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과 유아의 자아 탄력성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Perceived Hom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6, 2015년, pp.59 - 78  

조혜영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  노현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과 유아의 자아 탄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이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조절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96명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특성의 가족건강성, 가족환경, 가족기능과 사회적 지지, 자아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한 후, Pearson의 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영향력과 조절효과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 및 사회적 지지는 유아의 자아 탄력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73.4%의 설명력을 가지며,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재정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특성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 지원 등 보다 실효성 있는 사회적 지원을 제공해 주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perceived hom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go-resilience of their young childre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we sampled 96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ith 3-5 year old c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유아기에 가장 많이 접하는 가정의 심리적 특성과 자아 탄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의 시도는 이들 자녀의 자아 탄력성을 증진시켜 주기 위하여 가정과 연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한다는 점과 사회적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서울에 거주하며, 만 3-5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를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가족 건강성, 가족환경, 가족기능을 가정의 심리적 특성으로 정의하고, 가정의 심리적 특성과 유아의 자아 탄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영향력을 탐색해 보며, 이때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2015년 1월 3일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2명과 북한이탈주민 자녀들과 관련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 하던 가운데 북한이탈주민 가정이 남한의 가정보다 물리적·경제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인 지지가 더욱 필요하다는 의견을 듣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사회적 지지가 자녀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를 함께 논의하였고, 연구 진행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2015년 1월 10일 1차적으로 북한이탈 주민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자녀의 자아 탄력성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 문항을 제작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2명에게 설문지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다.
  •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가족건강성, 가족환경, 가족기능)이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전에 본 연구의 자료가 회귀분석 연구모델로 분석하기 적합한지에 대한 판단을 위하여 다양한 조건의 충족 여부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과 유아의 자아 탄력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특성이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며, 이때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제시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마찬가지로 우울, 스트레스는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DeFrain, 2002) 양가감정 등 불안정한 정서 상태를 가지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가족 구성원들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획득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물질적 지지보다는 정서적 지지가 유아의 자아 탄력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재정적인 부분을 위주로 한정지어 지원하는 것 보다 이들의 정서적인 특성에 초점을 맞춘 맞춤형 개별화 가족서비스를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탈주민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마찬가지로, Van Tuijl 과 Leseman(2007)이 조기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듯이, 북한 이탈주민 유아의 정서적 불안감은 성장하면서 부적응 행동으로 표출되기 때문에 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조기지원이 매우 중요한 사안임에는 틀림없다.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사회에서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성취감을 느낄 때, 자녀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이들의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정서적·환경적인 지원을 제공해 주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북한이탈주민은 왜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가? 일반적으로 이질적인 문화환경에 대한 적응에서 비롯된 스트레스는 문제행동의 원인이 되며(Hovey & Magana, 2002), 낮은 자긍심을 갖게 한다(Castro, 2003). 북한이탈주민의 경우, 남한과 북한의 이질적인 문화로 인해 정체성이 혼란해 지고, 이로 인해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형성하게 되어 결국,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권정윤, 조혜영, 김미경, 2013; 전혜림, 2014). 마찬가지로, Van Tuijl 과 Leseman(2007)이 조기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하듯이, 북한 이탈주민 유아의 정서적 불안감은 성장하면서 부적응 행동으로 표출되기 때문에 이들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조기지원이 매우 중요한 사안임에는 틀림없다.
어린 시기의 경험과 환경이 성인이 되어서 나타나는 행동에 대해 중요한 이유는? 어린 시기의 경험과 환경이 어떠한가에 따라 성인이 되어서 나타나는 행동은 상이 할 수 있다. 전 생애 가운데 유아기는 우리사회에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하는데 수월하며, 발달의 기초를 형성하기 때문에이 시기의 다양한 경험과 환경제공은 타인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감정과 위험, 그리고 역경을 극복해 안정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신장시켜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5)

  1. 고영희 (2010). 유아의 자아 탄력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권정윤, 조혜영, 김미경 (2013).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및 양육 특성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회지, 17(4), 275-296. 

  3. 김미정, 정계숙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새터민 부모의 양육 이야기. 아동학회지, 28(1), 71-94. 

  4. 김윤아 (2013). 북한이탈주민의 자녀교육 지원에 대한 요구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법과 인권교육연구, 6(2), 1-21. 

  5. 김윤희 (1990). 부부관계, 부모-자녀 의사소통, 가족기능과 청소년자녀 비행과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은숙 (2003).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유아 정서지능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정미, 곽금주 (2007). 취학전 빈곤아동에 대한 부모, 가정환경 자극, 사회적 지원의 영향력 탐색. 아동학회지, 28(2), 305-317. 

  8. 김지현, 정현심, 김정민, 이순형 (2012). 유아용 가정환경 척도 개발 연구. 아동교육, 21(1), 77-92. 

  9. 박복매, 문혁준 (200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의사소통지향성과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10), 11-22. 

  10. 박지원 (1985). 성인환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불안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5). 2014년 새터민 실태조사. 서울: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12. 서울특별시 (2006). 서울도시기본계획 전략보고서. 서울: 서울특별시청. 

  13. 송헌재 (2015). 북한이탈주민의 경제활동 실태. 서울: 자유경제원. 

  14. 신선희 (2010). 적응유연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보호요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319-344. 

  15. 유영주 (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16. 윤선영 (2003). 보육지원을 위한 외국의 제도: 독일의 보육제도. 서울: 한국여성단체연합회, 한국보육교사회. 

  17. 이경호 (1999). 정신분열병 청소년과 정상 청소년의 가족의사소통 및 가족 기능 비교연구. 정신간호학회지, 8(1), 39-49. 

  18. 장여진 (2014).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장휘숙 (1998). 가족심리학. 서울: 박영사. 

  20. 전혜림 (2014).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남한사회적응.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정계숙, 김미정, 하은실 (2012).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아 탄력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73-97. 

  22. 정영수 (1998). 통일사회 적응을 위한 교육의 과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3. 조혜영, 권정윤 (2013).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경험에 대한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67-96. 

  24. 조혜영, 권정윤, 박희영 (2014).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자녀성취압력 및 교육신념과 교육열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4(2), 147-163. 

  25. 조혜영, 김미경, 이문옥 (2013).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영어교육 실태와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201-228. 

  26. 조혜영, 배지희 (2014).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심리적 양육환경과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9(2), 91-114. 

  27. 천지원 (2013).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 기능 및 사회적 지지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최성일 (2012).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현황과 과제. 경기: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9. 최창욱, 조혜영 (2015).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놀이참여 및 신념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2015년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27-140. 

  30. 통일부 (2014). 통계자료. http://www.unikorea.go.kr/ 에서 2015년 2월 13일 인출. 

  31. 허준영 (2012). 북한이탈주민 사회통합정책 방안 모색: 서독의 갈등관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통일정책연구, 21(1), 271-300. 

  32. Antonovsky, A. (1974).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problems in the study of resistance resources and stressful life events. In B. S. Dohrenwend & B. P. Dohrenwend (Eds.), Stressful life events: Their nature and effect (pp. 1-43). NY: Wiley. 

  3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4.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35. Berry, T. D., Dunlap, S. T., Cotton, S. J., Lochman, J. E., & Wells, K. C. (2005). The influence of maternal stress and distress on disruptive behavior problems in boys. Journal of American Academic Child Adolescent Psychiatry, 44(3), 265-273. 

  36.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gs (Ed.),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pp.39-101), Hillsdale, NJ: Erlbaum. 

  37. Bradley, R. H., & Corwyn, R. F.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371-399. 

  38. Bradley, R. H., Corwyn, R. F., McAdoo, H. P., & Coll, C. G. (2001). The home Environment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d Part I: Variations by age, ethnicity, and property status. Child Development, 72(6), 1844-1867. 

  39. Cambell, S. B., Pierce, E. W., March, C. L., Ewing, L. J., & Szumowski, E. K. (1994). Hard-to-manage preschool boys: Symptomatic behavior across contexts and time. Child Development, 65(3), 836-851. 

  40. Cassel, J. (1974). Psychological processes and stress: Theoretical form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Services, 4(3), 471-482. 

  41. Castro, V. S. (2003). Accultur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Greenwood Press: Westport Connecticut London. 

  42. Chuang, S. S., Lamb, M. E., & Hwang, C. (2006). Personality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longitudinal study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Swed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0(4), 338-343. 

  43.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44. Condly, S, J. (2006). Resilience in children: A review of literature with implications for education. Urban Education, 41(3), 211-236. 

  45. DeFrain, J. (2002). Global perspective on strong families. Building family strengths, international conference proceeding book, June 12-14, Shanghai, China. 

  46. Fantuzzo, J., McWayne, C., & Blosky, R. (2003). Forging strategic partnerships to advance mental health science and practice for vulnerable childre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32(1), 17-37. 

  47. Garmezy, N. (1993).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Interpersonal and Biological Process, 56(1), 127-136. 

  48. Green, S. B. (1991). How many subjects does it take to do a regression analysi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6(3), 499-510. 

  49. Hovey, Y. D., & Magana, C. G. (2002).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ological expressions of anxiety symptomatology among Mexican migrant farmworkers: Predictors and generational difference.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38(2), 223-237. 

  50. LeBuffe P. A., & Naglieri, J. A. (1999). The dex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Lewisville, NC: Kaplan Press. 

  51. Linver, M. R., Brooks-Gunn, J., & Kohen, D. E. (2002). Family processes as pathways from income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 Development Psychology, 38(5), 719-734. 

  52. Luthar, S. S. (1991).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 study of high risk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2(3), 600-612. 

  53. Luthar, S. S., Cicchetti, D., & Becker, B.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54. Masten, A. S. (2001).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55. McLoyd, V. C. (1998).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child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53(2), 185-204. 

  56. Mistry, R. S., Vandewater, E. L., Huston, A C., & MoLoyd, V. C. (2002). Economic well-being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The role of family process in an ethnically diverse low-income sample. Child Development, 73(3), 935-951. 

  57. Olson, D. H., & DeFrain, J. (2000). Marriages and families: Diversity and strengths (3rd ed.). Mountain View, CA: Mayfield. 

  58. Olson, D. H., & DeFrain, J. (2003). Marriages and families: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 (4th ed.). NY: McGraw-Hill. 

  59. Olson, D. H., Portner. J., & Lavee, Y. (1985). FACES-III.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St. Paul, Minnesota. 

  60. Otto, H. A. (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1), 77-81. 

  61. Rolfe, S. (2004). Rethinking attachment for early childhood practice: Promoting security, autonomy and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Crows Nest, NSW: Allen & Unwin, 19-38. 

  62. Rijlaarsdam, J., Stevens, G. W., van der Ende, J., Hofman, A., Jaddoe, V. W., Mackenbach, J. P., Verhulst, F. C., & Tiemeier, H. (2013). Economic disadvantage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Mechanisms of risk.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1(1), 125-137. 

  63. Stinnett, N., & DeFrain, J. (1985).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le Brown & Co. 

  64. Van Tuijl, C., & Leseman, P. P. M. (2007). Increases in the verbal and fluid cognitive abilities of disadvantaged preschool in the Netherland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2), 188-203. 

  65. Wright, M. O., & Masten. A. S. (2005).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Fostering positive adaptation in the context of adversity. In S. Goldstein & R. Brooks (Eds.). Handbook of resilience in children (pp.17-37). NY: Kluwer Academic/Plenum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