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남부 연안 해역에서 냉수대 발생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oastal Upwelling on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ern Part of East Sea,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9 no.4, 2014년, pp.287 - 301  

김아람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윤석현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정미희 (해양미세조류연구소) ,  윤상철 (국립수산과학원 수산해양종합정보과) ,  문창호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냉수대 발생 전 후의 해양 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및 크기를 파악을 위해 여름철 빈번하게 냉수대가 발생되는 동해 남부 해역(울산 정자~부산 일광) 18개 정점에서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냉수대 발생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조사하였다. 냉수대는 7월과 8월에 연안 정점(A1, B1, C1)에서 발생하였고, 표층에서 저온 고염의 특성을 보였다. 이 시기에 영양염은 수온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DIP, r=-0.218, p<0.01; DIN, r=-0.306, p<0.01; silicate, r=-0.274, p<0.01)를 보여, 찬 해수가 분포하는 표층에 영양염이 풍부함을 알 수 있었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86종이었고, 현존량은 5월(C1, $726{\times}10^3cells\;L^{-1}$)과 7월(A1, $539{\times}10^3cells\;L^{-1}$)에 높았다. 또한, 연안 정점에서 총 chl. a 와 소형플랑크톤 chl. a ($&gt;20{\mu}m$)의 농도가 냉수대 발생 시기인 7, 8월에 뚜렷하게 증가한 반면, 수온약층이 형성된 6월에는 현저하게 낮았다. 6월의 우점종은 Pseudo-nitzschia spp.이었고, 그 세포 크기는 $309{\mu}m^3$로 다른 시기의 식물플랑크톤의 1/10 수준에 머무는 작은 크기였다. 이러한 결과는 7월과 8월에 총 chl. a의 증가와 식물플랑크톤의 크기 증가가 냉수대 발생 시에 표층으로 공급된 영양염의 영향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해양 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출현양상은 연안 정점에서 뚜렷하게 보였고, 외측 정점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동해 남부 해역에서 냉수대가 발생하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증가와 더불어 비교적 크기가 큰 식물플랑크톤의 출현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하계에도 불구하고 동해 남부 연안 해역에서 냉수대 발생에 따른 영양염 공급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과 현존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environment condition and phytoplankton community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the influences of upwelling events on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studied at 18 stations located the Southern part of East Sea, Korea from May to August 2013. The surface water masses show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냉수대에 초점을 맞추어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 해역은 한류수와 난류수가 만나 전선이 형성되는 해역으로 계절 별로 해양 환경 변화가 급변한다고 알려져 있다(Park et al.
  • 이 연구는 용승 작용으로 인해 여름철에 빈번하게 냉수대가 형성되는 동해 남부 연안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을 밝히고, 이 해역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 및 크기를 파악하여 해양 환경과 식물플랑크톤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냉수대는 무엇인가? 냉수대는 주변보다 수온이 상대적으로 5oC 이상으로 급격하게 낮아지는 현상을 말하며, 여름철인 6~8월경에 우리나라 남서 연안 해역(진도 주변 해역)과 동해 연안에서 주로 발생한다(Oh et al., 2004).
우리나라 연안에서 발생하는 냉수대가 식물플라크톤 군집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원인은 무엇인가? , 2010). 냉수대는 주변보다 급격하게 낮아진 수온으로 인해 어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해양 생물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저수온과 함께 표층으로 공급된 영양염(nutrients)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Herrera and Escribano, 2006).
냉수대 현상은 우리나라 어디에서 주로 발생하는가? 냉수대는 주변보다 수온이 상대적으로 5oC 이상으로 급격하게 낮아지는 현상을 말하며, 여름철인 6~8월경에 우리나라 남서 연안 해역(진도 주변 해역)과 동해 연안에서 주로 발생한다(Oh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gawin, N.S.R., C.M. Duarte, and S. Agusti, 2000. Nutrient and water temperature control of the contribution of picoplankton to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on. Limnol. Oceanogr., 45: 591-600. 

  2. Arin, L., X.A.G. Moran, M. Estrada, 2002a. Phytoplankton size distribution and growth rates in the Alboran Sea (SW Mediterranean): short term variability related to mesoscale hydrodynamics. J. Plank. Res., 24: 1019-1033. 

  3. Arin, L., G. Marrase, M. Maar, F. Peters, M.M. Sala, and M. Alcaraz, 2002b. Combined effects of nutrients and small-scale turbulence in a microcosms experiment. I. Dynamics and size distribution of osmotrophic plankton. Aquat. Microb. Ecol., 29: 51-61. 

  4. Cho, H.J., Moon, C.H., Yang, H.S., Kang, W.B., Lee, K.W., 1997.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J. Korean Fish. Soc., 30: 393-407. 

  5. Choi, M.Y., D.S. Moon, D.H. Jung, and H.J. Kim, 2012a. Seasonal distribution of water masses an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s in the coastal areas of Gangwon province of the Korean East Sea in 2009. J. Kor. Soc., 15: 76-88. 

  6. Choi, Y.K., K.Y. Kwon, and J.Y. Yang, 2012b. Descriptive analysis of low saline water in Youngdeuk, the East coast of Korea in 2010. J. Kor. Soc. Mar. Environ. Saf., 18: 379-387. 

  7. Cloern, J.E., R. Dufford, 2005. Phytoplankton community ecology: principles applied in San Francisco Bay. Mar. Ecol. Pro. Ser., 285: 11-28. 

  8. Cullen, J.J., P.J.S. Franks, D.M. Karl, A. Longhurst, 2002. Physical influences on marine ecosystem dynamics. The Sea. 12: 297-336. 

  9. Decembrini, F., C. Caroppo, M. Azzaro, 2009. Size structure and produc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carbon pathways channelling in the Southern Tyrrhenian Sea(Western Mediterranean). Deep-Sea Res. II. 56: 687-699. 

  10. Estrada, M., D. Blasco, 1979. The phase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Baja California upwelling. Limnol. Oceanogr., 24: 1065-1080. 

  11. Herrera, L., R. Escribano, 2006. Factors structuring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upwelling site off El Loa River in northern Chile. J. Mar. Sys., 61: 13-38. 

  12. Herrera, J., R. Margalef, 1961. Hidrogrfiay fitoplanktcton de las costas de Castellon, de Julio de 1968 a Junio de 1959. Inv. Presq., 20: 17-63. 

  13. Hillebrand, H., C.D. Durselen, D. Kirschtel, U. Pollingher, T. Zohary, 1999. Biovolume calculation for pelagic and benthic microalgae. J. Phycol., 35: 403-424. 

  14. Hyun, B.H., Y.S. Sin, C. Park, S.R. Yang, Y.J. Lee, 2006.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ize-structured phytoplankton in the Asan Bay. Korean J. Environ. Biol., 24: 7-18. 

  15. Jennings, B.R., K. Parslow, 1988. Particle size measurement: the equivalent spherical diameter. Proc. R. Soc. Lord. A. 419: 137-149. 

  16. John, M., R.R. Bidigare, T.D. Dickey. 1990. Nutrients and mixing, chlorophyll and phytoplankton growth. Deep-Sea Re., 37: 127-143. 

  17. Kang, Y.S., J.K. Choi, H.M. Eum, 2003.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waters of Gori, Wolseong, Ulgin and Younggwang III. Distribution of dominant speci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lgae. 18: 29-47. 

  18. Kang, Y.S., H.C. Choi, J.H. Lim, I.S. Jeon, J.H. Seo, 2005.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Chuksan harbor, East Sea. Algae. 20: 345-352. 

  19. Kim, I.N., T.S. Lee,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origin of summer bottom cold waters in the Korea strait. Oce. Pol. Res., 26: 595-606. 

  20. Kim, D.S., K.H. Kim, J.H. Shim, S.J. Yoo, 2007. The effect of anticyclonic eddy on nutrients and chlorophyll during spring and summer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J. Kor. Soc. Oceano., 12: 280-286. 

  21. Kim, S.W., W.J. Go, L.H. Jang, J.W. Lim, K. Yamada, 2008. Shortterm variability of a summer cold water mass i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using satellite and shipboard data. J. Kor. Soc. Mar. Environ. Saf., pp. 169-171. 

  22. Kim, S.W., W.J. Go, S.S. Kim, H.D. Jeong, K. Yamada, 2010.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an in-situ and multi-satellite date. J. Kor. Soc. Mar. Environ. Saf. 16: 345-352. 

  23. Lee, Y.S., Y.T. Park, K.Y. Kim, Y.K. Choi, P.Y. Lee, 2006.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 quality after diatom blooms due to freshwater inflow. J. Kor. Soc. Mar. Environ. Saf., 12: 75-79. 

  2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OLIT), 2009, Study on the abnormal oceanic conditions variability in the East Sea of Korea in summer using satellite data, 79pp. 

  25.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OF), 2010, Standard method of marine environment process test, 495pp. 

  26.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2014a, Oceanographic information of the Korea waters in 2013, 232pp. 

  27.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2014b, Harmful algal blooms in Korean coastal waters in 2013, 173pp. 

  28. Noh, J.H., S.J. Yoo, M.J. LEE, S.K. Son, W.S. Kim, 2004. A flow cytometric study of autotorophic picoplankton in the tropical Eastern Pacific. Oce. Pol. Res. 26: 273-286. 

  29. Oh, H.J., Y.S. Suh, S. Heo,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upwelling cold water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Kor. Asso. Geo. Info. Stu., 7: 166-173. 

  30. Oh, H.J., Y.S. Suh, 2006.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lorophyll a distributions related to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Korean waters. Kor. Asso. Geo. Info. Stu., 9: 36-45. 

  31. Oh, H.J., S.H. Kim, S.Y. Moon, 2008.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of cold water in the around sea of Wando in summer, 2005. J. Environ. Scien., 17: 949-956. 

  32. Park, J.S., C.K. Kang, K.H. An, 1991.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polar front region off the east coast of Korea in summer. Bull. Korean Fish. Soc., 24: 237-247. 

  33. Shim, J.H., 1994.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4. Marine phytoplankton.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487 pp. 

  34. Sliva, A., S. Palma, P.B. Oliveira, M.T. Moita, 2009. Composition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in a coastal upwelling region(Lisbon Bay, Portugal). J. Sea Res., 62: 238-249. 

  35. Strickland, J.D.H., R.W. Eppley, B.R.D. Mendiola, 1969. Phytoplankton populations, nutrients and phoyosynthesis in Peruvian coastal waters. Inst. Mar. Preu(Callav) Bio., 2: 4-45. 

  36. Suh, Y.S., J.D. Hwang, 2005. Study on the cold water occurrence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J. Environ. Scien., 14: 945-953. 

  37. Takuo O., I. Mitsunori, M.B. Valeriano, T. Haruyoshi, F. Yasuo, 2012. Marine phytoplankton of the Western Pacific. Kouseisha Kouseikaku Co. Ltd., 160 pp. 

  38. Tang, D.L., H. Kawamura, A.J. Luis, 2002. Short-term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blooms associated with a cold eddy in the northwestern Arabian s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1: 82-89. 

  39. Tomas, C.R., 1997. Identify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San Diego, 858 pp. 

  40. Vadrucci, M.R., M. Cabrini, A. Basset, 2007. Biovolume determination of phytoplankton guilds in transitional water ecosystems of Mediterranean Ecoregion. Tran. Wat. Bull., 2: 83-102. 

  41. Vaillancourt, R.D., J. Marra, M.P. Seki, M.L. Parsons, R.R. Bidigare, 2003. Impact of a cyclonic eddy o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photosynthetic competency in the subtropical North Pacific Ocean. Deep-Sea Res. I. 50: 829-8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