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4 - 안면비대칭의 외과적 교정
Facial asymmetry: Critical element of clinical successful treatment 원문보기

大韓齒科醫師協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v.52 no.10, 2014년, pp.623 - 632  

홍종락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구강악안면외과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안면비대칭의 주원인은 하악골이며, 하악골의 비대칭 성장에 대한 상악골의 보상성장에 따라 교합면 경사 등이 초래된다. 디지털 사진과 삼차원 CT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확한 진단을 하고 수술을 포함한 치료계획을 세운다. 술전 교정 치료는 상악골과 하악골 치열의 치성 보상(dental compensation)을 제거하면서 상악 치열의 중심은 상악골의 정중선에, 하악 치열의 중심은 하악골 정중선에 맞게 이동하여 술후 상하악 치열궁이 일치하면서 동시에 안모 정중선에 일치하게 맞추어야 한다. 악교정 수술은 일반적으로 상하악 동시 수술을 하게 되며 우각부 풍융도 교정과 이부 성형술(genioplasty) 등을 부가적으로 할 수 있으며, 교합면 경사 교정과 수평 회전 등의 이동이 상하악 위치에 서로 영향을 주면서 수술 후 안모 변화에 대한 예측을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을 통해 정확한 예측으로 최선의 결과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acial asymmetries include maxillary, mandibular, and chin asymmetries, although the most common deformity is primarily in the mandible. Common causes of this type of asymmetry can include asymmetric growth of the condyle or the mandible. In these patients, the location of the Me would be deviat...

주제어

참고문헌 (21)

  1. Burstone CJ.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patients with asymmetries. Seminars in orthodontics 1998;4:153-164. 

  2. Haraguchi S, Takada K, Yasuda Y. Facial asymmetry in subjects with skeletal Class III deformity. The Angle orthodontist 2002;72:28-35. 

  3. Maeda M, Katsumata A, Ariji Y, et al. 3D-CT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in patients with maxillofacial deformities.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ics 2006;102:382-390. 

  4. Kronmiller JE. Development of asymmetries. Seminars in orthodontics 1998;4:134-137. 

  5. Ferrario VF, Sforza C, Poggio CE, Tartaglia G. Distance from symmetry: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facial asymmetry.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1994;52:1126-1132. 

  6. Padwa BL, Kaiser MO, Kaban LB. Occlusal cant in the frontal plane as a reflection of facial asymmetry.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1997;55:811-816; discussion 817. 

  7. McAvinchey G, Maxim F, Nix B, Djordjevic J, Linklater R, Landini G. The perception of facial asymmetry using 3-dimensional simulated images. The Angle orthodontist 2014. 

  8. Reyneke JP, Tsakiris P, Kienle F. A simple classification for surgical treatment planning of maxillomandibular asymmetry. The British journal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1997;35:349-351. 

  9. Gazit-Rappaport T, Weinreb M, Gazit E. Quantitative evaluation of lip symmetry in functional asymmetry. European journal of orthodontics 2003;25:443-450. 

  10. Bishara SE, Burkey PS, Kharouf JG. Dental and facial asymmetries: a review. The Angle orthodontist 1994;64:89-98. 

  11. Benson KJ, Laskin DM. Upper lip asymmetry in adults during smiling.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2001;59:396-398. 

  12. Eckhardt CE, Cunningham SJ. How predictable is orthognathic surgery? European journal of orthodontics 2004;26:303-309. 

  13. Koh CH, Chew MT. Predictability of soft tissue profile changes following bimaxillary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Chinese patients.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2004;62:1505-1509. 

  14. Jacobson R, Sarver DM. The predictability of maxillary repositioning in LeFort I orthognathic surgery. American journal of orthodontics and dentofacial orthopedics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thodontists, its constituent societies, and the American Board of Orthodontics 2002;122:142-154. 

  15. Kim YH, Jeon J, Rhee JT, Hong J. Change of lip cant after bimaxillary orthognathic surgery.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2010;68:1106-1111. 

  16. Klein AW. Contraindications and complications with the use of botulinum toxin. Clinics in dermatology 2004;22:66-75. 

  17. Marinetti CJ. The lower muscular balance of the face used to lift labial commissures.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1999;104:1153-1162; discussion 1163-1154. 

  18. Villoria JM. A new method of elongation of the corner of the mouth.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1972;49:52-55. 

  19. 류 성호, 장 현호. 안모비대칭의 진단용 기준선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2005;31:266-273. 

  20. Kahnberg KE. Correction of maxillofacial asymmetry using orthognathic surgical methods. Journal of cranio-maxillo-facial surger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Cranio-Maxillo-Facial Surgery 1997;25:254-260. 

  21. Oh S, Ahn J, Nam KU, Paeng JY, Hong J. Frankfort horizontal plane is an appropriate threedimensinal reference in the evaluation of clinical and skeletal ca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2013;39:71-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