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단백질 폴딩 반응에 끼치는 영향
Contribution of Electrostatic Interactions to Protein Folding Reaction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8 no.6, 2014년, pp.560 - 568  

김대원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교실, 구강과학연구소) ,  박순호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교실, 구강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백질 폴딩 반응에서 정전기적 상호작용의 역할을 라이신 29를 알라닌으로 치환한 변이 유비퀴틴을 사용하여 탐색하였다. 유비퀴틴의 입체구조에서 라이신 29의 곁사슬글루탐산 16과 아스파르산 21의 곁사슬과 근접한 거리에 있어서 곁사슬끼리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하여서 삼차원 입체구조를 안정화시킬 것으로 예측되었다. 라이신을 알라닌으로 치환하여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제거하였을 때 유비퀴틴의 native state의 구조적 안정성이 ~20% 감소한 점은 라이신 29에 의한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단백질 삼차구조의 안정성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폴딩 반응의 진행 과정을 stopped-flow 장치로 측정한 folding kinetics 실험은 이전에 관찰된 것과 마찬가지로 unfolded state에서 native state로 진행하는 과정에 중간단계를 거치는 three-state on-pathway 메커니즘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라이신 29에 의한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중간단계의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정도가 native state의 구조적 안정성에 기여하는 정도의 ~5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비퀴틴 폴딩의 중간단계의 구조도 라이신 29에 의한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상당히 안정화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단백질 삼차원 입체구조의 골격이 완성된 폴딩의 마지막 단계에 형성되어 단백질 native state의 안정성에만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단계가 형성되는 폴딩 반응의 초기에도 형성되어 폴딩 반응을 이끌어가는데도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ntribution of electrostatic interactions to protein folding reaction was studied by using mutant ubiquitin with lysine to alanine mutation at residue position 29. Based on the three dimensional structure of ubiquitin, lysine 29 is located close to negatively charged glutamate 16 and aspart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 중에서 Figure 1에서 보듯이 29번째 위치에 있는 라이신(K29)은 16번째 위치에 있는 글루탐산(E16)과 21번째 위치에 있는 아스파르트산(D21)과 삼차원 입체구조에서 서로 가까이 위치하여서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할 것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29를 전하를 띠지 않는 곁사슬을 가진 아미노산인 알라닌으로 치환하여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단백질 폴딩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더욱이 K29의 곁사슬은 상당부분이 용액에 노출되어 있어서 정전기적 상호작용 외에 다른 비공유결합은 그리 많이 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알라닌으로 치환할 시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잃는 것 외에 다른 비공유결합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여겨졌다.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 폴딩 반응을 연구하기에 적절한 모델이 되며 또한 폴딩 반응 메커니즘이 비교적 잘 알려진 WT* 유비퀴틴을 기반으로 하여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을 전하를 띠지 않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변이 유비 퀴틴 단백질을 제조하여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단백질 삼차원 구조의 안정성 및 형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단백질 삼차구조를 안정화시키는 비공유결합의 일종인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폴딩 반응 과정에서의 역할은 어떠한지 탐색하는데 유용한 정보를줄 것으로 기대된다.
  • 따라서 정전기적 상호작용은 단백질의 삼차원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인 폴딩 반응의 초기에 형성되어 폴딩 반응을 이끌어가는 역할을 할 수 있거나 또는 삼차원 입체구조의 골격이 다른 비공유결합에 의하여 거의 이루어진 다음에 형성되어 단백질 폴딩 반응을 이끌어가지는 않고 단지 삼차원 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역할만 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유비퀴틴 단백질의 폴딩 반응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탐구하여 보았다.
  • 정전기적 상호작용의 단백질 폴딩 과정에서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백질 폴딩 반응을 연구하는데 모델 단백질로 자주 사용되었던 유비퀴틴 단백질의 삼차원 입체구조16를 관찰하였다. 유비퀴틴 단백질은 76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매우 작은 단백질로서 양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인 라이신과 아르기닌 잔기가 각각 7 개와 4 개, 음전하를 띠는 아스파르트산과 글루탐산 잔기가 각각 5개와 6 개가 있어서 이들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들이 유비 퀴틴의 표면에서 서로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하고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가설 설정

  • WT* 유비퀴틴의 guanidinium chloride에 의한 폴딩 실험에서 Khorasanizadeh et al.도 중간 단계를 발견하였고 중간 단계가 unfolded state에서 native state로 진행하는 경로 상에 존재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여 three-state on-pathway 폴딩 메커니즘(Scheme 1) 이 three-state off-pathway 메커니즘이나 three-state triangular 메커니즘보다 더 적합하다고 해석하였다.5 이들은 three-state on-pathway 메커니즘(Scheme 1)에 입각하여 계산한각 elementary 반응의 상수들은 guanidinium chloride를 변성 제로 사용한 WT* 유비퀴틴의 폴딩 반응을 stopped-flow 장치로 관찰하여 얻은 속도 상수와 진폭을 잘 묘사하는 반면 off-pathway 메커니즘은 그리 잘 묘사하지 않으며, 또한 triangular 메커니즘은 on-pathway 메커니즘이나 off-pathway 메커니즘으로 환원될 수 있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 이 가정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kUIo와 mUI‡를 각각 1.0 ×104 sec−1와 0으로 가정하였고, mIN‡도 거의 0에 가깝다는 이들의 경험적 발견을 차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백질 폴딩 반응이란? 단백질의 삼차원 입체구조(three-dimensional structure, native structure, native state)가 형성되는 과정인 단백질 폴딩(protein folding) 반응은 단백질의 native state를 안정화 시키는 여러 가지 결합들이 누적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1,2 이들 결합 중 단백질의 native state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결합은 주로 비공유결합으로 수소결합(hydrogen bond),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 반데르발스 결합(van der Waals interaction), 그리고 정전기적 상호작용(electrostatic interaction)이 있다.
WT* 유비퀴틴이 단백질 삼차원 구조 안정성 및 형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 폴딩 반응을 연구하기에 적절한 모델이 되며 또한 폴딩 반응 메커니즘이 비교적 잘 알려진 WT* 유비퀴틴을 기반으로 하여 전하를 띠는 아미노산을 전하를 띠지 않는 아미노산으로 치환한 변이 유비퀴틴 단백질을 제조하여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단백질 삼차원 구조의 안정성 및 형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 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단백질 삼차구조를 안정화시키는 비공유결합의 일종인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폴딩 반응 과정에서의 역할은 어떠한지 탐색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단백질의 native state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결합은? 단백질의 삼차원 입체구조(three-dimensional structure, native structure, native state)가 형성되는 과정인 단백질 폴딩(protein folding) 반응은 단백질의 native state를 안정화 시키는 여러 가지 결합들이 누적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1,2 이들 결합 중 단백질의 native state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결합은 주로 비공유결합으로 수소결합(hydrogen bond), 소수성 상호작용(hydrophobic interaction), 반데르발스 결합(van der Waals interaction), 그리고 정전기적 상호작용(electrostatic interaction)이 있다. 수소결합은 극성 원자 사이에 수소 원자가 위치할 때 생성되며 펩티드 결합의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 사이에서 주로 형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P. S.; Baldwin, R. L. Annu. Rev. Biochem. 1982, 51, 459. 

  2. Kim, P. S.; Baldwin, R. L. Annu. Rev. Biochem. 1990, 59, 631. 

  3. Wintrode, P. L.; Makhatadze, G. I.; Privalov P. L. Proteins 1994, 18, 246. 

  4. Khorasanizadeh, S.; Peters, I. D.; Butt, T. R.; Roder, H. Biochemistry 1993, 32, 7054. 

  5. Khorasanizadeh, S.; Peters, I. D.; Roder, H. Nat. Struct. Biol. 1996, 3, 193. 

  6. Park, S.-H. J. Biochem. Mol. Biol. 2004, 37, 676. 

  7. Pace, C. N.; Shirley, B.A.; Thomson, J. A. In Protein Structure, a Practical Approach; Creighton, T. E.,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England, 1990; p 311. 

  8. Gill, S. C.; von Hippel, P. H. Anal. Chem. 1989, 182, 319. 

  9. Schellman, J. A. Biopolymers 1978, 17, 1305. 

  10. Pace, C. N. Methods Enzymol. 1986, 131, 266. 

  11. Peterman, B. F. Anal. Biochem. 1979, 93, 442. 

  12. Tanford, C. Adv. Prot. Chem. 1970, 24, 1. 

  13. Mathews, C. R. Methods Enzymol. 1987, 154, 498. 

  14. Chen, B.; Baase, W. A.; Schellman, J. A. Biochemistry 1989, 28, 691. 

  15. Bachmann, A.; Kiefhaber, T. In Protein Folding Handbook, Part I; Buchner, J., Kiefhaber, T., Eds.; WILEYVCH: Weinjeim, Germany, 2005; p 379. 

  16. Vijay-Kumar, S.; Bugg, C. E.; Cook, W. J. J. Mol. Biol. 1987, 194, 531. 

  17. Baldwin, R. L. Fold. Des. 1996, 1, R1. 

  18. Tanford, C. Adv. Prot. Chem. 1970, 24, 1. 

  19. Shortle, D. Adv. Prot. Chem. 1995, 46, 217. 

  20. Myers, J. K.; Pace, C. N.; Scholtz, J. M. Protein Sci. 1995, 4, 2138. 

  21. Wolynes, P. G.; Onuchic, J. N.; Thirumalai, D. Science 1995, 267, 16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