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냉수대 발생 전 후의 해양 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및 크기를 파악을 위해 여름철 빈번하게 냉수대가 발생되는 동해 남부 해역(울산 정자~부산 일광) 18개 정점에서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냉수대 발생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조사하였다. 냉수대는 7월과 8월에 연안 정점(A1, B1, C1)에서 발생하였고, 표층에서 저온 고염의 특성을 보였다. 이 시기에 영양염은 수온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DIP, r=-0.218, p<0.01; DIN, r=-0.306, p<0.01; silicate, r=-0.274, p<0.01)를 보여, 찬 해수가 분포하는 표층에 영양염이 풍부함을 알 수 있었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86종이었고, 현존량은 5월(C1,
In order to understand environment condition and phytoplankton community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the influences of upwelling events on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studied at 18 stations located the Southern part of East Sea, Korea from May to August 2013. The surface water masses showed low temperature and high salinity due to upwelling events at coastal stations (A1, B1, C1). Cor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nutrients (DIP, r=-0.218, p<0.01; DIN, r=-0.306, p<0.01; silicate, r=-0.274, p<0.01) was significantly negative. This result could be explained that nutrients were supplied to surface water by the upwelling of bottom water. Phytoplankton communities were composed of 186 species. Phytoplankton abundance were relatively high in May (C1,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 연구는 냉수대에 초점을 맞추어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 해역은 한류수와 난류수가 만나 전선이 형성되는 해역으로 계절 별로 해양 환경 변화가 급변한다고 알려져 있다(Park et al.
이 연구는 용승 작용으로 인해 여름철에 빈번하게 냉수대가 형성되는 동해 남부 연안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을 밝히고, 이 해역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크기를 파악하여 해양 환경과 식물플랑크톤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냉수대 | 냉수대는 무엇인가? |
주변보다 수온이 상대적으로 5oC 이상으로 급격하게 낮아지는 현상
냉수대는 주변보다 수온이 상대적으로 5oC 이상으로 급격하게 낮아지는 현상을 말하며, 여름철인 6~8월경에 우리나라 남서 연안 해역(진도 주변 해역)과 동해 연안에서 주로 발생한다(Oh et al., 2004). |
우리나라 연안에서 발생하는 냉수대 | 우리나라 연안에서 발생하는 냉수대가 식물플라크톤 군집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무엇인가? |
주변보다 급격하게 낮아진 수온으로 인해 어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해양 생물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저수온과 함께 표층으로 공급된 영양염(nutrients)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 2010). 냉수대는 주변보다 급격하게 낮아진 수온으로 인해 어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해양 생물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저수온과 함께 표층으로 공급된 영양염(nutrients)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Herrera and Escribano, 2006). |
냉수대 | 냉수대 현상은 우리나라 어디에서 주로 발생하는가? |
우리나라 남서 연안 해역(진도 주변 해역)과 동해 연안
냉수대는 주변보다 수온이 상대적으로 5oC 이상으로 급격하게 낮아지는 현상을 말하며, 여름철인 6~8월경에 우리나라 남서 연안 해역(진도 주변 해역)과 동해 연안에서 주로 발생한다(Oh et al., 2004).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