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해만 특별관리해역의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Jinhae Bay,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7 no.4, 2015년, pp.295 - 315  

서진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  임현식 (목포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수산자원학과) ,  최진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determin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faunal communities in Jinhae Bay, quantitative faunal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at 23 sites in Jinhae Bay from February, 2011 to November, 2012. Sediment facies were found to be mud except for those at Chilcheon-do near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 두 연구 모두 2000년 이전에 수행되었고, 임 등 (2007)의 연구에서는 빈산소수괴가 형성되기 이전인 5월에 1차례 수행되었고, 백과 윤의 연구에서는 마산만에서 거제도 북부 해역에서만 조사가 진행되어 마산만 내만해역과 고성, 진동, 통영 해역에 대한 조사는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산만 내부 해역부터 거제도 서쪽해역과 진해만의 외해역을 포함한 지역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조성을 살펴보고, 2년간의 계절별 모니터링을 통해 해역별 빈산소수괴 전 후의 대형저서동물 군집 조성 변동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해만에 부영영화가 일어나는 이유는? 진해만은 창원시와 고성군의 남쪽, 거제시의 북쪽에 위치한 만으로 특별관리해역인 마산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외해와 연결된 반 폐쇄적인 만이다. 진해만은 주변 마산, 창원, 진해 등에 위치한 공단들과 거제 통영에 위치한 대규모 조선소들에서 배출되는 산업 오폐수들과 인접한 대도시에서 배출되는 생활 오폐수 등으로 인해 주변 해역의 부영양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거제, 통영과 진동만을 중심으로 굴, 담치 등의 수하식 양식과 피조개, 개조개 등의 살포식 양식이 성행하고 있어 양식 생물의 배설물 및 패각으로 인한 유기물 오염이 증대되고 있다.
연성 저질에 서식하고 있는 대형저서동물은 해양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연성 저질에 서식하고 있는 대형저서동물은 해양 생태계의 중요한 요소이다. 해양 저서동물은 저서어류나 무척추동물의 먹이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퇴적물에서 수괴로 영양염 재순환에도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하고 있다 (Snelgrove 1998). 해양 저서동물은 주로 부착성이거나 이동성이 작고, 상대적으로 긴 생활사를 가지며, 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라 종간 다른 내성을 가지기 때문에 해양환경 연구에 많이 이용되어져 왔다(Bilyard 1987; Dauer 1993).
진해만의 지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진해만은 창원시와 고성군의 남쪽, 거제시의 북쪽에 위치한 만으로 특별관리해역인 마산만을 포함하고 있으며 동쪽으로 외해와 연결된 반 폐쇄적인 만이다. 진해만은 주변 마산, 창원, 진해 등에 위치한 공단들과 거제 통영에 위치한 대규모 조선소들에서 배출되는 산업 오폐수들과 인접한 대도시에서 배출되는 생활 오폐수 등으로 인해 주변 해역의 부영양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창근, 백명선, 김정배, 이필용 (2002) 진주만에서 저서다모류의 시공간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5:35-45 Kang C-K, Baik MS, Kim J-B, Lee P-Y (2002)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oft-bottom polychaetes in Jinju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5:35-45 (in Korean) 

  2. 권정노, 이장호, 김영숙, 임재현, 최태준, 예미주, 전지원, 김슬민 (2014) 진해만의 장기 수질변동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17(4):324-332 Kwon J-N, Lee J, Kim Y, Lim J-H, Choi T-J, Ye M-J, Jun J-W, Kim S (2014)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Jinhae Bay. J Kor Soc Mar Environ Ene 17(4):324-332 (in Korean) 

  3. 김경태, 김은수, 조성록, 박준건, 김종근, 이정무 (2008) 시화호 표층 퇴적물의 유기탄소와 금속의 분포. I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목포해양대학교, 목포, 2008년 5월 13일, pp 159?164 Kim KT, Kim ES, Cho SR, Park JK, Kim JK, Lee JM(2008) Distribution of TOC and metal in the surfacesediments of the Lake Shihwa. In: The Conference of J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Safety,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okpo, 13May 2008, pp 159?164 (in Korean) 

  4. 류종성, 최진우, 강성길, 고철환, 허성회 (1997) 시화 방조제 건설 이후 시화호 다모류의 종조성 및 서식밀도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2):101-109 Ryu JS, Choi J-W, Kang S-G, Koh C-H, Huh S-H (1997)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benthic polychaetes after the construction of Shihwa Dike (west coast of Korea). The Sea 2(2):101-109 (in Korean) 

  5. 백상규, 윤성규 (2000) 진해만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3(6):572-580 Paik SG, Yun SG (2000)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3(6):572-580 (in Korean) 

  6. 서진영, 박소현, 인현식, 장만, 최진우 (2009) 인천항 및 부산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구조. 환경생물학회지 27(1):6-19 Seo J-Y, Park S-H, Lim H-S, Chang M, Choi J-W (2009) The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zoobenthos during summer in the Inchone and Busan Harbors,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7(1):6-19 (in Korean) 

  7. 윤상필, 정래홍, 김연정, 김성길, 최민규, 이원찬, 오현택, 홍석진 (2009) 울산만의 저서환경 구배에 따른 저서동물군집 구조.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4(2):102-117 Yoon S-P, Jung R-H, Kim Y-J, Kim S-G, Choi M-K, Lee W-C, Oh H-T, Hong S-J (2009)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of Ulsan Bay, Korea. The Sea 14(2):102-117 (in Korean) 

  8. 임경훈, 신현출, 윤성명, 고철환 (2007) 진해만 대형저서동물군집 분석을 통한 저서환경 평가.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2(1):9-23 Lim KH, Shin HC, Yoon SM, Koh C-H (2007) Assessment of benthic environment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y analysis in Jinhae Bay, Korea. The Sea 12(1):9-23 (in Korean) 

  9. 임현식 (2015) 여자만 연성저질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 공간분포.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0(2):78-91 Lim H-S (2015) Spatial distribution of soft bottom macrobenthos of Yeoja Bay in summer season, south coast of Korea. The Sea 20(2):78-91 (in Korean) 

  10. 임현식, 박흥식, 최진우, 제종길 (1999) 남해 앵강만 조하대 연성저질 저서동물 군집.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1):80-92 Lim H-S, Park H-S, Choi J-W, Je J-G (1999) Macrobenthic community of the subtidal soft bottom of Aengg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Sea 4(1):80-92 (in Korean) 

  11. 임현식, 홍재상 (1994)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1. 저서환경. 한국수산학회지 27(2):200-214 Lim H-S, Hong J-S (1994) Ecology of the macrozo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1. Benthic environment. J Korean Fish Soc 27(2):200-214 (in Korean) 

  12. 임현식, 홍재상 (1997)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3.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0(2):175-187 Lim H-S, Hong J-S (1997) Ecology of the macrozo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3. Community structure. J Korean Fish Soc 30(2):175-187 (in Korean) 

  13. 정래홍, 윤상필, 권정노, 이재성, 이원찬, 구준호, 김연정, 오현택, 홍석진, 박성은 (2007) 해상 가두리 양식이 저서 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2(3):159-169 Jung R-H, Yoon S-P, Kwon J-N, Lee J-S, Lee W-C, Koo J-H, Kim Y-J, Oh H-T, Hong S-J, Park S-E (2007) Impact of fish farming on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The Sea 12(3):159-169 (in Korean) 

  14. 조윤식, 이원찬, 김정배, 홍석진, 김형철, 김청숙 (2013) 퇴적물 총유기탄소와 저서다모류 군집을 이용한 패류양식장의 환경평가 기준설정. 해양환경안전학회 19(5):430-438 Cho Y-S, Lee W-C, Kim J-B, Hong S-J, Kim H-C, Kim C-S (2013)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assessment using sediment total organic carbon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y in shellfish farms. J Korean Soc Mar Environ 19(5):430?438 (in Korean) 

  15. 최진우, 현상민, 장만 (2003)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 파악.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1(2):101-113 Choi J-W, Hyun S, Chang M (2003) The summer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assessed by the functional groups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1(2):101?113 (in Korean) 

  16. 최진우, 서진영, 이창훈, 류태권, 성찬경, 한기명, 현상민 (2005) 남해특별관리해역인 마산만에서 동계 및 하계에 출현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공간분포 양상. Ocean Polar Res 27(4):381-395 Choi J-W, Seo J-Y, Lee C-H, Ryu T-K, Sung C-G, Han G-M, Hyun S (2005)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ic communities during winter and summer in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area,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Polar Res 27(4):381-395 (in Korean) 

  17. 현상민, 이태희, 최진성, 최동림, 우한준 (2003) 광양만 및 여수해만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오염.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8(4):380-391 Hyun S, Lee T-H, Choi J-S, Choi D-L, Woo H-J (2003)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in surface sediment of Gwangyang and Yeosu Bay, south coast of Korea. The Sea 8(4):380-391 (in Korean) 

  18. Bilyard GR (1987) The value of benthic infauna in marine pollution monitoring studies. Mar Pollut Bull 18(11):581-585 

  19. Clarke KR, Warwick RM (1994)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lymouth Marine Laboratory, Plymouth, 859 p 

  20. Dauer DM (1993) Biological criteria, environmental health and estuarine mar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Mar Pollut Bull 26(5):249-257 

  21. Diaz RJ, Rosenberg R (1995) Marine benthic hypoxia: a review of its ecological effects and the behavioural responses of benthic macrofauna. Oceanogr Mar Biol Annu Rev 33:245-303 

  22. Kodama K, Horiguchi T (2011) Effects of hypoxia on benthic organisms in Tokyo Bay, Japan: a review. Mar Pollut Bull 63(5-12):215-220 

  23. Kodama K, Lee JH, Oyama M, Shiraishi H, Horiguchi T (2012) Disturbance of benthic macrofauna in relation to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in a eutrophic coastal bay. Mar Environ Res 76:80-89 

  24. Lim H-S, Diaz R, Hong JS, Schaffner LC (2006) Hypoxia and benthic community recovery in Korean coastal waters. Mar Pollut Bull 52(11):1517-1526 

  25. NFRDI (2002) Environmental research of aquaculture farm 2002.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401 p 

  26. Pearson TH, Rosenberg R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229-311 

  27. Powers SP, Harper DE, Rabalais NN (2001) Effect ofhypoxia/anoxia on the supply and settlement of benthicinvertebrate larvae. In: Rabalais NN, Turner RE (eds)Coastal hypoxia: consequences for living resources and ecosystems,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DC, pp 185?210 

  28. Sanukida S, Okamoto H, Hitomi M (1981) On the behavior of the indicator species of marine bottom pollution. B Jpn Soc Sci Fish 47(7):863-869 

  29. Seo JY, Park SH, Lee JH, Choi JW (2012) Structural changes in macrozoobenthic communities due to summer hypoxia in Gamak Bay, Korea. Ocean Sci J 47(1):27-40 

  30. Seo JY, Lim HS, Choi JW (2014) Distribution patterns of macrobenthic fauna communities in Deukryang Bay, one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eas of Korea. Ocean Sci J 49(2):97-113 

  31. Snelgrove PVR (1998) The biodiversity of macrofaunal organisms in marine sediments. Biodivers Conserv 7(9):1123-1132 

  32. Tsutsumi H (2005) Production of planktonic and nonplanktonic larvae in a single brood of Capitella sp. I and its implications for population persistence in disturbed environment due to organic enrichment of the sediments. Benthos Res 60(1):17-24 

  33. Tsutsumi H, Kinoshita K, Srithongouthai S, Sato A, Nagata S, Inoue A, Yoshioka M, Ohwada K, Hama D (2005) Treatment of the organically enrichment sediment below the fish farm with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artificially mass-cultured colonies of a small deposit feeding polychaete, Capitella sp. I. Benthos Res 60(1):25-38 

  34. Yokoyama H, Choi JW (2010) New records of three Paraprionospio species (Polychaeta: Spionidae) from Korean waters. Ocean Sci J 45(1):55-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