL, Brown SH et al. Effects of abdominal stabilization maneuvers on the control of spine motion and stability against sudden trunk perturbations. J Electromyogr Kines. 2007;17(5):556-67. 

  23. Lafond D, Duarte M, Prince F. Comparison of three methods to estimate the center of mass during balance assessment. J Biomech. 2004;37(9):1421-6. 

  24. Tague, RG. Variation in pelvic size between males and females. Am J Phys Anthropol. 1989 Sep;80(1):59-71. 

  25. Gallagher D et al.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effects of age, gender, and ethnicity. J Appl Physiol. 1997;83(1):229-39. 

  26. Kim JW, Eom GM, Kim CS et al. Sex differences in the postural sway characteristics of young and elderly subjects during quiet natural standing. Geriatr Gerontol int. 2010;10(2):191-8. 

  27. Hageman PA, Leibowitz JM, Blanke D. Age and gender effects on postural control measures. Arch Phys Med Rehab. 1995;76(10):961-5. 

  28. Edwards HM. Gender Differences in Balance of College-aged Students. Wichita State University, May 4, 2011. 

  29. De Luca C, LeFever R, McCue M et al. Control scheme governing concurrently active human motor units during voluntary contractions. J Physiol. 1982;329(1):129-42. 

  30. Seo HJ, Kim JH. Analysis of Muscle Activation related to Postural Stability according to Different Frequency of Whole Body Vibration during Quiet Standing. J Korean Soc Phys Ther. 2013;25(5):316-21. 

  31. Kwon Mi, Gak HB, The Comparison of Weight Distribution between the Healthy Persons and Low Back Pain Patients during Standing Posture. J Kor Soc Phys Ther. 1993;5(1):9-15. 

  32. Liu W, Kim SH, Long JT et al.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and the latency of compensatory stepping reactions in humans. Neurosci lett. 2003;336(1):1-4. 

  33. O'Sullivan PB, Phyty GD, Twomey LT et al.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radiologic diagnosis of spondylolysis or spondylolisthesis. Spine. 1997;22(24):2959-67. 

  34. Hides J, Wilson S, Stanton W et al. An MRI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during "drawing-in" of the abdominal wall. Spine, 2006;31(6):E175-8. 

  35. Vera-Garcia FJ, Brown SH, Gray JR et al.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torso coactivation on trunk muscular and kinematic responses to posteriorly applied sudden loads. Clin Biomech. 2006;21(5):443-55. 

  36. Fitzpatrick RD, McCloskey. Proprioceptive, visual and vestibular thresholds for the perception of sway during standing in humans. J physiol. 1994;478(1):173-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