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캐나다 시민적 다문화주의 정책의 특징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Civic Multiculturalism Policy of Canad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1, 2015년, pp.15 - 23  

이진아 (부산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체계적인 다문화주의 정책과 더불어 성공적으로 다문화주의를 운영하는 데 있어서 선두국가 중 하나로 일컬어지는 캐나다 다문화주의 정책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우리나라 다문화주의 정책에 제시하는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캐나다 다문화주의의 의미, 역사, 정책의 변화, 그리고 이러한 다문화주의를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관련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다문화주의 정책의 변화에 있어서 제도적 토대에 대한 구축뿐만 아니라 사회적 공감대 마련에 중점을 둔 시민적 다문화주의 정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다문화주의 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적, 인종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인정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 강력한 법률규정과 함께 위반 시 처벌에 대한 적용, 지역사회 기관을 중심으로 한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의 지원, 다양한 언어로 만들어진 정보 제공, 인종효과분석과 같은 도구의 개발과 사용이 제안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multiculturalism policy of Canada, where is praised for not only systematic multiculturalism policy but also one of the leading countries for successful managing of it, and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Korea through analysis. The meaning, history, policy changes of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다양한 인종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민자들의 시민권을 보호하고 또한 이들의 소속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캐나다 사회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다문화주의의 대중적 공감과 이해를 위해, 그리고 이러한 사회조성을 위해서 필요한 차별의 제거 및 소속감 증진을 위해 캐나다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우리 사회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 다. 왜냐하면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이주민이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차별의 해소 및 소속감 증진을 통한 시민으로서의 자리매김을 도모하는 것은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들을 미리 경험한 캐나다의 정책 내용의 분석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캐나다 다문화주의의 역사와 정책의 변화, 시민적 다문화주의의 내용, 인종차별 제거 및 소속감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이와 관련한 우리나라 다문화주의 정책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다문화주의 정책발전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캐나다 다문화 주의에 있어서 제도적 토대에 대한 기반조성 및 사회적 공감대 구축이라는 측면을 강조한[4], 시민적 다문화주의 정책 내용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다양한 인종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민자들의 시민권을 보호하고 또한 이들의 소속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캐나다 사회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캐나다 다문화 주의에 있어서 제도적 토대에 대한 기반조성 및 사회적 공감대 구축이라는 측면을 강조한[4], 시민적 다문화주의 정책 내용을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다양한 인종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민자들의 시민권을 보호하고 또한 이들의 소속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캐나다 사회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다문화주의의 대중적 공감과 이해를 위해, 그리고 이러한 사회조성을 위해서 필요한 차별의 제거 및 소속감 증진을 위해 캐나다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 왔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우리 사회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 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가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이유는? 우리나라는 외국인 노동자, 결혼이민여성, 북한이탈주민 등 이주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1]. 2014년 행정안전부 조사 결과에 의하면[2], 외국인 주민 수는 157만 명으로 이는 주민등록 인구의 3.
캐나다 다문화주의의 주축을 형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점에서 캐나다 다문화주의는 우리나라에서도 주목받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가 등장하고 있다[1,4,5]. 캐나다의 다문화주의는 1971년 공식적 다문화주의 정책 채택에서 시작되어 세계 최초로 1988년 다문화주의 법(Multiculturalism Act)을 제정하면서 그 안정적 기반이 마련되었는데[4], 시민적 (civic) 다문화주의 그리고 사법적(judicial) 다문화주의라는 두 개의 중요한 핵심요소가 캐나다 다문화주의의 주축을 형성하고 있다. 시민적 다문화주의는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존중과 다양성의 포용이라는 것이 특징이며, 사법적 다문화주의는 인권 보호를 그 골자로 하고 있고 있으며 이 내용들은 캐나다 다문화주의 법에 담겨있다[3].
우리나라가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라는 변화를 수용하는데 유연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더불어 급속한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인한 생산연령 인구의 감소로 인해 더 많은 외국인 노동자들의 유입의 필요성과 함께, 결혼이민자 및 이로 인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증가가 예측되므로[3], 우리나라의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은 기정사실화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오랜 기간 단일민족이라는 강한 국가적 정체성에 대한 자긍심이 국민들 사이에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적 현실을 수용하는 데 있어서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여전히 존재하는 외국인 노동자 및결혼 이주 여성 등에 대한 인권침해 및 차별은 이들이 우리 사회에 정착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속도를 더해갈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를 수용하는데 있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 Y. Shin, "Review on the Multicultural Program of Canada: Focusing on It's Implication for Korea", Journal of Education and Culture, Vol. 15, No. 2, pp. 45-74, 2009. 

  2.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4 Present Condition of Foreign Residents in Local Government" , 2014. 

  3. M. C. Yan et al., "Civic and Judicial Multiculturalism of Canada: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Canadian Model of Diversity for South Korea", Korea Observer, Vol.44, No.1, pp, 87-112, 2013. 

  4. J. K. Park, " Multiculturalism and Strategies for Social Integration: Canadian Experience and Implication for Korea",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s, Vol, 16, No. 1, pp. 23-48, 2012. 

  5. Y. L. Kim, "The Social Integration and the Multiculturalism Policy of Multicultural Society Korea", Korea Society, Vol. 14, No. 1, pp. 3-30, 2013. 

  6. H. Hyman et al., "The Role of Multiculturalism Policy in Addressing Social Inclusion Processes in Canada", CVSS, Working Paper Series, 3, 2011. 

  7. M. Dewing, "Canadian Multiculturalism, Parliament Information and Research Service", 2009. 

  8. A. Fleras et al, "Media and Minorities: Representing Diversity in a Multicultural Canada", Toronto: Thomson Educational Publishing, 2001. Cited in [6]H. Hyman et al., 2011. 

  9. P. K. Wood et al, "Multiculturalism in Canada: Accidental Discourse, Alternative Version, Urban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 Regional Research, Vol. 29, No.3, pp, 679-691, 2005. DOI: 10.1111/j.1468-2427.2005.00612.x 

  10. Citizenship and Immigration, "Th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ism in Canada and Research themes on Canadian Mulaticulturalism 2008-2010", Working Paper, 2011 

  11. Canadian Multiculturalism Act, "Justice Laws Homepage" http;//laws-lois,justice,gc,ca(September 29, 2015). 

  12. J. L. Kunz et al., "From Mosaic to Harmony: Multicultural Canada in the 21st Century", Policy. 

  13. Policy Research Initiative, "Understanding Canada's "3M"(multicultural, multilinguistic and multi-religious) Reality in the 21st Century", Report to Government of Canada, 2009. 

  14. A-L, Yasmeen et al, "Selling Diversity: Immigration, Multiculturalism, Employment Equity, and Globalization", pp202, Peterborough: Broadview Press, 2002. 

  15. I. Hyman, "Racism as a Determinant of Immigrant Health", Ottawa: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 and Metropolis Canada, 2009. 

  16. P. B. Wood et al, "AlieNation: Racism, Injusticeand Other Obstacles to Full Citizenship", CERIS Working Paper, 78, 2011. 

  17. Colour of Change, "Ontario's Racial Equity Justice Review with Respect to Recent Federal Policies", Programs and Initiatives, 2008. 

  18. M. Woolcock,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r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Theory and Society, Vol. 27, No. 2, pp, 151-208, 1998. 

  19. J. L. Kunz, "Social Capital: A Key Dimension of Immigrant Integration", Canadian Issues, April, 2003. 

  20. V. H. Esses et al, "Characteristics of a Welcoming Community", Report to CIC. 

  21. W. Kymlicka, "Multicultural Citizenship within Multination States", Ethinicities, Vol.11, No. 3, pp, 281-302. DOI: 10.1177/1468796811407813 

  22. J-Y. Lee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olicy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and Taiwan",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Vol.16, No. 3, pp, 157-186, 2012. 

  23. K. J. Hwang, "A Critical Analysis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on the Ba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ies", Journal of Social Studies, Vol.18, No. 4, pp, 151-167,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