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분동적해석과 붕괴성능평가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and Collapse Capacity Assessment 원문보기

전산 구조 공학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7 no.2, 2014년, pp.26 - 34  

양원직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박진영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EMA P695의 방법론은 기존의 지진력 저항시스템이나 새로 제안되는 지진력 저항시스템의 붕괴성능을 증분동적해석(Incremental Dynamic Analysis)을 이용하여 평가함으로서 그 시스템에 부여할 내진성능계수(반응수정계수, 강도 초과계수, 변위증폭계수)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방법론 안에 수록된 붕괴성능평가방법은 독립적으로 붕괴성능평가의 목적만으로 사용되기에 충분하다.
  • 하지만 ACMR10%, ACMR20%의 산정에 있어서 필요한 불확실성 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엔지니어의 판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FEMA P695의 방법론을 처음 사용하는 연구자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두 방법론의 적용에 어려움을 줄이고자 본 기사에서는 국내, 국외의 다양한 문헌에서 FEMA 355F와 FEMA P695의 방법론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여 연구자가 겪는 어려움을 줄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기사에서는 증분동적해석의 소개와 증분동적 해석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붕괴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증분동적해석의 기본개념 및 붕괴점 판단기준을 기술하였다.
  • 이러한 증분동적해석을 유용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증분동적해석 절차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가지 지반운동기록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단일 증분동적 해석과 여러개의 지반운동기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다중증분동적해석(Multi Incremental Dynamic Analysis)을 세분하여 설명함으로서 전반적인 원리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붕괴점 판단기준의 설명을 통해 해석절차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 ACMR10%과 ACMR20%는 FEMA P695의 Chapter7에 제시된 Table7-3에 의해 평가된다. 본 기사는 지진력 저항시스템의 붕괴성능을 평가하여 내진성능계수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특정 구조물의 붕괴성능평가가 목적이므로 표본 건물군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상구조물의 ACMR은 ACMR10%보다 커야 한다.
  • 3장에서는 증분동적 해석의 해석 알고리즘을 기술하였고, 4장에서는 붕괴성능 평가 기준인 FEMA 355F와 FEMA P695의 방법론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본 기사를 통하여 증분동적해석을 이용한 붕괴성능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 본 기사에서는 증분동적해석에 대한 소개와 증분동적해석수행의 효율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유용한 해석 알고리즘인 Hunt & Fill 알고리즘을 소개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예외의 경우가 있다. 그림 2(b)에서의 증분동적해석곡선은 지진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최대층간 변위각이 항상 같이 증가하지는 않는다. 증분동적 해석 곡선의 기울기가 초기 탄성기울기의 20%가 되더라도 이후에 증분동적해석 곡선이 붕괴되는 양상을 보이지 않고 더 가파른 기울기를 가진다면 그 점은 붕괴점으로 보지 않는다.
  • 첫째, 표본 건물군에서의 평균 ACMR이 붕괴확률 10%를 나타내는 ACMR10% 이상일 것(평균 붕괴확률이 10%이하일 것). 둘째, 표본건물 각기의 ACMR이 붕괴확률 20%를 나타내는 ACMR20% 이상일 것(개별 붕괴 확률이 20% 이하일 것). ACMR10%과 ACMR20%는 FEMA P695의 Chapter7에 제시된 Table7-3에 의해 평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분 동적해석이란? 하지만 증분 동적해석은 지진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구조물의 응답을 관찰하므로 특정한 재현주기를 가지는 지진, 최대지반운동가속도 또는 구조물 고유주기에서의 스펙트럴 가속도에서의 대한 구조물 성능을 기술할 수 있다. 그리고 확률기반의 요구성능과 보유붕괴성능을 제시할 수 있어 근래에 그 필요성이 강조되는 성능기반지진공학(Performance Based Earthquake Engineering)에서 구조물의 붕괴성능 평가 시 매우 유용한 해석방법이다.
비선형 동적해석이란? 기존의 비선형 동적해석은 지반운동기록을 이용하여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함으로서 구조물의 응답을 도출하고 구조물의 성능을 판단할 수 있었다. 다양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지반운동을 사용할수록 구조물이 지진시 경험할 동적응답을 더 잘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진파의 종류에 대한 응답의 변화나 통계적 편차 등을 고려할 수는 있으나 지진파의 강도변화에 따른 구조물응답 및 거동의 변화는 고려할 수 없었다.
기존의 비선형 동적해석의 한계점은? 다양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다수의 지반운동을 사용할수록 구조물이 지진시 경험할 동적응답을 더 잘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진파의 종류에 대한 응답의 변화나 통계적 편차 등을 고려할 수는 있으나 지진파의 강도변화에 따른 구조물응답 및 거동의 변화는 고려할 수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ertero V. V. (1977)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ies of buildings under extreme environments. In Structural Engineering and Structural Mechanics, Pister KS (ed.).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pp.211-215. 

  2. Vamvatsikos, D. and Cornell, C. A. (2001)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31, pp.491-514. 

  3. FEMA 350 (2000) Recommended Seismic Design Criteria for New Steel Moment - Frame Building,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4. Foutch D. A. and Yun S. Y. (2002) Modeling of steel moment frames for seismic load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 58(5-8), pp.529-564. 

  5. ASCE/SEI 7-10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2010)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 FEMA 355F. (2000) State of the Art Report on Performance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Steel Moment - Frame Building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7. 김태완, 김진구. 철근 콘크리트 특수 모멘트 골조 건물의 내진성능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제11권, 제2호, 2007. 

  8. 변태우, 김태완, 김진구. 플랫플레이트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 한국건축학회 논문집, 제23권, 제8호, 2007. 

  9. Cornell, C. A., Jalayer, F., Hamburger, R. O. (2002) Probabilistic Basis for 2000 SAC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Steel Moment Frame Guideline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28, No. 4, pp. 536-533. 

  10. FEMA P695. (2009) Quantification of Building Seismic Performance Factors,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11. 이준호, 강헌구, 이민희, 김진구, FEMA P695를 이용한 격간벽구조의 내진성능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제16권, 제3호, 2012. 

  12. 한아름, 김태완, 유은종, FEMA P695를 이용한 국내 저층 철골 중간모멘트골조의 반응수정계수 제안,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제18권, 제1호, 2014. 

  13. 문기훈, 한상환, 하성진, 접합부 회전성능에 따른 중간 철골 모멘트 골조의 내진 성능 평가 - I 성능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제18권, 제2호, 2014. 

  14. Zareian, F., Lingos D. G., Krawinkler H. (2010) Evaluation of seismic collapse performance of steel special moment resisting frames using FEMA P695 (ATC-63) methodology, Structures Congress 2010, pp.1275-1286. 

  15. Shafei B, Zareian F, Lignos D. G. A simplified method for collapse capacity assessment of moment-resisting frame and shear wall structural systems. (2011) Engineering Structures, Vol33, pp.1107-1116. 

  16. Chen, C. and Mahin, S. (2010) Seismic Collapse Performance of Concentrically Steel Braced Frames. Structures Congress 2010: pp.1265-12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