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해 군산분지 표층 퇴적물의 점토광물 함량 분포 및 이동경향 연구
Distribution of Clay Minerals in Surface Sediments of Kunsan Basin, Yellow Sea and their Transport Pathway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0 no.4, 2015년, pp.169 - 179  

노경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관할해역지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해 군산분지 니질 퇴적물 이동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층 퇴적물과 코어 퇴적물 시료에 대한 점토광물 함량 공간분포 및 이동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층 퇴적물의 점토광물 함량은 일라이트가 63.4~71.9%로 가장 우세하고, 다음으로 녹니석(15.1~20.2%), 고령석(10.3~17.2%), 스멕타이트(02~6.9%)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스멕타이트는 연구지역의 남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이며, 일라이트는 연구지역의 북쪽 중앙부, 그리고 고령석+녹니석은 연구지역의 북동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인다. 점토광물의 이동경로 파악을 위해 해저 수로 방향과 조석류 경로를 고려한 각 점토광물의 함량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스멕타이트의 경우는 남쪽 황해 해곡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뚜렷한 경향을 보였으나, 고령석+녹니석은 한국의 연안과 가까운 연구지역의 북동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스멕타이트는 연구해역의 남쪽으로부터 반면, 고령석+녹니석은 한국 연안쪽으로부터 유입되었음을 보여준다. 코어 퇴적물 분석 결과, 현생 퇴적층에서 스멕타이트의 함량은 상부로 갈수록 감소하고, 대조적으로 고령석+녹니석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해수면 상승이 완료된 이후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니질 퇴적물은 점차 감소하고 한국으로부터 유입된 니질 퇴적물은 상대적으로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transport pathways of muddy sediment of the Kunsan basin in Yellow Sea, grain sizes and clay mineral of 32 surface sediments and a sediment core were analyzed. In the study area, illite is predominant (63.4~71.9%), followed by chlorite (15.1~20.2%), kaolinite (10.3~17.2%) and sm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군산분지 해역의 표층 퇴적물과 황해 중앙 니질대(CYSM)에서 취득한 코어 퇴적물의 점토광물 분석을 통하여 표층 퇴적물의 점토광물 공간분포 양상과 코어 퇴적물 현생 퇴적층 내에서의 점토광물 함량 변화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황해 니질퇴적물의 이동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연구해역 표층 퇴적물의 점토광물 함량분포는 평균입도분포에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표층퇴적물 평균 입도는 연구지역의 중앙 수로를 중심으로 동-서 방향의 변화 패턴이 뚜렷한 반면에, 각 점토광물 함량 분포는 남-북 방향의 변화 패턴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 점토광물의 상대적 함량은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Biscaye(1965) 방법을 적용하였다. 각 점토광물의 상대 함량 계산은 일라이트, 고령석, 녹니석, 스멕타이트의 4개 광물 총량을 100%로 가정하여 계산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많은 학자들이 황해 퇴적물의 기원을 밝히는데 점토광물 성분 분석을 수행하는 이유는? , 2014). 퇴적물 기원지연구의 여러 분석 방법들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중 하나가 점토광물의 상대적 함량분석 이다. 점토광물은 육상으로부터 기원하는 니질 퇴적물을 구성하는 주요 광물이며, 바다로 운반되는 동안 광물의 화학적 특성이 크게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이 연안이나 대륙붕 퇴적물에서 육상 기원의 점토광물(clay minerals) 성분 분석을 통한 황해 퇴적물의 기원을 밝히려는 연구를 수행 하였다(Chough and Kim, 1981; Park and Khim, 1990, 1992; Lee and Chu, 2001; Lim, 2003; Wei et al.
본 논문에서 황해 군산분지 니질 퇴적물 이동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무엇을 분석하였는가? 황해 군산분지 니질 퇴적물 이동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층 퇴적물과 코어 퇴적물 시료에 대한 점토광물 함량 공간분포 및 이동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층 퇴적물의 점토광물 함량은 일라이트가 63.
본 연구에서 표층 퇴적물의 점토광물 함량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황해 군산분지 니질 퇴적물 이동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층 퇴적물과 코어 퇴적물 시료에 대한 점토광물 함량 공간분포 및 이동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층 퇴적물의 점토광물 함량은 일라이트가 63.4~71.9%로 가장 우세하고, 다음으로 녹니석(15.1~20.2%), 고령석(10.3~17.2%), 스멕타이트(02~6.9%)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스멕타이트는 연구지역의 남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이며, 일라이트는 연구지역의 북쪽 중앙부, 그리고 고령석+녹니석은 연구지역의 북동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문동혁, 김순오, 이희일, 신동혁, 조현구, 2007. 황해 표층 퇴적물의 X-선 광물정량분석; 2001년 황해 2차 탐사자료. 한국광물학회지, 20: 203?212. 

  2. 문동혁, 이희일, 신동혁, 신경훈, 조현구, 2008. 황해 표층퇴적물의 점토광물 분포; 절대광물조성과 상대광물조성. 한국광물학회지, 21: 289?295. 

  3. 문동혁, 이희일, 신경훈, 도진영, 조현구, 2009. 정량 X선 회적분 석법을 이용한 황해 남동부, 한국남해 및 제주도 남단 표층 퇴적물의 광물분포 연구. 한국광물확회지, 22: 49?61. 

  4. 박찬홍, 2010. 황대 대륙붕 퇴적물 코어의 점토광물 연구.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대학원, 104 pp. 

  5. 서승남, 2008. 한국 주변해역 30초 격자수심-KorBath30s.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20: 110?120. 

  6. 정회수, 임동일, 유해수, 2006. 북동중국해 코아 퇴적물의 희토류원소 분포 양상과 기원. 자원환경지질, 39: 39?51. 

  7. 임동일, 노경찬, 장풍국, 강선미, 정회수, 정래홍, 이원찬, 2007.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Ocean Polar Research., 29(2): 135?153. 

  8. 조현구, 김순오, 이희일, 2012. 황해 남동 이질대 퇴적물의 점토 광물분포 및 특성. 한국광물 학회지, 23: 163?173. 

  9. 최진용, 임동일, 박찬홍, 김소영, 강소라, 정회수, 2010. 황해 주변 강하구 퇴적물의 점토광물 함량 특성과 대륙붕 니질대 퇴적물의 기원. 지질학회지, 46: 497?509. 

  10. Alexander, C.X., DeMaster, D.J. and C.A. Nittrouer, 1991. Sediment accumulation in a modern epicontinentalshelf setting in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98: 51?72. 

  11. Biscaye, P.E., 1965. Mineralogy and sedimentation of recent deepsea clay in the Antlantic Ocean and adjacent seas and ocean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76: 803?832. 

  12. Cattaneo, A. and R.J. Steel, 2003. Transgressive deposits: a review of their variability. Earth-Science Reviews., 62: 187?228. 

  13. Cho, Y.G., Lee, C.B. and M.S. Choi, 1999. Geochemistry of surface sediments off the southern and western coast of Korea. Marine Geology., 159: 111?129. 

  14. Chough, S.K. and D.C. Kim, 1981. Dispersal of fine-grained sediments in the southerneastern Yellow Sea: a steady-state model.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1: 721?728. 

  15. Chough, S.K., J.W. Kim, S.H. Lee, Y.J. Shinn, J.H. Jin, M.C. Suh, and J.S. Lee, 2002. High-resolution acoustic characteristics of epicontinental sea deposits, central-eastern Yellow sea. Marine Geology., 188: 317?331. 

  16. Dalymple, R.W. and K.S. Choi, 2007. Morphilogic and facies trends through the fluvial-marine transition in tide-dominated depositional systems: A schematic framework for environmental and sequence-stratigraphic interpretation. Earth-Science Reviews., 81: 135?174. 

  17. Gibbs, R.J., 1965. Error due to segregation in quantitative clay mineral X-ray diffraction mounting techniques. American Mineralogy., 50: 741?751. 

  18. Gibbs, R.J., 1977. Clay mineral segrega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 Journal of Sedimentological Petrology., 47: 237?243. 

  19. Hori, K. and Y. Saito, 2007. An early holocene sea-level jump and delta initia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L18401. 

  20. Hori, K., Y. Saito, Q. Zhao, X. Cheng, P. Wang, Y. Sato, and C. Li, 2001. Sedimentary facies of the tide-dominated paleo-Changjiang (Yangtze) estuary during the last transgression. Marine Geology., 177: 331?351. 

  21. Hori, K., Y. Saito, Q. Zhao, and P. Wang, 2002. Evolution of the coastal depositional systems of the Changjiang (Yangtze) River in response to late Pleistocene-Holocene sea-level changes.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72: 884-97. 

  22. Ichikawa, H. and R.C. Beardsley, 2002. The current system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 Journal of Oceanography., 58: 77?92. 

  23. Ingram, R.L., 1971. Sieve analysis. In: Carver, R.E. (Ed.),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Wiley-Inter Science., New York, pp. 49-7. 

  24. Jung, W.Y., B.C. Suk, G.H. Min, and Y.K. Lee, 1998. Sedimentary structure and origin of a mud-cored pseudo-tidal sand ridge, eastern Yellow sea. Korea, Marine Geology., 151: 73?88. 

  25. Khim and Park, 1992. Smectite as possible sourceindicative clay mineral in the Yellow Sea. Geo-Marine Letters., 12: 228?231. 

  26. Lee, H.J. and S.K. Chough, 1989. Sediment distribution, dispersal and budget in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87: 195?205. 

  27. Lee, H.J. and Y.S. Chu, 2001. Origin of inner-shelf mud deposit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Huksan Mud Belt.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71: 144?154. 

  28. Lee, G.S., Kim, D.C., Yoo, D.G. and Y, H.I, 2014.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deposits using high resolution seismic profile in the southern Yellow sea. Quaternary International., 344: 109?124. 

  29. Lee, S.H., Y.J. Shinn, K.E. Lee, and H.S. Yoo, 2009. Depositional development of an isolated mound and adjacent area in the southern Yellow Sea during the last postglacial sea-level rise. Marine Geology., 265: 19?30. 

  30. Li, J., B.Q. Hu, H.L. Wei, J.T. Zhao, L. Zou, F.L. Bai, Y.G. Dou, L.B. Wang, and X.S. Fang, 2014. Provenance variations in the Holocene deposits from the southern Yellow Sea: clay mineralogy evidence. Continental Shelf Research., 90: 41-1. 

  31. Li, Y., A.C. Li, H, P., F.J. Xu, and X.F. Zheng, 2014. Clay minerals in surface sediment of the north Yellow sea and their implication to provenance and transportation. Continal Shelf Research., 90: 33?40. 

  32. Lim, D.I., 2003. Geochemical compositions of coastal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South Sea of Korea: potential provenance of sediment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337?345. 

  33. Lim, D.I., J.Y. Choi, H.S. Jung, K.C. Rho, and K.S. Ahn, 2007. Recent sediment accumulation and origin of shelf mud deposits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s. Progress in Oceanography., 73: 145?159. 

  34. Lim, D.I., J.Y. Choi, and H.S. Jung, 2014. REE partitioning in riverine sediments around the Yellow Sea and its importance in shelf sediment provenance. Marine Geology., 357: 12?24. 

  35. Lim, D.I., Z. Xu, J.Y. Choi, T. Li, and S.Y. Kim, 2015. Holocene changes in detrital sediment supply to the eastern part of the central Yellow Sea and their forcing mechanism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05: 18?31. 

  36. Liu, J.P., J.D. Milliman, S. Gao, and P. Cheng, 2004. Holocene development of the Yellow River's subaqueous delta, North Yellow Sea. Marine Geology., 209: 45-7. 

  37. Milliman, J.D. and R.H. Meade, 1983. World-wide delivery of river sediment to the oceans. J. Geol., 91: 1-1. 

  38. Milliman, J.D., F. Li, Y.Y. Zhao, T.M. Zheng, and R. Limeburner, 1986. Suspended matter regime in the Yellow Sea. Progress in Oceanography., 17: 215?227. 

  39. Park, Y.A. and B.K. Khim, 1990. Clay minerals of the recent finegrained sediments on the Korean continental shelves. Continental Shelf Research., 10: 1179?1191. 

  40. Park, Y.A. and B.K. Khim, 1992. Origin and dispersal of recent clay minerals in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104: 205?213. 

  41. Stokke, P.R. and B. Carson, 1973. Variation in clay mineral X-ray diffraction results with the quantity of sample mounted.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43: 957?964. 

  42. Uehara, K. and Y. Saito, 2003. Late Quaternary evolution of the Yellow/East China Sea tidal regime and its impacts on sediments dispersal and sea floor morphology. Sediment. Geology., 162: 25-8. 

  43. Uehara, K., Y. Saitom, and K. Hori, 2002. Paleo regime in the changjiang(Yangtze) estuary,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oolw sea at 6 ka and 10 ka estimatedfrom a numerical model. Marine Geology., 183: 179?192. 

  44. Wei, J., X. Shi, G. Li, and R. Liang, 2003. Clay mineral distributions in the southern Yellow Sea and their significance. Chinese Science Bulletin., 48: 7?11. 

  45. Xu, K., J.D. Milliman, A. Li, J.P. Liu, S.-J. Kao, and S. Wan, 2009. Yangtze- and Taiwan-derived sediments on the inner shelf of East China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29: 2240?2256. 

  46. Yang, S.Y., H.S. Jung, D.I. Lim, and C.X. Li, 2003. A review on the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ediments in the Yellow Sea. Earth-Science Review., 63: 93?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