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프레이 국화 형질전환을 위한 국내 육성 품종 선발
The Selection of Domestically Bred Cultivars for Spray-type Chrysanthemum Transformation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6, 2015년, pp.947 - 954  

서은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분자육종과) ,  한봉희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종자사업팀) ,  이연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분자육종과) ,  이성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분자육종과) ,  홍준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분자육종과) ,  김경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명자원부 분자육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전환에 적합한 국화 스프레이 타입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서 국내 연구기관에서 육성된 39개 품종 및 일본품종인 스탠다드 타입 신마를 모아 재분화율과 아그로박테리움 감염도를 조사하였다. 잎과 마디 절편체로부터의 신초 재분화를 위하여 IAA $0.5mg{\cdot}L^{-1}$와 BAP $1.0mg{\cdot}L^{-1}$가 첨가된 MS 배지를 사용하였다. 잎 절편체로부터의 신초 재분화는 BRM 품종이 가장 높았고 VS, WW, YTM 품종순으로 분화되었다. 이전에 형질전환재료로 보고된 바 있는 신마는 PK, SPP 품종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마디 절편체로부터의 신초 재분화는 PA 품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WW 품종이 다음으로 확인되었다. 40개의 국화 품종을 대상으로 아그로박테리움에 대한 감염도를 조사한 결과, 잎 절편체에서는 WPP, YNW, VS, PP, WW, FA, PA, YMN 품종이 가장 높았고 마디 절편체에서는 WPP, PA, PK, YNW 품종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화의 잎 절편체를 이용한 형질전환은 VS와 WW 품종이 가장 적합한 반면에 마디형질전환에는 PA 품종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elect suitable spray chrysanthemum cultivars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thirty-nine (39) spray cultivars bred in the National Institutes of Korea and a standard cultivar Jinba from Japan were collected and tested for regeneration rate and Agrobacterium infection assays. MS medi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에 반해 스프레이 국화는 시장성은 스탠다드에 비해 떨어지나 매우 다양한 품종 및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형질전환에 사용할 수 있는 유전자의 선택 폭이 넓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개발한 다양한 스프레이 품종 국화들을 대상으로 재분화 정도 및 아그 로박테리움의 감염 정도를 조사하여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형질전환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 향후 다양한 품종의 스프레이 국화 형질전환체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 국화 형질전환은 대부분 스탠다드 국화인 수방력(Han 등, 2007) 이나 신마(Lee 등, 2013; An 등, 2014; Song 등, 2014)에서 보고되었으며, 스프레이 국화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종을 통해 육성된 우수 스프레이 품종을 대상으로 형질전환을 하는데 반드시 확립되어야 할 조건인 재분화율과 아그로박테리움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39종의 스프레이 국화(Table 1)를 대상으로 기내 도입을 실시하였으며 이들로부터 잎과 마디 절편체를 채취하여 재분화 및 형질전환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형질전환을 통해 유용한 농업 형질을 국화에 도입한 예시는 무엇인가? 최근에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교배나 돌연변이 육종을 통해서는 불가능한 형질도 도입이 가능해졌는데 (Shinoyama 등, 2006), 1975년에 처음 국화의 아그로박테리움에 대한 감수성이 보고된 이래로(Miller, 1975) 많은 연구자들이 아그로박테리움을 이용한 형질전환을 통해 유용한 농업형질을 국화에 도입하고자 하는 시도를 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국화에서 도입이 시도된 형질은 다양한데 화훼작물에서 가장 중요한 화형이나 화색 형질, 전체적인 형태조절 관련 형질이 있으며 재배에 필요한 형질로 내충성, 바이러스 저항성, 개화시기조절, 곰팡이 저항성, 스트레스 저항성 유전자의 도입이 보고되었으며 최근에 상업화 및 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국화의 웅성불임관련 유전자의 도입도 보고되었다(Teixeira da Silva 등, 2013; Kim 등, 2010).
스프레이 국화의 특징은? ) Kitamura]는 세계 3대 주요 화훼작물이고 한국과 중국에서는 가장 중요한 절화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으며, 삽목이나 분주로 번식하고 있다. 특히 스프레이 국화는 풍부한 색과 화형을 보이는 수많은 품종들 때문에 미국과 유럽에서는 2번째로 큰 절화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Chen, 2005; Li 등, 2009).
스프레이 국화의 스탠다드 국화와 비교하였을 때의 장점은 무엇인가? 스프레이 국화의 경우 국내에서 다수의 품종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네덜란드 육종회사에서 개발된 다양한 화색과 화형을 가진 품종에 비해 국내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절대적인 품종 육성이 미진한 실정이다(Hwang 등, 2013). 스탠다드 국화에 비해 스프레이 국화는 다양한 품종이 있는 것이 장점이지만 주력으로 재배되는 품종이 없어 각 품종이 절화시장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미미하다. 형질전환에 있어서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스탠다드 품종에서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스탠다드 품종은 전체적인 화형이나 초장, 엽형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으로 형질전환을 해야 하므로 목적하는 유전자 선정이 매우 국한되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ida, R., Y. Tabei, M. Hirai, and M. Shibata. 1992.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chrysan-themum. Breed. Sci. 42:270-271. 

  2. An, J., A. Song, Z. Guan, J. Jiang, F. Chen, W. Lou, W. Fang, Z. Liu, and S. Chen. 2014. The over-expression of Chrysanthemum crassum CcSOS1 improves the salinity tolerance of chrysanthemum. Mol. Biol. Rep. 41:4155-4162. 

  3. Chen, L. 2005.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market of chrysanthemum. Greenhouse Hortic. 8:20-22. 

  4. De Jong, J., W. Rademaker, and K. Ohishi. 1995.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chrysan-themum. Plant Tissue Cult. Biotechnol. 1:38-42. 

  5.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1:1-42. 

  6. Fukai, S., J. De Jong, and W. Rademaker. 1995. Efficient genetic transformation of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orum (Ramat.) Kitamura) using stem segment. Breed. Sci. 45:179-184. 

  7. Han, B.H., E.J. Suh, S.Y. Lee, H.K. Shin, and Y.P. Lim. 2007. Selection of non-branching lines induced by introducing Ls-like cDNA into chrysanthemum (Dendranthema x grandiflorum (Ramat.) Kitamura) 'Shuho-no-chikara'. Sci. Hortic. 115:70-75. 

  8. Han, B.H., S.Y. Lee, and B.M. Park. 2009. Comparison of chrysanthemum cultivars based on direct shoot regeneration rates in tissue culture. J. Plant Biotechnol. 36:275-280. 

  9. Hwang, J.C., Y.D. Chin, Y.M. Chung, S.K. Kim, C.W. Ro, and B.R. Jeong. 2013. A new spray chrysanthemum cultivar, 'Blue Hope' with anemone type and white petals for cut flower.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1:123-127. 

  10. Jefferson, R.A. 1987. Plant reporter genes: The gus gene fusion system. Genetic Engineering 10:247-263. 

  11. Kim, Y.H., H.M. Park, J.Y. Jung, T.M. Kwon, S.J. Jeung, Y.B. Yi, G.T. Kim, and J.S. Nam. 2010. Development of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method for domestically bred chrysanthemum cultivar 'Moulinrouge' and genetic change of leaf morphology using AtSICKLE gene.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8:449-455. 

  12. Kosugi, S., Y. Ohashi, K. Nakajima, and A. Yuji. 1990. An improved assay for $\beta$ -glucuronidase in trans-formed cells: Methanol almost completely suppresses a putative endogenous $\beta$ -glucuronidase. Plant Sci. 70:133-140. 

  13. Ledger, S.E., S.C. Deroles, and N.K. Given. 1991. Regeneration and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chrysanthemum. Plant Cell Rep. 10:195-199. 

  14. Lee, S.Y., B.H. Han, E.J. Hur, H.K. Shin, S.T. Kim, E.K. Lee, W.H. Kim, O.H. Kwon, and I.H. Lee. 2012. FT-transgenic spray-type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um Kitamura) showing early flowering. J. Plant Biotechnol. 39:140-145. 

  15. Lee, S.Y., J.H. Kim, K.S. Cheon, E.K. Lee, W.H. Kim, O.H. Kwon, and H.J. Lee. 2013. Phenotypic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second clone ( $T_0V_2$ ) plants of the LeLs-antisense genetransgenic chrysanthemum line exhibiting non-branching. J. Plant Biotechnol. 40:192-197. 

  16. Li, Y.F., W.M. Fang, F.D. Chen, S.M. Chen, and C.L. Shi. 2009. Effect of different planting date on phenophase and quality of spray cut chrysanthemum produced in summer, J. Yangzhou University, Agricultural and Life Sciences ed. 30:80-83. 

  17. Miller, M. 1975. Leaf, stem, crown, and root galls induced in chrysanthemum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Phytopathology 65:805-811. 

  18. Murashige, T. and F. Skoog.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 15:473-497. 

  19. Shinoyama, H. and A. Mochizuki. 2006. Insect resistant transgenicchrysanthemum [Dendranthema $\times$ grandiflorum (Ramat.) Kitamura]. Acta Hortic. 714:177-184. 

  20. Shinoyama, H., R. Aida, R. Ichikawa, H. Ichikawa, Y. Nomura, and Y. Mochizuki. 2012. Genetic engineering of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Current progress and perspectives. Plant Biotechnol. 29:323-337. 

  21. Song, A., J. An, Z. Guan, J. Jiang, F. Chen, W. Lou W. Fang, Z. Liu, and C. Sumei. 2014. The constitutive expression of a two transgene construct enhances the abiotic stress tolerance of chrysanthemum. Plant Physiol. Biochem. 80:114-120. 

  22. Takatsu, Y., H. Tomotsune, M. Kasumi, and F. Sakuma. 1998. Differences in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capacity among Japanese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a (Ramat.) Kitamura) cultivars and the improved protocol for Agrobacteriummediated genetic transformation. J. Jpn. Soc. Hortic. Sci. 67:958-964. 

  23. Teixeira da Silva, J.A. 2005. Effective and comprehensive chrysanthemum (Dendranthema $\times$ grandiflora) regeneration and transformation protocols. Biotechnology 4:94-107. 

  24. Teixeira da Silva, J. A., H. Shinoyama, R. Aida, Y. Matsushita, S.K. Raj, and F. Chen. 2013. Chrysanthemum biotechnology: Quo vadis? Crit. Rev. Plant. Sci. 32:21-52. 

  25. Teixeira da Silva, J.A. and S. Fukai. 2004. Effect of aminoglycoside antibiotics on in vitro morphogenesis from cultured cells of chrysanthemum and tobacco. J. Plant Biotechnol. 6:25-37. 

  26. Urban, L.A., J.M. Sherman, J.W. Moyer, and M.E. Daub. 1994. High frequency shoot regeneration and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chrysanthemum (Dendranthema grandiflora). Plant Sci. 98:69-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