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distant water tuna longline fishery commenced in 1966 in the Atlantic Ocean. Since then, it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fisheries of Korea. By early of 1970s, total amount of tuna caught in the Atlantic Ocean was the highest among other Korean distant water tuna fisheries, but has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서양에서 조업하는 다랑어 연승어업의 최근 조업 동향과 조업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서양에서 조업하는 다랑어 연승어업의 자원동태 및 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서양에서 조업하는 다랑어 연승어업의 조업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서양에서 조업하는 다랑어 연승어업에 의한 어획량은 1980년대 후반 최고치를 나타낸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2000년대 초반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서양 다랑어 연승어업에 관한 조업특성을 어획량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대서양은 ICCAT의 규제 하에 조업이 이루어지는 수역으로 우리나라는 눈다랑어, 날개다랑어, 황새치, 백새치, 녹새치, 참다랑어에 관한 쿼터가 설정되어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서양에서 한국 다랑어 어업은 언제 종식되었으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대서양에서 한국 다랑어 어업은 스페인령 라스팔마스와 테네리페를 기지로 하여 1966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초창기에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하였으나, 꾸준한 성장을 거듭하여 1970년대 중반에는 100척이 넘는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1980년 중반 이후 자원량의 감소에 따라 조업선도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하여 1990년 중반에는 완전히 종식되었다 (MIFAFF, 2008). 최근 2000년대에들면서 대서양 다랑어 연승어업이 다시 시작되어 최근에는 14척의 선박이 대서양에서 조업 중이다.
한국 다랑어 어업의 시작은? 한국 다랑어 어업은 1957년 인도양에서 시험 조업을 시작 한 이래 꾸준히 지속되어 오고 있다. 대서양에서 한국 다랑어 어업은 스페인령 라스팔마스와 테네리페를 기지로 하여 1966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초창기에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하였으나, 꾸준한 성장을 거듭하여 1970년대 중반에는 100척이 넘는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대서양에서 한국 다랑어 어업의 시작은? 한국 다랑어 어업은 1957년 인도양에서 시험 조업을 시작 한 이래 꾸준히 지속되어 오고 있다. 대서양에서 한국 다랑어 어업은 스페인령 라스팔마스와 테네리페를 기지로 하여 1966년부터 시작되었으며, 초창기에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하였으나, 꾸준한 성장을 거듭하여 1970년대 중반에는 100척이 넘는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1980년 중반 이후 자원량의 감소에 따라 조업선도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하여 1990년 중반에는 완전히 종식되었다 (MIFAFF,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 DH, Kwon YJ, Keith B, Moon DY and Lee SI. 2011. Determination factors for catch rate of the target species between circle hook and straight shank hook. J Kor Soc Fish Tech, 47(4), 344-355. (DOI: 10.3796/KSF.2011.47.3.344) 

  2. KOFA (Korea overseas fishereis association). 2013. statistical year book of overseas fisheries. 1-412. 

  3. ICCAT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tlatic tunas). 2014. Report for biennial periods, 2012-2013 Part II (2013), vol (2), 1-343. 

  4. Jo HS, Hwang SJ, Lee JH, An DH and Moon DY. 2011. Sinking depth of tuna longlines related to mainline materials in the Northe Pacific Ocean. J Kor Soc Fish Tech 47(3), 173-182. (DOI: 10.3796/KSFT.2011.47.3.173) 

  5. Lee JU, Moon DY, Hwang SJ. 1998. Changes in gear construction of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in the Pacific ocean. J Korean Soc Fish Res, 1(1), 94-103. 

  6. Lee JH and Lee CW. 2003. Simulation on the shape of tuna longline gear. J Kor Soc Fish Tech 39(4), 305-317. 

  7. Lee SI, Kim ZG, Sohn H, Yoo JT, Kim MJ, Lee DW, Kim KN and Moon DY. 2011. Pilot research on species composition of Korean purse seine catch at cannery. J Kor Soc Fish Tech 47(4), 390-402. (DOI: 10.3796/KJSFT.2011.47.4.390) 

  8. Matsumoto T. 2014. Review of the japanese longline fishery and its albacore catch in the Atlantic ocean. Colletc Vol Sci Pap ICCAT,70(3), 1139-1153 

  9. Moon DY, Yang WS. Kim SS, Koh JR and Kim EJ. 2005,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in the we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J Kor Soc Fish Tech 41(4), 263-270. 

  10.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8. Development of distant-water fishing ground 50 years. Cricommunication. 1-576. 

  11. Yoo JT, Hwang SJ, An DH. 2010. Standardization of cathc per uint effrot(CPUE) for bigeye tuna (Thunnus obesus) by the Korean longline fishery in the Pacific ocean. Kor J fish Aquat sci 42(6), 740-746. 

  12. Yang WS, Cho KD, Moon DY and Koh JR. 2005. Oceanic characteristics of fishing ground for yellowfin and bigeye tunas caught by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in the tropical Pcaific. J Kor Fish Soc 38(3), 196-2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