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진강 하구역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ies in Seomjin River Estuary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9 no.4, 2014년, pp.243 - 255  

강성효 (한국수자원관리공단 수산자원연구소) ,  이정호 (안양대학교 해양바이오시스템공학과) ,  박성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신현출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섬진강 하구역에서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 및 환경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2년 4월부터 2013년 2월까지 24개의 정점을 대상으로 소조시 만조 때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질환경요인으로 염도, 수온, 용존산소, pH 등을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지역은 세 해역으로 구분하였다. 각 정점별 환경 특성 차이에 따라 Saline Water Zone(SWZ), Brackish Water Zone(BWZ), Fresh Water Zone(FWZ)으로 정의하였다. SWZ은 대개 30 psu를 상회하였으며, BWZ에서는 염도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FWZ에서는 거의 0 psu를 보였다. SWZ에서는 수온의 계절 변동이 가장 적었으며, DO는 가장 낮은 값을, pH는 시공간적 변동이 거의 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반면 FWZ에서는 수온의 계절 변동이 심하였으며, DO는 가장 높은 값을, pH는 시공간적 변동이 가장 심하였다. 표층퇴적상은 SWZ에서는 니질(Mud)함량이 높았으며 BWZ에서는 사질(Sand)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FWZ에서는 사질(Sand)이나 자갈(Gravel)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 외 유기물함량과 황화물량은 SWZ에서 높은 값을, Chl-a 량은 FWZ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조사해역은 염도가 낮으며 유기물 함량, 황화물량이 낮고 조립한 퇴적상을 보이는 Fresh Water Zone과 염도가 높으며, 유기물함량, 황화물량이 높고, 세립한 퇴적상을 보이는 Saline Water Zone으로 조사지역의 환경이 뚜렷이 대비됨을 보여주고 있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저서다모류의 출현종수와 서식밀도는 Salline Water Zone에서 가장 높았으며, Brackish Water Zone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였고, Fresh Water Zone에서 매우 낮았다. Brackish Water Zone의 경우 서식밀도의 계절 변동이 매우 심하였는데, 이는 Prionospio cirrifera의 극우점 출현에 의한 것이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출현한 저서다모류 중 매 계절 상위 5.0%의 점유율을 보이는 우점종은 총 6종이었다. 이 중 Lumbrineris longifolia, Prionoispio cirrifera, Tharyx sp.는 매 계절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그 외에 Hediste sp., Praxillella affinis, Tylorrhynchus sp.가 조사 시기에 따라서 우점종으로 출현하기도 하였다. 우점 출현 다모류들은 특징적으로 분포하는 해역이 뚜렷이 구분되었다. Saline Water Zone의 대표적인 종은 Lumbrineris longifolia, Tharyx sp., Mediomastus sp.이었다. Saline Water Zone에서부터 Brackish Water Zone까지의 해역에 폭넓게 걸쳐 출현하는 종은 Prionospio cirrifera, Aricidea sp., Heteromastus filiformis이었다. 그리고 Brackish Water zone의 내륙쪽 정점 일부와 Fresh Water Zone에서는 특징적으로 Tylorrhynchus sp., Hediste sp.가 우점 출현하였다. 섬진강 하구역에서 채집된 저서다모류의 출현종 조성과 정점간 유사도지수에 근거하여 집괴분석(Cluster Analysis) 및 비계량적 다차원척도법(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을 실시한 결과, 모든 계절에서 Saline Water Zone과 Fresh Water Zone에 위치하는 정점들은 각각 대표적인 하나의 정점군으로 구분되었다. 반면 Brackish Water Zone의 경우는 계절에 따라 수개의 정점군으로 세분되었다. 저서환경 요인과 저서다모류군집의 생태학적 요인들 간의 Pearson 상관관계분석주성분분석(PCA) 결과, 염도, 퇴적상, 유기물함량, DO 등이 저서다모류군집의 제반 생태학적 지수(출현종수, 서식밀도, 주요 종의 출현량, 생태지수)의 공간 분포를 결정짓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환경요인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stimate the relations between benthic environments and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from April 2012 to February 2013. Twenty four stations were selected sequentially with Seomjin River Estuary from the northern part of Gwangyang Bay.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에서 5번째로 규모가 크고 하구언에 의해 막혀있지 않은 상태로 하구의 특성이 잘 보전되고 있는 섬진강을 대상으로 대형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염도, 퇴적상 등의 대표적인 수·저질 환경 요인과 저서동물군집과의 관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구역은 무엇인가? 하구역은 염분 농도가 지리적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변화할 뿐만 아니라 계절이나 강수량에 따라 시간적인 변화 역시 심하게 일어나는 해역이다. 또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로 인해 인근의 담수나 해양환경에 비해 영양염이 풍부하기 때문에 하구역에서식하는 동·식물 모두 생산력이 매우 높다.
하구역에서 저서동물의 시공간적 분포 및 종 조성이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저서동물의 시공간적 분포 및 종 조성은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하구역에서 저서동물군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염분으로 염도 구배에 따라 저서동물의 시공간적 분포가 달라지고, 유사한 염도 조건하에서는 퇴적환경이 공간분포에 영향을 미친다(Copland and Bechtel, 1974).
하구역에 서식하는 생물 중 저서동물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또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유기물로 인해 인근의 담수나 해양환경에 비해 영양염이 풍부하기 때문에 하구역에서식하는 동·식물 모두 생산력이 매우 높다. 하구역에 서식하는 생물 중 저서동물은 담수 기원 동물은 거의 없으며 해양성 동물이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 조건의 극심한 변화로 인해 저서동물의 출현 종수는 인근 해양에 비해 10% 이하로 극히 적지만, 이 종들의 서식밀도는 매우 높을 때가 많다(Day, 19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ilyard, G.R., 1987. The value of benthic infauna in marine pollution monitoring studies. Mar. Pollut. Bull., 18: 581-585. 

  2. Bray, J.R. and J.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3. Choi, J.W. and C.H. Koh. 1984. A study of the polychaetous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 19(2): 153-162. 

  4. Choi, J.W. and C.H. Koh. 1994. Macrobenthos community in Keum-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its adjacent coastal region, Korea. J. Oceanol. Soc. Korea, 29(3): 304-318. 

  5. Choi, J.W., O.H. Yu and W.J. Lee, 2003. The summer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ng Bay, southern soast of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gr., 8(1): 14-28. 

  6. Day, J.H., 1981. The estuarine macrofauna. In: Estuarine Ecolog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southern Africa, edited by Day, J.H., Beukema, Reterdam, pp.147-178. 

  7. Hong, J.S., I.S. Seo, C.G. Lee, S.P. Yoon and R.J. Jung, 2000. An ecological feature of benthic macrofauna during summer 1997 in Namdaechon Estuary, Yangyang, Korea. J. Kor. Fish. Soc., 33(3): 230-237. 

  8. Hong, J.S. and J.W. Yoo. 1996. Salinity and sediment types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ine Bay and Kyonggi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31(4): 217-231. 

  9. Jung, R.H., 1996. Effect of the coastal zone development on the marine benthic ecosyste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 Bay, Korea. PhD Thesis. Inha University. 

  10. Kang, S.H., 2014.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MS Thesis. Chonnamnam National University, 61pp. 

  11. Kim, Y.H. and H.C. Shin, 2010. A benthic polychaete assemblage off the Korean South Coast (Gwangyang Bay and Yeosu Sound). Fish. Aqua Sci., 13(2): 157-166. 

  12. Kwon, K.Y., C.H. Kim, C.K. Kang, C.H. Moon, M.O. Park and S.R. Yang. 2002a. Limiting nutrients for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s determined by algal bioassay experiment. J. Kor. Fish. Soc., 35(5): 455-462. 

  13. Kwon, K.Y., D.H. Moon, C.K. Kang and Y.N. Kim, 2002b. Distributio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 Kor. Fish. Soc., 35(1): 86-96. 

  14. Kwon, K.Y., C.H. Moon and H.S. Yang, 2001a. Behavior of nutrient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 Kor. Fish. Soc., 34(3): 199-206. 

  15. Kwon, K.Y., C.H. Moon, J.S. Lee, S.R. Yang, M.O. Park and P.Y. Lee, 2004. Estuarine behavior and flux of nutr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e Sea J. Kor. Soc. Oceanogr., 9(4): 153-163. 

  16. Kwon, K.Y., P.G. Lee, C. Park, C.H. Moon and M.O. Park, 2001b.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e Sea J. Kor. Soc. Oceanogr., 6(2): 93-102. 

  17. Lee, H.G., J.H. Lee, O.H. Yu and C.K. Kim, 2005.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crobenthos community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27(2): 135-148. 

  18. Lim, H.S. and J.S. Hong, 2002.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along the salinity gradient and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Watancheon Estuary, Beobseongpo, southwest coast of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gr., 7(1): 8-19. 

  19. Lim, H.S., J.W. Choi and S.D. Choi, 2012.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Sueocheon Stream Estuary at the nothern part of Gwangyang Bay,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gr., 17(2): 76-86. 

  20. Lorenzen, C.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Limnol. Oceanogr. 12: 343-346. 

  21.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157-175. 

  22. McLusky, D.S., 1971. Ecology of estuaries. Heinemann Publ., London, 144pp. 

  23. McLusky, D.S., 1981. The estuarine ecosystem. Blackis and Son Limited. 215pp. 

  24. McNaughton, S.J., 1968. Structure and function in California grassland. Ecology, 49: 962-972. 

  25. Park, M.O., C.H. Moon, S.Y. Kim, S.R. Yang, K.Y. Kwon and Y.W. Lee, 2001. The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in Autumn, 2000: Comparison of HPLC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Algae, 16(2): 179-188. 

  26.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T. Theoret. Biol. 13: 131-144. 

  27.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bana. 177pp. 

  28. Shin, H.C. and C.H. Koh, 1990.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 25(4): 205-216. 

  29. Shin, H.C., S.M. Yoon and C.H. Koh, 2001.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l community in Ulsan Bay and Onsan Bay, eastern coast of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gr., 6(3):180-189. 

  30. Yang, S.R., H.S. Song, K.C. Kim, C. Park and C.H. Moon, 2005. Changes in environmental factor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e Sea J. Kor. Soc. Oceanogr., 10(3): 164-170. 

  31. Yoon, I.B., K.S. Bae and D.S. Kong, 1987.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factors and macrozoobenthos community structure in Naktong Estusry. J. Kor. Soc. Limnol., 20(2): 73-99. 

  32. Yoon, I.B., K.S. Bae, Y.J. Bae, S.J. Aw and K.H. Kim, 1986. A Study o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four seasons in the Naktong Estuary. J. Kor. Soc. Limnol., 19(3): 19-38. 

  33. Yoon, S.P., R.H. Jung, Y.J. Kim, S.G. Kim, M.K. Choi, W.C. Lee, H.T. Oh and S.J. Hong, 2009.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of Ulsan Bay, Korea. The Sea J. Kor. Soc. Oceanogr., 14(2): 102-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