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랭지배추 생산성 관련요인 평가 및 생육량과 생육도일에 의한 수량예측
Evaluation of Factors Related to Productivity and Yield Estimation Based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owing Degree Days in Highland Kimchi Cabbage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6, 2015년, pp.911 - 922  

김기덕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서종택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이종남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유동림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권민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  홍순춘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랭지배추의 생산성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실시간 계측한 생육 및 기상자료를 기반으로 고랭지배추의 수량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수확 시의 전생육량변수에 의한 구중 추정식과 비파괴 측정 생육량 변수에 의한 추정식에 의한 설명력의 차이를 비교한 다음,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비파괴측정 생육량 변수에 생육도일(growing degree days, GDD)을 포함한 구중추정 회귀모형을 작성하고, 이 구중추정식을 GDD에 의한 엽생장량과 실측 생장량의 비, 토양수분에 따른 생육속도, 그리고 생장단계 및 기간에 따른 상대생장률을 적용하여 보정하였다. 비파괴 생육량과 GDD에 의한 구중 추정식은 y = 6897.5 - 3.57 ${\times}$ GDD - 136 ${\times}$ 엽폭 + 116 ${\times}$ 초고 + 155 ${\times}$ 구고 - 423 ${\times}$ 구폭 + 0.28 ${\times}$ 구고 ${\times}$ 구폭${\times}$ 구폭($r^2=0.989$)로 나타났다. 수량 산정을 위한 엑셀스프레드시트모형을 작성하였으며, 이 모형은 고랭지배추 실시간 생육data 시트, GDD 계산을 위한 일별 온도data 시트, 재배지 토양수분data 시트, 그리고 도출된 모형방정식에 병해충 및 재배관리에 의한 수시변동 변량과 보정값을 입력하여 단수를 산정하는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작성된 엑셀스프레드시트 모형을 이용하여 재배면적 ${\times}$ 단위당 재식주수 ${\times}$ GDD와 비파괴 생육량에 근거한 예측구중 ${\times}$ GDD도입 보정값 ${\times}$ 토양수분 및 건조기간에 따른 보정값 ${\times}$ 상품률을 적용하여 권역별 수량을 산정하고 이들을 합산하여 고랭지배추의 총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of Kimchi cabbage cultivated in various highland areas, and to create a predicting model for the production of highland Kimchi cabbage based on the growth parameters and climatic elements. Regression model for the estimation of head we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현장 에서 실제로 엽수나 엽면적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식물체를 손상시킬 뿐 아니라, 엽장, 엽폭, 초고 등 외형적 생육량을 측정하는 것에 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특수장비도 요구되는 등 현실적으로 여러 포장에서 표본을 채취하여 조사하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따라서 현장에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비파괴 측정 생육량, 즉, 엽폭, 엽장, 구고, 구폭 등을 조사하여 이들만을 가지고 구중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포기의 형태를 고려하여 구고와 구폭을 승산한 응용변수를 적용하기도 하였다.
  • 배추의 수분은 95%정도로 체내 생체 대사뿐 아니라 중량의 변화 큰 영향을 미치므로(HARI, 2002) 토양수분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시켜 추정 구정을 보정하고자 하였다. 작물에 따라서는 생육에 관여하는 기상요인은 생육구간 또는 생태적 특성에 따라 기상요인의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Park, 1988).
  • 고랭지배추 수량예측을 위한 회귀분석 및 수량산정

    수량예측은 배추의 생장량으로부터 구중을 예측하고 기온, 토양수분의 영향 등 재배지 환경특성을 고려하여 보정 하고자 하였다. 한편 실제 재배지에서 양분부족에 의한 수량감소는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양분부족의 영향은 고려하지 않았으며(Lee et al.

  • , 1999) 적산일사량은 구중추정식에서 고려하지 않았다. 이에 고랭지배추재배지 권역별 위도 및 해발에 따른 기온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유효적산온도인 GDD만을 추가하였으며, 천후 의존적 관행 재배방식으로 인해 작물의 생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토양수분과, 재배 중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병이나 해충에 의한 피해 등 현장의 상황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아직 종합적인 기상요소들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작물생장량 척도를 포함하는 생육량 변수를 활용한 수량예측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확기에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고랭지배추의 생육량과 재배기간 중의 기온, 토양수분 및 실사된 상품률을 기반으로 고랭지배추의 수량 예측과 수량 산정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 ,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여러 요인들 중에서 재배기술은 평준화되어 있고, 기온의 영향이 가장 높으므로(Lee, 1996), 결정 계수가 다소 낮았던 비파괴 생육량에 의한 구중추정식에 유효 적산온도인 GDD를 포함시켜 보완할 목적으로 배추의 생장과 GDD와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GDD에 따른 배추의 생장 량은 정식기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Ahn et al.
  • 5), 추정된 구중을 보정하는데 토양수분의 영향 뿐 아니라 생육단계 따른 생장속도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토양수분부족의 영향은 실측 수분함 량에 의한 추정 엽폭(RSLW)과 실측 토양수분 및 상대생장률에 의한 추정 엽폭(SDLW)의 비로써 식 (5)에 의해 산출하여 생장량과 GDD에 의해 추정된 구중을 보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랭지배추의 생육적온은 어떻게 되는가? 고랭지배추는 여름철 신선한 김치원료의 주요 재료이다. 저온성 채소인 고랭지배추는 생육적온이 약 22°C 정도로 여름철 고온기에 평난지에서 재배가 곤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고랭지지역에서 경쟁력을 가진다(HARI, 2000). 그러나 최근 기후 온난화로 인해 점차 온도가 상승하고 빈번한 이상기상으로 인하여 작황이 매우 불안정하다.
배추의 생산량 변동에 따른 가격편차는 어떠한가? 특히 우리나라는 김치를 즐겨먹는 전통적인 식문화때문에 여름철에도 김치원료인 고랭지배추의 수급의 불안은 가격변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배추의 경우 생산량 변동에 따른 가격편차가 매우 커서 10% 정도의 생산량 변동만으로 가격은 3배까지 차이날 수도 있다(Lee, 1996). 이러한 측면에서 생산량을 예측하기 위한 노력이 기울여져 왔다.
최근 고랭지배추의 작황이 불안정해 진 까닭은 무엇인가? 저온성 채소인 고랭지배추는 생육적온이 약 22°C 정도로 여름철 고온기에 평난지에서 재배가 곤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고랭지지역에서 경쟁력을 가진다(HARI, 2000). 그러나 최근 기후 온난화로 인해 점차 온도가 상승하고 빈번한 이상기상으로 인하여 작황이 매우 불안정하다. 재배면적을 보더라도 2,000년에 약 10,000ha에 이르던 것이 최근 약 5,000ha로 급격히 감소하였다(MAFRA, 2014). 그런 배경에는 작황의 불안으로 소득감소로 이어진데다 중국산 배추의 수입이 한몫을 차지했다. 고랭지배추는 연작에다 고온 과습과 토양전염성병의 만연, 가뭄이나 생리장해의 발생으로 수량감소가 커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J.H., K.D. Kim, and J.T. Lee. 2014. Growth modeling of Chinese cabbage in an alpine a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309-314 (in Korean). 

  2. Han, S.H., B.H. Lee, M.S. Park, J.H. Seung, H.S. Yang, and S.C. Shin. 2011. A study of building crop yield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metoerological elements. KREI P 152:1-96 (in Korean). 

  3. Choi, S.J., A. S. Lee, S.J. Jeon, K.D. Kim, M.C. Seo, W.S. Jung, J. H. Maeng, and I.J. Kim. 2014. Estimating the yield of potato non-mulched using climatic elements. Korean J. Crop Sci. 59:89-96 (in Korean). 

  4. HARI. 2000. Vegetable cultivation technology in highland. p. 52-53 (in Korean). 

  5. Hoogenboom, G. 2000. Contribution of agrometeorology to the simulation of crop production and its applications. Agric. For. Meteorol. 103:137-157. 

  6. Kalisz, A., J. Kostrzewa, A. S?kara, A. Grabowska, and S. Cebula. 2012. Yield and nutritional quality of several non-heading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var. chinensis) cultivars with different growing period and its modelling.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0:650-656. 

  7. Kim, E.H. 1992. Effects of climatic elements on soybean yields. Korean J. Crop Sci. 37:320-328 (in Korean). 

  8. Kim, I.G., K.J. Park, and B.J. Kim. 2013. Analysis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yield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in winter cropping system.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59-66 (in Korean). 

  9. Kim, Y.J., B.S. Kim, S.W. Song, and Y.G. Park. 2006. The seasonal cabbage model. KREI W28. p. 17-33 (in Korean). 

  10. Lee, C.S., G.J. Lee, J.T. Lee, K.Y. Shin, J.H. Ahn, and H.J. Cho. 2002. Status of fertilizer applications in farmers' field for summer Chinese cabbage in highland. Korean J. Soil Sci. Fert. 34:306-313 (in Korean). 

  11. Lee, J.W. 1996. An study of decision-making factors of production for radish and Chinese cabbage. KREI R346:39-67 (in Korean). 

  12. Lee, S.K. T.C. Seo, Y.A. Jang, J.G. Lee, C.W. Nam, C.S. Choi, K.W. Yeo, and Y.C. Um. 2012. Prediction of Chinese cabbage yield as affected by planting date and nitrogen fertilization for spring production. J. Bio-Environ. Control 21:271-275 (in Korean). 

  13. MAFF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03.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of high quality stable production and control of bacterial soft rot of Chinese cabbage in alpine region. The Reseach Report. p. 22-66 (in Korean). 

  14. MAFRA. 2014. Current status of vegetable greenhouse and production of vegetables in 2013 (in Korean). 

  15. Mallow, C.L. 1973. Some comments on Cp. Technometrics 15. 661-675. 

  16. Monteith, J. and C Moss. 1977. Climate and the efficiency of crop production in Britain. Philos. Trans. R. Soc., B 281:277-294. 

  17. Moon, K.H., E.Y. Song, I.C. Son, S.J. Oh, and K.S. Park. 2014. Simple growth model of Chinese cabbage using radiation use efficienc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Suppl.). p. 133-136 (in Korean). 

  18. Park, J.Y., T.H. Kim, and Y.G. Park. 2014. Why are highland Chinese cabbage got reduced? Agriculture Outlook 2014. p. 499-514 (in Korean). 

  19. Park, K.Y. 1988. Modeling for predicting yield and $\alpha$ -acid content in hop (Humulus inpulus L.) from meteorological elements. Korean J. Crop Sci. 33:215-221(in Korean). 

  20. Radford, P.J. 1967. Growth analysis formulae-their use and abuse. Crop Sci. 7:171-175. 

  21. Sammis, T., and I.P. Wu. 1989. Deficit irrigation effects on head cabbage production. Agric. Water Manage. 16:229-239. 

  22. Weng, J.H., Y.P. Hsu, F.Y. Kuo, and W.J. Lin. 1999. Effects of climatic factors on the growth rate of pak-choi. Chinese J. Agrometeorol. 6:7-14 (in Chi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