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복합 시대 휴먼서비스분야 전공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s of Human Services for the Era of Fusion and Conver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1, 2015년, pp.493 - 507  

박소정 (동신대학교) ,  배양자 (동신대학교) ,  박순희 (동신대학교) ,  김선애 (경인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휴먼서비스분야 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다문화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다문화에 대한 대학의 교육 실태와 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한 결과, 문화적 역량 수준은 평균 3.49점으로 중간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경험에 있어서는 외국을 방문한 경험을 가지고 있거나 외국에서 거주한 적이 있거나, 외국인 친구가 있거나, 외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조사대상자의 성별과 전공에 따른 문화적 역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을 위한 국내 자원봉사활동에도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overall results are discussed by two sections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multicultural competence is 3.49, above moderate. The studen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과, 교육학과, 간호학 전공 대학생들의 다문화 역량을 비교해보고 휴먼서비스 학과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학과 간 융복합의 필요성을 타진해 봄으로써 사회복지현장에서 보다 다문화 현실을 제고하는 전문적 실천이 가능하도록 하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들을 원조할 휴먼서비스분야 전공 학과는 다문화 관련된 교육을 중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휴먼서비스분야 전공학과인 사회복지학과, 교육학과(사범대와 유아교육학과 포함), 간호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4년제 대학교 총 12개에서 위의 전공을 하고 있는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문화적 역량을 조사해 보았다. 이에 조사대상자는 총 2,190명으로, 이는 조사대상 학과 총 50개 중 각 대학의 학교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정원수를 참고하고 그 외는 학과조교에게 문의하여 파악한 수이다.
  • 또, 대학은 학생의 활동지원에 일정 정도의 예산을 할애하고 있는 바, 특히 학생의 해외 자원봉사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을 위한 국내 자원봉사활동에도 학생들의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다문화가정 아동과 교육학과 학생들이 멘토십을 할 수 있도록 현장체험비를 교과목에 배정했던 사례처럼, 학생들의 교육 및 봉사 활동에 대한 대학지원은 교수와 학생에게 이러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현재 국내에서는 기업을 포함한 다양한 기관에서 대학생들의 해외자원봉사를 지원하고 있지만 외국어 수준 등 지원대상이 되는 기준이 엄격하여 개인적으로‘준비’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기회 접근이 쉽지 않다는 평가가 있었다.

가설 설정

  • 둘째, 휴먼서비스분야 전공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은 인구학적 특성(성별,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인 주민 수가 해마다 증가하는 이유는? 이처럼 외국인 주민 수가 해마다 증가하는 것은 80년대 이후 3D 업종의 기피현상과 혼인수급의 불균형의 해결책으로 외국으로부터의 노동력 유입과 국제결혼을 권장하였기 때문이다. 해외 이주자들이 증가하면 유입국에서는 부족한 노동력이 충당되어 경제성장과 고용 창출이 일어나는 한편, 만성적인 빈곤과 실업률, 적은 일할 기회, 낮은 생활수준에 시달리는 유출국은 자국 내 송금의 증가로 인한 국가적 수입의 증대와 개인 빈곤의 해소라는 경제적 이득을 얻으므로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볼 때 인구 유출국과 유입국 사이의 경제적 격차 해소에 기여한다[38].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의 변화 추이는? 현재 우리나라는 전 지구적 세계화의 영향으로 국가간 정보, 기술, 자원 및 노동력의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인종적·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하고 있다. 법무부 연도별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는 1990년 49,507명에서 2010년에는 1,261,415명으로 25배 가까이 증가하였고, 2013년 4월 현재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들은 1,486,367명으로 주민등록 인구의 2.9%에 달하고 있다. 이들의 출신국가는 중국(조선족, 한족), 미국, 일본, 필리핀, 태국, 몽골, 베트남, 러시아 등 196개국에 이른다[49].
교사들은 학생들의 성, 인종, 문화 그리고 언어의 다양한 배경들에 민감하게 인식해야하는 이유는? 2011년 교육부 통계에 의하면 다 문화 학생(한국출생, 중도입국, 외국인자녀)은 초등학생 28,667명, 중학생 7,634명, 고등학생 2,377명으로 초등학생이 많은데, 만5세 미만의 다문화 가정 자녀가 취학할 경우 현재보다 훨씬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19]. 다문화 가정의 아동들은 언어 능력과 학습 부진 및 학교부 적응을 겪고 있으며, 집단 따돌림, 정체성 혼란, 정서장애 등을 경험하는 비율이 주류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들의 한국어 능력 향상, 학교적응, 차별·소외감 해소 등 교육적 과제가 부각되고 있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Yongsin Kim, The Analytical Approach to Multicultural Concep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Social studies education, Vol. 47, No. 2, pp. 5-22, 2008. 

  2. Yeunhee Kim. Diversification in Korea and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elfar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35, pp.35: 117-144, 2007. 

  3. Jungdeok Kim, Kyunghwan M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Disposition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The Journal of Cultural Education, Vol. 17, No. 3, pp. 193-226, 2011. 

  4. Jungdeok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Disposi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in Prospectiv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8, No. 2, pp. 119-140, 2011. 

  5. Eunhee Noh, A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for Developing Multicultural Competencies.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 90, No. 2, pp. 113-148, 2011. 

  6. Choongrai Nho, Jeonghwa Kim,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Competency Scale for Human Serv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3, No. 2, pp. 207-231, 2011 

  7. Sunyoung Min, An Exploratory Study on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Worker. Students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1, pp. 1-28, 2008. 

  8. Sunghye Min, Minyoung Lee, A Exploratory Study about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the Cultural Awarenes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1, No. 1, pp. 183-206, 2009. 

  9. Jongeun Moon, Mikyung Ju, A Case Study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Course: An Analysis of Course Effect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Vol. 13, No. 3, pp. 103-132, 2010. 

  10. Keunsoo Park, Heejung Shin,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cultur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regional studies, Vol. 19, No. 4, pp. 1-72, 2011. 

  11. Chaehyeong Park,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Journal of Leam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2, No. 1, pp. 141-159, 2012. 

  12. Younghwa Sung, Jiyoung Lee, Validation of a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for young children's teacher.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19, No. 4, pp. 177-187, 2010. 

  13. Wonoak Oh,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Sensitiv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 17, No. 4, pp. 222-229, 2011. 

  14. Wonoak Oh, woosik Jung, Hyunggon Kang, Eunhye Kim, Minhyun Suk, Cultural Knowledge, Empathy and Cultural Sensitiv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Health And Welf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 23, No. 2, pp. 192-199, 2010. 

  15. Hwayoung Oh, A Study on Social Integr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ies - The Meaning of Hong-Ik-In-Gan Thought. Journal of Sundo Culture, Vol. 9, pp. 356-397, 2010. 

  16. Gabjung Yoon, Mijung Kim, Development of Cultural Competency for Preschool Teacher in the Multicultural Era.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53, No. 4, pp. 55-85, 2008. 

  17. Gabjung Yoon, Mijung Kim,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for preschool teachers in the multicultural era. Journal of Childhood Education, Vol. 30, No. 3, pp. 169-194. 2010. 

  18. Injin Yoon, multiculturalism by state and multiculturalism by peopl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Vol. 8, No. 1, pp. 251-291, 2007. 

  19. Jinsook Won, A study of developing Elementary teachers training strategies for empowering Multicultural KSL Teacher Compete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 139, pp. 81-113, 2012. 

  20. Gyurim Lee, Youngok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and the professional dispositio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6, No. 5, pp. 335-352, 2011. 

  21. Kyunghwa Lee, Minkyoung Hong, The analysis on multicultural efficacy and demand for multicultural program of kindergarten teachers.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0. 

  22. Mirim Lee, How are Social Workers acquiring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ork Practice? Doctoral Dissertation of Hannam University, 2011. 

  23. Byungjun Lee, What is multicultural competencies?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Educationalidea, Vol. 37, pp. 1-11, 2007. 

  24. Youngjea Lee, How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ulticultur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divergency and consent frame.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 19, No. 2, pp. 172-204, 2011. 

  25. Jaekyeong Lee, Choojae Lee,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Worker's Cultural Competence. Social Science Research, Vol. 88, No. 1, pp. 183-204, 2012 

  26. Juengeun Lee, The Comparison of Teacher's Competence on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pecial Education Research, Vol. 11, No. 1, pp. 81-105, 2012. 

  27. Mihye Chang, Hyeyoung Kim, Shungwha chung, Hyojung Kim, Korean Multicultural Policy and Political Countermeasures. Research Report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Vol. 2, pp. 236-293, 2008. 

  28. Insil Chang, Exploring and Developing Model of Teacher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 21, No. 2, pp. 281-305, 2008. 

  29. Kiseon Chung, Kwanghee Jun, Kisoo Eun, Seokho Kim, Dongkwan Kang, Jeongwoo Rhee, Seori Choi, Research on Policy Direction of Immi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 response to demographic changes in Korea. 2011 Service Report by Ministy of Justice, 1-172, 2011. 

  30. Sunyoung Jung, Current State of and Suggestions for Multicultural Social Work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Vol. 6, No. 2, pp. 1-22, 2013. 

  31. Hyesuk Chong, Understanding of the field for immigrant workers and its implication for social welfare educ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 11, pp. 97-128, 2010. 

  32. Kinam Jin, Jinjoo Kim, Donghyo Sung, Seulki Hwang, Won Ju Jung, Cultural Competence of Global Healthcare Providers in Healthcare Setting: Case Study of Seoul A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0, No. 2, pp. 581-598, 2010. 

  33. Duckhee Chae, Yunhee Park, Taehwa, Lee Kyeonghwa Kang,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8, No. 1, pp. 76-86, 2012. 

  34. Soyun Choi, A Study on the Preceding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of Social Workers Working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 39, pp. 113-141, 2013. 

  35. Wonhee Choi, Yeonson Choi, Hyeji Choi, Study on the Effects of Cultural Competence on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 11, No. 2, pp. 1-34, 2009. 

  36. Chungok Choi, Kyunghwan Mo, Investigating Multicultural Efficacy of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Vol. 39, No. 4, pp. 163-182, 2007. 

  37. Beongwan Chu, Jeonghye Yang, Jihyun Yoon, Hyungyu Kwak, Hyekyoung Hwang, Development and Effective Analysis of Multicultural Training Program for Nursery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ts Effect.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Vol. 22, No. 3, pp. 15-34, 2011. 

  38. Seungjun Han, Governance strategy according to developmental phases of a multicultula society.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Vol. 3, No. 2, pp. 99-122, 2008. 

  39. Bitonti, C., E. Albers, and T. Reilly. "Multicultural Competence in Nevada Human Services: A Statewide Survey."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al Work, Vol. 4, No. 4, pp. 67-83, 1996. 

  40. Epsteins, R, and E. Hunder. "Defining and Assessing Professional Competenc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7(2), 226-235. 2002. 

  41. Hasenfeld, Y. Humen Services as Complex Organization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92. 

  42. Ho PhD, M. K. Use of Ethnic-Sensitive Inventory(ESI) to Enhance Practitioner Skills with Minorities.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al Work, Vol. 1, No. 1, pp. 57-68, 1990. 

  43. Manoleas, P. "An outcome approach to assess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MSW students."Journal of Multicultural Social Work, Vol. 3, No. , pp. 43-58, 1994. 

  44. Troper, Harold. "Multiculturalism". Encyclopedia of Canada's Peoples, edited by Paul Robert Magoci(ed.).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997-1006, 1999. 

  45. Weiner, Myron E. Humen Services Management: Analysis and Applications: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 1990. 

  46. Giyoung Lee, Myungmin Choi, Hyunmi Choi, Chungchin Kim, Multicultural social work Seoul: Hakjisa, 2009. 

  47. Jungae Song, Haeeun Chung, Social work with families Gyeonggi: Yangseowon. 2007. 

  48. Jihyun Im, at all, The struggle of memory and history Seoul: Samin, 2002 

  49. Ministry of Justice.http://www.moj.go.kr. Monthly Report of Policy Statistics for foreigners, 2013. 

  50. Policy Planning Committee for foreigners Ministry of Justice http://www.immigration.go.kr. 2012 Policy Planning for foreigners, 1-39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