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우 시 주거지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during the Precipitation in Residential A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4, 2015년, pp.391 - 401  

권헌각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임태효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나승민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이춘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천세억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역에 대해 세분류 형태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해 강우 시 유출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형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출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단독주거지역 및 아파트지역의 강우사상별 유출형태 및 농도 변화 형태를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강우사상에서 초기유출수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형태를 나타내었으나 두 지점의 경우 강우량별 유출율의 차이가 크게 조사되었다. 평균 유출부하량은 단독주거지역의 경우 BOD $101.0kg/km^2$, SS $232.2kg/km^2$, T-N $18.2kg/km^2$, T-P $2.0kg/km^2$이며, 아파트지역의 평균 유출부하량은 BOD $108.82kg/km^2$, SS $329.18kg/km^2$, T-N $57.67kg/km^2$, T-P $4.21kg/km^2$으로 산정 되었다. 평균 EMCs는 단독주거지역에 대해 산정된 평균 EMCs의 경우 BOD 6.6 mg/L, SS 12.8 mg/L, T-N 1.518 mg/L, T-P 0.099 mg/L로 조사되었다. 아파트 지점 평균 EMCs의 경우 BOD 6.3 mg/L, COD 11.2mg/L, SS 14.5 mg/L, T-N 3.1 mg/L, T-P 0.2 mg/L로 조사되었다. 주거 형태에 따른 초기세척비율을 산정한 결과, 단독주거지역의 경우 총유출량 기준 초기 30%의 유출 시, $MFF_n$ 값이 T-P 1.04 > T-N 0.97 > BOD 0.90 > SS 0.80의 순으로 비율차이를 나타내었다. 아파트지역 n=30에서 수질항목별 $MFF_n$ 값의 경우, BOD 1.49 > T-P 1.40 > SS 1.30 > T-N 0.96의 순으로 비율차이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divided into small category groups for the residential area it was carried out monitoring for the runoff during precipitation. Based on the results analyzed according to the nonpoint sources Housing leakag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rainfall runoff and concentration of each ty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각의 조사지점은 배수구역의 대부분이 불투수면(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으로 구성되어있어 다양한 토지피복지역에 비해 강우유출수가 비교적 쉽게 발생된다. 강우 시 외부로부터 유입이 없어 해당 토지피복의 유출특성을 독립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지점을 선정하였다. 조사대상 단독주택지역 및 아파트지역은 관내 하수관거 정비를한 지역으로서 하수 및 우수가 분류되어 배출되는 대상지역을 선정하였으며, 조사지점에 우수가 유출되어 남강으로 배출되기 전 맨홀에 조사지점을 선정하였다.
  • 따라서 수역의 수질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역 내에 분포하는 비점오염원 발생량의 시·공간적 분포를 우선적으로 파악함과 아울러 수역으로 유출되는 오염발생량을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규명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Kwon, 2011).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해당하는 주거지역에 대해 강우 시 유출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거 형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유출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지역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지역에 따라 도시지역, 농촌지역, 자연지역, 수계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시지역은 주거, 상업, 공업, 교통지역으로 다시 세분화되며, 농촌지역은 논, 밭, 과수원으로 자연지역은 산림, 초원지역으로 세분된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993).
비점오염물질의 구분의 특성은? 도시지역은 주거, 상업, 공업, 교통지역으로 다시 세분화되며, 농촌지역은 논, 밭, 과수원으로 자연지역은 산림, 초원지역으로 세분된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993). 비점오염물질의 구분은 유역 및 지역의 토지이용 형태별로 강우유출수의 유출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강우 시 지표면에 축적되어 있던 각종 오염물질들이 유출수에 씻겨 단시간 내에 수체로 유입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해당 유출수가 유입되는 하천의 수질변화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Kwon et al.
배출지역에 따라 구분한 비점오염물질을 지역별로 세분화해서 구분하면? 비점오염물질은 배출지역에 따라 도시지역, 농촌지역, 자연지역, 수계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시지역은 주거, 상업, 공업, 교통지역으로 다시 세분화되며, 농촌지역은 논, 밭, 과수원으로 자연지역은 산림, 초원지역으로 세분된다(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993). 비점오염물질의 구분은 유역 및 지역의 토지이용 형태별로 강우유출수의 유출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강우 시 지표면에 축적되어 있던 각종 오염물질들이 유출수에 씻겨 단시간 내에 수체로 유입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edient, P. B., Harned, D. A., and Characklis, W. G. (1978). Stormwater analysis and prediction in Houston. J. Environment, 104(6), pp. 1087-1100. 

  2. Bedient, P.B., Lambert, J., Springer, N. K. (1980). Stormwater Pollutant Load-runoff Relationship, J. WPCF, 52(9), pp. 2396-2402. 

  3. Bedient, P. B., Harned, D. A., and Characklis, W. G. (2002). Stormwater analysis and prediction in Houston, J. Environ., 45(9), pp. 249-254. 

  4. Han, Y. H., Han, S. L., Lau, M. Kayhanian and Stestrom, M. K. (2006). Correlation analysis among highway stormwater pollutants and characteristics, J. of Water Sci. Technal., 53(2), pp. 235-243. 

  5. Janet Barco, Sergio Papiri, Michael K, Stenstron, (2008). First flush in a combined sewer system, Chemosphere, 71, pp. 827-823. 

  6. Kim, LH and Lee, SH (2005). Characteristics od Metal Pollutants and Dynamic EMCs in a Parking Lot and a Bridge during Storms.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1(4), pp. 385-392. [Korean Literature] 

  7. Kim, SK, Park, JS, Hong, HS and Rhee, KH (2012).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Runoff in Housing and Industrial Area during Rainfall. J. of Wetlands Research, 14(4), pp. 581-589.[Korean Literature] 

  8. Kwon, HG, Lee, JW, Yi, YJ, Yoon, YS, Lee, CS and Lee, JK (2011). The Applicability for Estimating MFFn by SWMM in The Trunk Road,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5), pp. 605-616.[Korean Literature] 

  9. Kwon, HG (2011). Quantitative Assessment of Nonpoint Source Load by Applying Watershed Model and Level-2 Land Cover Map,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Korean Literature] 

  10. Lee, HS and Lee, SH (2009). Runoff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in Small City Urban Area,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1(3), pp. 193-202. [Korean Literature] 

  11. Lee, JH, Cho, YJ, Bang, KW and Choi CS (2007). Water Qual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Bridge Road Runoff in Storm Event.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on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pp. 135. [Korean Literature] 

  12. Lee, J. H. and Bang, K. W., (2000). Characterization of Urban Stormwater Runoff, J. of Water Res., 34(6), pp. 1773-1780. 

  13. Matthias Obermann, Karl-Heinz Rosenwinkel, Marie-George Tournoud (2009). Investigation of first flushes in medium-sized mediterranean catchment, J. Hydro., 373, pp. 405-415. 

  1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993). A Study of Methodology for Nonpoint sources Runoff Characteristic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5. Roh, SD, Kim, JH, Lee, DG, Kim, SJ, Shon, BY and Chun YK (2006).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Discharge from Hoengseong Watershed during the Dry and Rainy Seasons, J.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2(4), pp. 525-533.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