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 발생소자응용을 위한 수열합성법기반 ZnO 나노로드/Polystylene 하이브리드 나노구조 제조
Fabrication of ZnO Nanorod/polystyrene Nanosphere Hybrid Nanostructures by Hydrothermal Method for Energy Generation Ap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2 no.6, 2015년, pp.391 - 395  

백성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연구부) ,  박일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port on the successful fabrication of ZnO nanorod (NR)/polystyrene (PS) nanosphere hybrid nanostructure by combining drop coating and hydrothermal methods. Especially, by adopting an atomic layer deposition method for seed layer formation, very uniform ZnO NR structure is grown on the compli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Drop coating법을 이용한 PS나노구 단일층과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ZnO 나노로드의 형성을 통한 성게형 하이브리드 나노구조의 제작기술에 관해 연구하였다. 특히 ALD증착법을 통한 ZnO 핵형성층의 conformal coating을 통해 PS표면을 따라 매우 균일한 ZnO 나노로드층을 성장할 수 있었다.
  • 본 논문에서는 Drop coating에 의한 PS 나노구형 단일층의 형성과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을 이용하여 형성된 균일한 ZnO 핵형성층,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ZnO 나노로드의 형성을 통해 성게형 하이브리드 나노구조 제작기술에 관한 연구를 보고한다. 그림 1에는 이러한 하이브리드 나노구조 제작을 위한 전체 제조공정도를 나타낸다.
  •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 시, 금속 Zn의 불완전 산화로 인한 불순물의 잔류와 복잡한 형상을 따라 ZnO 나노로드를 conformal 한 형상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rop coating에 의한 polystyrene(PS) 나노구형 단일층을 형성하고,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으로 균일한 ZnO 핵형성층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ZnO 나노로드의 형성을 함으로써 성게형의 하이브리드 나노구조 제작기술에 관한 연구를 보고한다. 이러한 나노구조는 고유의 광특성 및 기계적 특성으로 인해 태양전지 및 발광다이오드 등의 흡광층이나 광추출층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ZnO 나노로드 기반의 압전에너지발생 소자의 활성층으로 적용시 구형의 PS로부터 오는 넓은 표면적과 충격의 이완작용으로 고효율성과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ZnO 성게형 나노구조는 어떤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 특히 성게형 나노구조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굴절률의 장점을 이용해 broadband와 omni-directional 무반사 코팅층으로 응용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된 나노구조가 연구되었다[6-9]. 이러한 나노구조는 태양전지나 광검출기와 같은 수광소자에서 빛의 입사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파장을 흡수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의 표면에서 넓은 각도로 빛이 추출될 수 있게 도움을 줌으로써, 광전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3차원 나노구조를 제작하기 위하여 Zn금속을 산화시키는 방법이나[8], 마이크로팁 형상의 다양한 기판 위에 hierarchical 구조를 만드는 방법 등이 제시된 바 있다[9].
ZnO의 3차원 나노구조를 제작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들의 문제점은? 따라서 이러한 3차원 나노구조를 제작하기 위하여 Zn금속을 산화시키는 방법이나[8], 마이크로팁 형상의 다양한 기판 위에 hierarchical 구조를 만드는 방법 등이 제시된 바 있다[9].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 시, 금속 Zn의 불완전 산화로 인한 불순물의 잔류와 복잡한 형상을 따라 ZnO 나노로드를 conformal 한 형상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rop coating에 의한 polystyrene(PS) 나노구형 단일층을 형성하고,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으로 균일한 ZnO 핵형성층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ZnO 나노로드의 형성을 함으로써 성게형의 하이브리드 나노구조 제작기술에 관한 연구를 보고한다.
ZnO결정구조가 응용성이 큰 이유는? 최근 광전소자, 센서, 에너지 저장 및 발전소자로의 응용을 위한 ZnO나노구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ZnO결정구조는 3.37 eV의 직접천이형 넓은 밴드갭 에너지를 갖고 있으며, exciton 결합에너지가 60 meV 로 상온의 열에너지인 25 meV보다도 크고, 반도체성 임에도 불구하고 압전계수가 매우 커서 다양한 분야로 응용 가능성이 있다[1-7]. 또한 ZnO는 wurtzite결정구조로써, 결정방향에 따른 이방성이 있어서 c-축 방향으로의 선택적 성장속도가 매우 크므로, 1차원 나노구조로 형성이 매우 잘 이루어 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 C. Look: Mat. Sci. Eng. B. Adv., 80 (2001) 383. 

  2. S. Xu and Z. L. Wang: Nano Research, 4 (2011) 1013. 

  3. S. H. Baek and I. K. Park: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2 (2015) 331 (Korean). 

  4. Z. L. Wang and J. H. Song: Science, 312 (2006) 242. 

  5. Z. L. Wang: Sci. Am., 298 (2008) 82. 

  6. Y. S. Lee, Y. I. Jung, B. Y. Noh and I. K. Park: Appl. Phys. Express, 4 (2011) 112101. 

  7. K. S. Kim, H. Song, S. H. Nam, S. M. Kim, H. Jeong, W. B. Kim and G. Y. Jung: Adv. Mater., 24 (2012) 792. 

  8. A. Umar, S. H. Kim and Y. B. Hahn: Superlattices Microstruct., 39 (2006) 145. 

  9. Y. H. Ko and J. S. Yu: Opt. Express, 19 (2010) 297. 

  10. Md R. Hasan, S. H. Baek, K. S. Seong, J. H. Kim and I. K. Park: ACS Appl. Mater. Interfaces, 7 (2015) 5768. 

  11. Y. Yang, H. Lai, C. Tao and H. Yang: J. Mater. Sci. Mater. Electron., 21 (2010) 173. 

  12. Y.-I. Jung, B.-Y. Noh, Y.-S. Lee, S. H. Baek, J. H. Kim and I. K. Park: Nanoscale Res. Lett., 7 (2012) 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