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ole Blocking Layer 사용에 따른 하이브리드 백색 OLED의 색순도 향상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Color Purity Using Hole Blocking Layer in Hybrid White OLED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7 no.12, 2014년, pp.837 - 840  

김남규 (동아대학교 나노공학과) ,  신훈규 (포항공과대학교 나노융합기술원) ,  권영수 (동아대학교 나노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vel materials of $Zn(HPB)_2$ and Ir-complexes were respectively synthesized as blue or red emitting material.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were fabricated by using $Zn(HPB)_2$ for a blue emitting layer, Ir-complexes for a red emitting layer and $Alq_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림 3에 소자의 에너지 밴드다이어그램을 나타내었다. 그림 3에서 보듯이 정공수송층과 발광층 사이에 HBL층을 삽입하여 정공수송층과 발광층 사이에 정공의 이동을 제어하여 각 발광층 간에 색의 섞임을 방지하여 백색 OLED의 색순도를 향상 시키고자 있었다. 그러나, 형광층의 삼중항 엑시톤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효율은 낮을 수도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형광물질인 Zn(HPB)2와 인광물질인 Ir-complexes를 합성하여, Zn(HPB)2는 청색발광층, Ir-complexes는 Alq3와 도핑하였으며, 정공수송층과 발광층 사이에 BCP를 삽입하여 BCP의 두께를 변화시켜서 백색 OLED를 제작하여 소자의 색순도 향상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BCP의 두께가 5 nm일 때 CIE 표색계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이브리드 백색 OLED는 무엇인가? 이러한 두 가지의 문제점을 상호 보완하고자 청색은 형광소재를 사용하고 그 외의 색상은 인광소재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백색 OLED는 인광 백색 OLED에서 청색을 형광으로 대체한 소자이다. 하이브리드 백색 OLED는 형광층의 삼중항을 사용할 수 있는 triplet harvesting 타입과 그렇지 않은 direct recombination 타입으로 나눌 수가 있다 [10-14].
백색 OLED를 사용하는 소재에 따라 나눈다면? 백색 OLED는 사용하는 소재에 따라서 형광, 인광, 그리고 하이브리드 백색 OLED로 나눌 수 있다[1-4]. 형광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자 안정성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고효율을 얻는데 한계가 있으며, 인광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효율을 얻을 수는 있지만, 안정적인 청색 소재가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5-9].
direct recombination 타입은 무엇인가? Triplet harvesting 하이브리드 백색 OLED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direct recombination 타입의 연구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 타입의 소자는 재결합 영역이 형광층과 인광층에 모두 형성될 수있도록 조절하여 형광과 인광으로부터 모두 발광을 얻어내는 방법이다. 앞선 triplet harvesting 타입에 비해 청색 형광층의 삼중항 엑시톤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효율은 낮을 수 있지만,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소자의 설계가 용이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 Kido, W. Ikeda, M. Kimura, and K. Nagai, Jpn. J. Appl. Phys., 35, L394 (1996). 

  2. S. Tokito, K. Noda, H. Tanaka, Y. Taga, and T. Tsutsui, Synth. Met., 111, 393 (2000). 

  3. J. Thompson, V. Maiorano, S. Carallo, E. Perrone, A. Biasco, R. Cingolani, A. Croce, A. Daneu, and R. I. R. Blyth, Synth .Met., 152, 69 (2005). 

  4. D. E. Kim, W. S. Kim, B. S. Kim, B. J. Lee, and Y. S. Kwon, Colloids Surf. A, 313, 320 (2008). 

  5. F. J. Zhu, Y. L. Hua, S. G. Yin, J. C. Deng, K. W. Wu, X. Niu, X.M. Wu, and M. C. Petty, J. Lumin., 122, 717 (2007). 

  6. Y. K. Jang, D. E. Kim, W. S. Kim, O. K. Kwon, B. J. Lee, and Y. S. Kwon, Jpn. J. Appl. Phys., 45, 3725 (2006). 

  7. P. E. Burrows and S. R. Forrest, Appl. Phys. Lett., 64, 2285 (1993). 

  8. W. Brutting, S. Berleb, and A. G. Muckl, Synth. Met., 122, 99 (2001). 

  9. S. C. Jain, A. K. Kapoor, W. Geens, J. Poortmans, R. Mertens, and M. Willander, J. Appl. Phys., 92, 3579 (2002). 

  10. J. S. Kim, M. Granstrom, R. H. Friend, N. Johansson, W. R. Salaneck, R. Daik, W. J. Feast, and F. Cacial, J. Appl. Phys., 84, 6859 (1998). 

  11. X. Y. Zheng, W. Q. Zhu, Y. Z. Wu, X. Y. Jiang, R. G. Sun, Z. I. Zhang, and S. H. Xu, Displays, 24, 121 (2003). 

  12. C. W. Ko and Y. T. Tao, Appl. Phys. Lett., 79, 4234 (2001). 

  13. J. S. Kim, M. Granstrom, R. H. Friend, N. Johansson, W. R. Salaneck, R. Daik, W. J. Feast, and F. Cacial, J. Appl. Phys., 84, 6859 (1998). 

  14. H. Kanno, K. Ishikawa, Y. Nishio, A. Endo, C. Adachi, and K. Shibata, Appl. Phys. Lett., 90, 123509 (2007). 

  15. D. E. Kim, W. S. Kim, B. S. Kim, B. J. Lee, and Y. S. Kwon, Thin Solid Films, 516, 3637 (2008). 

  16. X. T. Tao, H. Suzuki, T. Wada, H. Sasabe, and S. Miyata, Appl. Phys. Lett., 75, 1955 (1999). 

  17. M. M. Mandoc, B. de Boer, and P.W.M. Blom, Phys. Rev. B, 73, 155205 (2006). 

  18. C. F. Qiu, L. D. Wang, H. Y. Chen, M. Wong, and H. S. Kwok, Appl. Phys. Lett., 79, 2276 (2001). 

  19. T. Nakamura, N. Tsutsumi, N. Juni, and H. Fujii, J. Appl. Phys. 97, 054505 (2005). 

  20. C. W. Tang, S. A. VanSlyke, and C. H. Chen, J. Appl. Phys., 65, 3610 (1989). 

  21. S. C. Jain, A. K. Kapoor, W. Geens, J. Poortmans, R. Mertens, and M. Willander, J. Appl. Phys., 92, 3579 (2002). 

  22. M. mazzeo, D. Pisignano, Laura Favartto, G. Sotgiu, G. Barbarella, R. Cingolani, and G. Gigli, Synth. Met., 139, 657 (2003). 

  23. P.W.M. Blom, M.J.M. de Jong, and M. G. van Munster, Phys. Rev. B, 55, R656 (1997). 

  24. N. C. Greenham, I.D.W. Samuel, G. R. Hayes, R. T. Phillips, Y.A.R.R. Kessener, S. C. Moratti, A. B. Holmes, and R. H. Friend, Chem. Phys. Lett., 241, 89 (1995). 

  25. Z. Yang, B. Hu, and F. E. Karasz, J. Macromol. Sci., Pure. Appl. Chem., A35, 233 (1998). 

  26. S. Reineke, F. Lindner, G. Schwartz, N. Seidler, K. Walzer, B. Lussem, and K. Leo, Nature, 459, 23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