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 조명 조도가 스마트폰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ixel density, sub-pixel structure, luminance, and illumination on legibility of smartphone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7 no.3, 2014년, pp.3 - 14  

박종진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이형철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김신우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년 아이폰의 국내 출시 이후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여 기존에 다양한 장비로 수행되어 오던 작업이 스마트폰으로 대체되었다. 이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을 통하여 글자를 읽는 과제를 수행하는 비중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인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요인(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과 환경 요인(조명 조도)이 글자를 읽을 때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화소 밀집도로, 화소 밀집도가 300 PPI미만인 경우 글자를 읽는데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명 조도는 제한적인 영향을 보였다. 참가자들은 조명 조도가 변화 할 때 변화하지 않을 때 보다 더 큰 가독성 관련 불편감을 보고하였다. 화소 하부구조와 밝기는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가독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에서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해상도의 하한선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domestic introduction of iPhone in 2009, use of smartphones rapidly increased and many tasks, previously performed by various devices, are now performed by smartphones. In this process the importance of reading little text using small smartphone screen has become highly significant. This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가독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여러 특성(화소 밀집도, 화소하부구조, 휘도, 조명) 중 실제로 가독성의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가독성의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수준을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특성을 가진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인간의 지각적 능력을 측정한 결과를 응용하면 하드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자를 고려한 기술 개발이 어떤 방향을 가져야 하는지에 그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특정한 과제(즉, 글자 읽기)를 수행할 때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특성과 사용자의 지각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와 인간의 인지 및 지각 능력에 대한 기존 연구 내용을 결합하면 화면의 밝기를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기술의 방향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 조명 조도 조건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글자를 읽을 때 나타나는 불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를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특성 요인이 가독성 관련 불편감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실험을 통하여 달성하려면 연구의 관심 요인을 제외한 다른 모든 요인을 효과적으로 통제하여야 한다.
  • 실험 1은 저 밀집 / 화소 하부 구조 요인 실험으로, 서로 다른 수준의 화소 하부 구조를 가지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림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두 디스플레이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은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으며 통계적인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디스플레이 A 3.
  • 실험은 관심 요인 및 디스플레이 특성에 따라 총 4회에 걸쳐 이루어졌다(표 4). 실험 1은 화소 하부 구조 차이에 따른 가독성 관련 불편감을 측정하고자 하였다(저 밀집 / 화소 하부 구조 요인 실험). 실험 2는 화소 밀집도에 차이에 따른 가독성 관련 불편감을 측정하고자 하였다(화소 밀집도 요인 실험).
  • 47)실내에서 두 디스플레이 C와 D에 제시된 글자를 읽는 것이 불편하지 않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얻었다. 실험 3은 휘도 / 조명 요인 실험으로 여러 휘도 수준을 가지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경험적으로 지각된 밝기는 조명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므로, 이 실험에서는 디스플레이 B, C, D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을 조명 조건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 하드웨어의 물리적 발전이 점차적으로 한계에 다다르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기술을 어떤 방향으로 개발해야 하는지 그 기준을 사용자로 삼으려면 장치를 사용하면서 수행하는 과제에 대하여,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인간의 지각을 측정하는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모바일 디스플레이 설계 및 사용을 위한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가독성 관련 불편감 진술문 획득 단계에서는 실제 사용 환경에서 유발되는 불편감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다양한 크기와 대비를 가지는 실험용 글자 자극(그림 1)과 실제 사용 화면을 캡쳐한 화면 자극(그림 2)을 사용하였다. 그림 1에서 제시된 자극들은 다양한 글자 크기와 글자 색과 배경의 대비가 주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며, 특히 전자책과 같이 아무것도 없는 배경에 글자만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구성하였다. 그림 2에서 제시된 실제 사용 예는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웹 사용 화면에서 글자를 읽는 경우를 가정하여 구성한 자극 세 가지에, 추가로 글자를 읽는 것을 잠재적으로 방해할 수 있는 배경을 포함한 지도 앱 사용 환경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에 의하여 대채된 전자기기는 무엇이 있는가? 스마트폰 사용이 확산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다양한 목적의 디지털 기기가 스마트폰으로 통합하게 되었는데, 이는 스마트폰이 개인화된 휴대용 컴퓨터이면서 통신 기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은 기존에 존재하던 다양한 디지털기기(MP3 플레이어, 전자책 리더기, 전자 사전, 데스크탑 컴퓨터 등)가 스마트폰에 의하여 대체되었다는 스마트폰 사용 현황 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스마트폰 보급이 급격히 증가한 시기는 언제인가? 2009년 애플 아이폰의 국내 출시 이후로 스마트폰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런 추세는 계속 이어져 2014년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은 일상적인 일이 되었다.
일상적인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요인(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과 환경 요인(조명 조도)이 글자를 읽을 때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인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 디스플레이 요인(화소 밀집도, 화소 하부구조, 휘도)과 환경 요인(조명 조도)이 글자를 읽을 때의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주로 화소 밀집도로, 화소 밀집도가 300 PPI미만인 경우 글자를 읽는데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명 조도는 제한적인 영향을 보였다. 참가자들은 조명 조도가 변화 할 때 변화하지 않을 때 보다 더 큰 가독성 관련 불편감을 보고하였다. 화소 하부구조와 밝기는 가독성 관련 불편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가독성을 고려할 때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에서 가독성을 해치지 않는 해상도의 하한선을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Bababekova, Y., Rosenfield, M., Hue, J. E., & Huang, R. R. (2011). Font size and viewing distance of handheld smart phones. Optometry & Vision Science, 88(7), 795-797. 

  2. Colombo, E. M., Kirschbaum, C. F., & Raitelli, M. (1987). Legibility of texts: The influence of blur. Lighting Research and Technology, 19(3), 61-71. 

  3. Hirsch, J., & Curcio, C. A. (1989). The spatial resolution capacity of human foveal retina. Vision research, 29(9), 1095-1101. 

  4. Hollins, M., & Alpern, M. (1973). Dark adaptation and visual pigment regeneration in human cones. The Journal of general physiology, 62(4), 430-447. 

  5. Krantz, J. H., Silverstein, L. D., & Yeh, Y. Y. (1992). Visibility of 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s under dynamic lighting conditions. Human Factors: The Journal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34(5), 615-632. 

  6. Lim, J Y, Yoo, J Y, Jang, S J, Kim, M Y & Yoo, J M. (2012). Pattern of smartphone usages report 2012 (2012년 스마트폰이용실태조사),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and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7. Martin, D. W. (2007). Doing psychology experiments (5th ed.). Belmont,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8. Shieh, K. K., & Lin, C. C. (2000). Effects of screen type, ambient illumination, and color combination on VDT visual performance and subjective prefer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6(5), 527-536. 

  9. Stroop, R. J. (1935). Studies of interference in serial verbal reac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8, 643-662. doi:10.1037/h0054651. 

  10. Technology - The PenTile vision (2014). Retrieved May 12, 2014, from http://www.nouvoyance.com/technology-oled.htm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