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상 및 벽면녹화용 지피식물의 내한성 비교
Cold Tolerance of Ground Cover Plants for Use as Green Roofs and Wall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2 no.5, 2014년, pp.590 - 599  

류주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이효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김철민 (한국도시녹화(주)) ,  정현환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  김기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옥상 및 벽면 녹화에 이용되고 있는 Orostachys japonica와 Sedum oryzifolium, S. kamtschaticum 'SG1', S. reflexum, S. rupestre 'Blue Spruce', S. spurium 'Green Mental', S. takesimense 등 일곱 가지 지피식물의 내한성을 비교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각 식물체의 내한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10cm 포트에 심은 식물체와 정단부, 관부의 1g 단편 조직을 준비하였고, 10cm 포트 식물체는 명 상태에서, 1g 단편 조직은 암 상태에서 저온 처리를 하였다. 초겨울의 온도변화를 산정하여 처리온도는 0, -4, -8, -12, -16, $-20^{\circ}C$로 정하였고, $0^{\circ}C$부터 시간당 $2^{\circ}C$씩 낮추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내한성 비교는 저온피해도 조사와 재생평가, 치사온도 예측값으로 시행하였다. 저온피해도 조사와 재생률은 생육 정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고, 치사온도는 전해질 용출량의 변화를 통해 예측하였다. 정단부의 치사온도 범위는 $-8.24^{\circ}C{\sim}-12.31^{\circ}C$로 산출되었고, 관부의 치사 온도 범위는 $-10.91^{\circ}C{\sim}-14.23^{\circ}C$로 산출되어 정단부보다 관부가 내한성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단부의 내한성은 S. reflexum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S. oryzifolium과 S. takesimense는 온도변화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률 또한 S. reflexum이 $-20^{\circ}C$에서도 생존하여 내한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단부의 내한성과는 다르게 S. oryzifolium도 $-16^{\circ}C$에서 생존하여 높은 재생률을 보였다.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옥상 및 벽면녹화를 할 경우에는 이러한 결과들을 참고하여 식물을 선정하거나 시기를 조정하여 식재하면 안정적인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old tolerance of seven ground cover species, Orostachys japonica, Sedum oryzifolium, S. kamtschaticum 'SG1', S. reflexum, S. rupestre 'Blue Spruce', S. spurium 'Green Mental', and S. takesimense, which have been used for green roof and wall systems in Kor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옥상 및 벽면 녹화에 이용되고 있는 Orostachys japonica와 Sedum oryzifolium, S. kamtschaticum ‘SG1’, S. reflexum, S. rupestre ‘Blue Spruce’, S. spurium ‘Green Mental’, S. takesimense 등 일곱 가지 지피식물의 내한성을 비교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 이 연구는 현재 옥상 및 벽면녹화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바위솔을 비롯한 6가지 세덤류들이 갑작스런 저온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피해 정도와 이후 재생되는 정도를 조사하여 각 초종 간의 내한성을 비교하고, 전해질 용출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내한성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옥상 및 벽면녹화는 어떻게 여겨지고 있나? 옥상 및 벽면녹화는 도시녹화의 한 분야로 녹지공간의 부족에 따른 도심 내 생태적 불균형의 문제를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기후조절과 같은 환경적 기능과 시민들의 휴식 및 레크리에이션 공간 제공이라는 이용적 측면에서 그 필요성과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Huh and Shim, 2000; Kim et al., 2010; VanWoert et al.
식물체에 온도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가? 식물체에 온도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세포막의 반투과성이 손실되어 식물 세포 내의 전해질이 용출된다(Sharom et al., 1994).
저토심 경량형 녹화기술에 어떤 식물이 이용되고있는가? 이 중 저토심 경량형 녹화기술에 대한 연구와 기술개발이 많이 진행되었고(Huh et al., 2003a, 2003b; Kim, 2006; Kim and Huh, 2003;), 이와 더불어 저토심 경량형의 옥상 및 벽면녹화지 조성에 유지관리가 쉬운 식물소재로서 내한성, 내서성, 내건성 등의 환경내성이 강하고 척박한 토양에서 양호한 생육상태를 보이는 Orostachys속과 Sedum속 식물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Kim, 2006; Lee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ivin, M.A., M.P. Lamy, A. Gosselin, and B. Dansereau. 2001. Effect of artificial substrate depth on freezing injury of six herbaceous perennials grown in a green roof system. HortTechnology 11:409-411. 

  2. Burr, K.E., R.W. Tinus, S.J. Wallner, and R.M. King. 1990. Comparison of three cold hardiness tests for conifer seedlings. Tree Physiol. 6:351-369. 

  3. Cardona, C.A., R.R. Duncan, and O. Lindstrom. 1997. Low temperature tolerance assessment in Paspalum. Crop Sci. 37: 1283-11291. 

  4. Green Seoul Bureau. 2011. 2011 policy materials - Green roof projec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Korea. 

  5. Huh, K.Y. and K.K. Shim. 2000.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soils used alone or in a blend with field soil for the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 J. Kor. Inst. Landscape Arch. 28:28-38. 

  6. Huh, K.Y., I.H. Kim, and H.C. Kang. 2003a. Effects of artificial substrate type, soil depth, and drainage type on the growth of Sedum sarmentosum grown in a shallow green rooftop system. J. Kor. Inst. Landscape Arch. 31:102-112. 

  7. Huh, K.Y., I.H. Kim, and N.H. Ryu. 2003b. Effects of substrate type, soil depth, and drainage type on the growth of Sedum kamtschaticum in extensive green roof systems. J. Kor. Inst. Landscape Arch. 31:90-100. 

  8. Iles, J.K. and N.H. Agnew. 1995. Seasonal cold-acclimation patterns of Sedum spectabile ${\times}$ S. telephium L. 'Autumn Joy' and Sedum spectabile Boreau. 'Brilliant'. HortScience 30:1221-1224. 

  9. Kim, I.H. 2006. Development of shallow-extensive green roof system for urban greening.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Korea. 

  10. Kim, I.H. and K.Y. Huh. 2003. Growth characteristics of Sedum oryzifolium in extensive green roof systems. Kor. J. Hort. Sci. Technol. 21:346-352. 

  11. Kim, I.H., K.Y. Huh, and M.R. Huh. 2010. Cold tolerance assessment of Sedum species for shallow-extensive green roof system. Kor. J. Hort. Sci. Technol. 28:22-30. 

  12. Kingsland, S.E. 1995. Modeling na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USA. 

  13. Lee, S.A., Y.M. Ha, and I.S. Han. 2009. A selection of Korean native Sedum spp. For evergreen ground covers of the central districts of Korea. J. Kor. Inst. Landscape Arch. 37:90-97. 

  14. Lee, S.H., S.G. Yun, S.B. Back, and H.G. Park. 1991. Comparison of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of logistic and eibull functions to predict cumulative germination of grasses under osmotic water stress. J. Korean Grassl. Sci. 11:209-214. 

  15. Maier, F.P., N.S. Lang, and J.D. Fry. 1994. Evaluation of an electrolyte leakage technique to predict St. Augustinegrass freezing tolerance. HortScience 29:316-318. 

  16. Monterusso, M.A., D.B. Rowe, and C.L. Rugh. 2005. Establishment and persistence of Sedum spp. And native taxa for green roof applications. HortScience 40:391-396. 

  17. Okeyo, D.O., J.D. Fry, D. Bremer, C.B. Rajashekar, M. Kennelly, A. Chandra, D.A. Genovesi, and M.C. Engelke. 2011. Freezing tolerance and seasonal color of experimental zoysiagrasses. Crop Sci. 51:2858-2863. 

  18. Qian, Y.L., S. Ball, Z. Tan, A.J. Koski, and S.J. Wilhelm. 2001. Freezing tolerance of six cultivars of buffalograss. Crop Sci. 41:1174-1178. 

  19. Sharom, M., C. Willemot, and J.E. Thompson. 1994. Chilling injury induces lipid phase changes in membranes of tomato fruit. Plant Physiol. 105:305-308. 

  20. VanWoert, N.D., D.B. Rowe, J.A. Anderson, C.L. Rugh, and L. Xiao. 2005. Watering regime and green roof substrate design affect Sedum plant growth. HortScience 40:659-664. 

  21. Von Seggern, D. 1993. Standard curves and surfaces: A mathematica notebook: User's Guide. CRC Press, Boca Raton, FL. 

  22. Williams, N.S.G., R.E. Hughes, N.M. Jones, D.A. Bradbury and J.P. Rayner. 2010. The performance of native and exotic species for extensive green roofs in Melbourne, Australia. Acta Hort. 811:689-696. 

  23. Zhao, H.X., H. Li, H.J. Son, and T.H. Kang. 2012. Cold tolerance assessment of ever ground-cover plants for extensive green roof system. J. Kor. Inst. Landscape Arch. 40:127-134. 

  2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Monthly weather report. http://www.kma.go.kr/weather/-climate/data_monthly.js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