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국시대의 유물에 나타난 입사공예기법 비교분석 연구
A Study on Comparative Analysis of Inlay Craft Technique of Relic in the Three Kingdom Perio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1, 2014년, pp.505 - 513  

박지원 (원광대학교) ,  박승철 (공주대학교)

초록

현대 금속공예는 대량생산을 목표로 예술성이 결여된 단순한 표현 방법과 한정적 기술만을 사용하여 우리의 전통과 개성이 상실되어가고 있다. 앞으로 현대 금속공예의 발전과 우리 고유의 문화를 계승하기 위해서는 고대부터 전해온 전통공예기법을 고찰해야 할 필요성을 갖는다. 입사공예는 고도의 집중력과 기술력을 필요로 하며 당대 문화와 사상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전통금속공예기법이다. 입사기법이 국내에 처음으로 나타난 시대는 삼국시대로 백제, 가야, 신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나아가 입사공예를 현대금속공예에 활용하였을 때 우리 고유의 예술적인 표현과 역사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 전통의 기법을 명확하게 익힐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넓히고 현대공예에 알맞게 수용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비로소 현대 금속공예의 발전과 우리 고유의 개성을 확고히 자리매김하기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ern metal craft is losing our tradition and personality with simple expressive methods and limited techniques without artistry with the purpose of mass production. In order for development of modern metal craft and to succeed our unique cultur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raditional craft tech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앞으로 현대 금속공예의 발전과 우리 고유의 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대부터 전해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공예기법을 연구하고자한다.
  • 입사공예의 발달 배경과 삼국시대의 유물들을 통해 초기 입사공예를 특징을 각 나라별로 살펴보고 입사공예의 문양과 조형성의 비교 연구를 하여 입사공예의 예술적 표현 방법 그리고 역사적 의의와 가치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현대 금속공예의 발전에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둔다.
  • 입사기술이 가장 화려하게 꽃피웠던 때는 고려시대였음에도 본 논문에서 삼국시대의 입사공예를 연구한 목적은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입사공예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사기법이 처음 나타난 시대는? 우리나라 금속공예기법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입사공예는 고도의 집중력과 기술력을 필요로 하며, 당대 문화와사상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전통공예기법이다. 입사기법이 처음으로 나타난 시대는 삼국시대로 입사공예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삼국시대의 초기 입사공예 유물들을 고찰해 볼 필요성이 있다. 입사공예의 발달 배경과 삼국시대의 유물들을 통해 초기 입사공예를 특징을 각 나라별로 살펴보고 입사공예의 문양과 조형성의 비교 연구를 하여 입사공예의 예술적 표현 방법 그리고 역사적 의의와 가치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현대 금속공예의 발전에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을 둔다.
입사란? 입사(入絲)이란 금속의 표면에 홈을 파고 가는 금선이나 은선 등 전연성이 높은 금속을 끼워 장식하는 전통적인 금속 상감 기법을 말한다. 입사란 금공물(金工物)의표면에 베풀어지는 표면 장식 기법 중 하나로서 조금(彫金)기법 중 상감 기법에 해당한다[4].
현대 금속공예의 발전과 우리 고유의 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공예기법을 연구하려는 이유는? 현대 금속공예는 대량생산을 목표로 예술성이 결여된 단순한 표현 방법과 한정적 기술만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장신구는 단기적인 이익추구에 급급해 역사성이 결여된, 획일화된 디자인으로 우리 고유의 개성이 상실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현대 금속공예의 발전과 우리 고유의 문화를 계승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대부터 전해온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공예기법을 연구하고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Hwijun, Korea Art and Culture, Sigongsa, p.51. 2000. 

  2. Gim Jongtae, Korea Handicraft Art, Yegyeong, pp.17-18, 1991. 

  3. Naver Encyclopedia of knowledge, RediscoveryofKorea Beauty-Metal Craft(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743&cid42679&categoryId42679) 

  4. Hong Jeongsil, Korea Traditional Metal Craft(7)-Inlaying, Iljisa, p.106, 1987. 

  5. Kim Minyeong, A Study on the Jewelry Design of the Ipsa(Inlay) Technique, Master's degree thesis, Silla University, pp.3-4, 2005. 

  6. Hong Jeongsil, Korea Traditional Metal Craft(7)-Inlaying, Iljisa, p.106, 1987. 

  7. Yu Bongja, A Study on the Jewelry Using the Inlaid Technology, Ph.D. thesis, Catholic-University, p.41, 2010. 

  8. Kim Minyeong, A Study on the Jewelry Design of the Ipsa(Inlay) Technique, Master's degree thesis, Silla University, p.5, 2005. 

  9. Yu Bongja, A Study on the Jewelry Using the Inlaid Technology, Ph.D. thesis, Catholic University, p.42, 2010. 

  10. Kim Minyeong, A Study on the Jewelry Design of the Ipsa(Inlay) Technique, Master's degree thesis, Silla University, p.6, 2005. 

  11. Kim Gilsik, Namkoong Seung, Lee Hohyeong, Cheonan Hwaseong-ri remains, Gongju National Museum, p.22, 1991 

  12. Chungcheongnam-do the Academy of History and Culture, Gongju city Suchon-ri tumulus Report No.40, Chungcheongnam-do the Academy of History and Culture, p.144, 2007. 

  13. National Changwon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Report No.15 Haman Magap tumulus, National Changwon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p.21, 151, 2002. 

  14. Kim Jinhong, Theory of design, Beopseo, p.60, 2003. 

  15. Wi Gwangcheol, Research of excavated inlaid iron swords in Korean peninsula, Master's degree thesis, Hanrim University, pp.46-47, 2002. 

  16. Kwon Sanggu, The Basic of visual design, Mijinsa, p.150, 1996. 

  17. Wi Gwangcheol, Research of excavated inlaid iron swords in Korean peninsula, Master's degree thesis, Hanrim University, p.49, 2002. 

  18. Nocut Internet news, (http://www.nocutnews.co.kr/news/198070) 

  19. Lee Juheon, Hou-tumulus excavation Archeology Report No.15 Personality of Moksimchilmyeong buried person, The Korean Archaeological Art Research Institute, pp.21-22, 2006. 

  20. Kwon Sanggu, The Basic of visual design, Mijinsa, p.132,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