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기 홍수사상으로 인한 사행하천의 하상변동 수치모의 분석
Numerical Analysis for Bed Changes at the Meandering Stream due to a Short Term Flood Event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6, 2015년, pp.1229 - 1236  

지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장은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이찬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행도를 갖는 내성천 하도 구간에 대해 단기 홍수사상 발생시 나타나는 흐름과 하상변동 특성을 2차원 모형인 CCHE2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내성천 하도 구간은 사행도가 1.2, 1.6, 2.2인 3개 구간으로 나누어 흐름 및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2011년 6월에 발생한 6일 동안의 홍수사상에 대해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 결과, 사행도가 큰 구간에 비해 사행도가 1.5 미만인 구간에서 흐름 집중현상에 의한 평면적 유속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만곡부에서의 하상침식이 시간에 따라 더 크게 확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행도가 1.5 미만인 구간에서는 최대홍수량이 발생했을 때 최대유속이 국부적으로 1.6 m/s에서 2 m/s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flow characteristics and bed changes during a short term flood event were analyzed using the two-dimensional CCHE2D model for a meandering sand-bed river, the Naesung Stream. Flow and bed change simulation was carried along the three sub-reaches with sinuosity of 1.2, 1.6 and 2.2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사행하천인 내성천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행도를 갖는 구간을 선정하여 단기 홍수사상에 의한 흐름특성과 하상변동을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행하천에서의 하도변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가 수리모형실험 자료를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한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현장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흐름에 대한 수치모형을 보정한 후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행하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기 홍수사상에 대한 다양한 하도변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사행하천인 내성천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행도를 갖는 구간을 선정하여 단기 홍수사상에 의한 흐름특성과 하상변동을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행하천에서의 하도변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가 수리모형실험 자료를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한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현장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흐름에 대한 수치모형을 보정한 후 하상변동 모의를 수행함으로써 실제 사행하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기 홍수사상에 대한 다양한 하도변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반면에 좌안측 및 우안측 하상에서 큰 침식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우안측 하상의 경우 좌안측에서부터 93 m 떨어진 하상에서 최대 5 m 이상의 큰 침식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실제 하천에서는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된 하상층에 대한 하상깊이 차이로 인해 하상층을 단일층으로 가정한 본 연구의 모의 결과와는 침식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최대 5 m 이상의 침식은 실제 하천에서 발생하기 힘든 비현실적인 결과일 것으로 추측되나 동일 구간의 급격한 수심변화로 인한 하상변화 가능성은 여전히 큰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치모의기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처럼 하상 및 하안의 침식과 퇴적으로 인한 평면적 지형변화 및 하도의 이동 등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양한 수치모형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수치모의는 적용하는 모형에 따라 특정 공식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과 흐름이 복잡한 구간에서의 해석시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아진다는 점 등으로 인해 실제 자연현상을 제대로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하상변동 및 지형변화 등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선택한 모형에 대한 적용한계를 명확히 인지하고 적용 대상구간의 현장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반드시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도의 평면적 이동과 변화를 야기하는 것은 무엇인가? 사행하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주발생과 사주의 이동 등이 이러한 현상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하천의 만곡부에서 발생하는 강턱침식과 하도퇴적 등은 하도의 평면적 이동과 변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사행하천의 흐름 및 하도변화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은 태풍 및 홍수 등에 대비한 하도의 효율적인 관리 및 재해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단기적인 홍수 발생 시 사행하천에서 볼 수 있는 사주발생과 사주의 이동은 무엇으로 인하여 야기된 현상인가? 만곡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사행하천의 경우 하도형태 및 흐름구조가 복잡하여 단기적인 홍수 발생에 따른 하상변화의 폭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사행하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주발생과 사주의 이동 등이 이러한 현상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ckers, P. and White, W. R. (1973). "Sediment transport: New Approach and Analysis."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99, No. 11, pp. 2041-2060. 

  2. Ahn, J. and Yang, C. T. (2014). "Determination of recovery factor for simulation of non-equilibrium sedimentation in reservoir."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Vol. 30, No. 1, pp. 68-73. 

  3. Baek, K. O., Seo, I. W. and Lee, K. W. (2006). "New equation on streamwise variation of secondary flow in meandering chann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6, No. 4B, pp. 371-378. 

  4. Engelund, F. A. and Hansen, E. (1967). Monograph on sediment transport in alluvial streams, Teknisk Forlag. 

  5. Garbrecht, J., Kuhnle, R. A. and Alonso, C. V. (1995). "A sediment transport formulation for large channel network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50, No. 5, pp. 517-579. 

  6. Howard, H. and Chang, M. (1985). "Formation of alternate bars." Journal of Hydraul. Eng., Vol. 111, No. 11, pp. 1412-1420. 

  7. Jang, C. L. and Jung, K. (2006). "Numerical experiments of bar migration in meandering chann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6, No. 2B, pp. 209-216. 

  8. Jang, E. K., Ji, U., Kwon, Y. S. and Yeo, W. K. (2013). "Investigation for bed stabilization methods in the upstream channel of haman weir using CCHE2D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3, No. 6, pp. 2211-2221. 

  9. Ji. U., Kim, G. H. and Yeo, W. K. (2011). "Analysis for the effectiveness of sedimentation reduction using the channel contraction method at the estuary barrage."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01, pp. 31-40. 

  10. Kim, Y. J. and Lee, C. J. (2014). "Analysis on channel change of the naesung river -before the youngju dam impoundment (1970-2011)-."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Vol. 21, No. 1, pp. 17-31. 

  1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14). Analysis of change in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due to articifial structures, Internal Research Projec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14-244 (in Korean). 

  12. Laursen, E. M. (1958). "The total sediment load of streams."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108, No. 1, pp. 1-36. 

  13. Leopold, L. B. and Wolman, M. G. (1960). "RIVER MEANDER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71, No. 6, pp. 769-793. 

  14. Meyer-Peter, E. and Mueller, R. (1948). "Formulas for bed-load transport." Proceedings of the 2nd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Hydraulic,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ydraulic Research Delft, Sweden, pp. 39-64. 

  15. Park, S. K., Ji, U. and Kim, D. (2013). "Analysis for the effectiveness of sediment dredging in the approach channel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7, No. 6, pp. 1489-1495. 

  16. Seo, I. W., Sung, K. H., Baek, K. O. and Jeong, S. J. (2004). "Experimental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in meandering chann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7, No. 07, pp. 527-540. 

  17. Son, G., You, H. and Kim, D. (2014). "Feasibility calculation of FaSTMECH for 2D velocity distribution simulation in meandering chann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4, No. 6, pp. 1753-1764. 

  18. Song, A. R., Ryu, J. H. and Han, K. Y. (2011). "A study of flow characteristics in meanderi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3, pp. 191-200. 

  19. Wu, W., Wang, S., S. Y. and Jia, Y. (2000). "Nonuniform sediment transport in alluvial river."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38, No. 6, pp. 427-434. 

  20. Yang, C. T. (1973). "Incipient motion and sediment transport." Journal of Hydraulics Division, ASCE, Vol. 99, No. 10, pp. 1679-17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