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Factor associated with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5 no.6, 2015년, pp.1117 - 1123  

윤혜정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김선숙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300 adults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June to July, 2015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Except 19 incomplete ans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전신건강특성, 구강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에 대해 확인하여 각 변수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가 무엇이 있는지 파악하고 각 변수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실제로 미치는지 확인하여 성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기획이나 구강보건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5년 6월부터 7월까지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30세 이상의 성인 281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전신건강특성, 구강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에 대해 확인하여 각 변수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기준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2012년 81.3세로 OECD 회원국 기대수명 80.2세보다 1.1세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남자 평균수명은 78.51년, 여자 85.06년으로 기대하고 있다.여자의 기대수명은 남자보다 6.
중년층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중년층 비중은 전체인구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므로 국가 발전에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중년층에 해당하는 시기는 개인적으로도 일생의 1/3이상을 차지하는 기간이므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4). 그러나 이 시기는 사회적 기반을 마련하는 시기로 다양한 스트레스를 안고 있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나므로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는 시기로 생각된다. 또 향후 노인기로 향하는 나이이기도 하므로 미리 구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구강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구강이 중요한 이유는? 그러나 일반적인 삶의 질 측정도구에는 구강건강에 대한 언급과 측정항목이 빠져 있는 문제점이 있다2). 구강은 모든 영양 섭취와 소화의 첫 단계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성인 3명 중 1명이 치료하지 않은 영구치 우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50세 이상에서는 남자 2명 중 1명, 여자 3명중 1명이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 2명 중에서 1명은 저작불편을 호소하고 10명 중 1명은 무치악자가 많다3)고 하니 기대수명까지 꽤 오랜 시간을 위해서는 구강관련 삶의 질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tatistics Korea, e-national index. index look< society< health

  2. Song KH, Kim YS. A study on the evaluation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f Dent Hyg 2007; 9(1): 47-72.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3 Health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s statistic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4: 32-3. 

  4. Palmore E, Lujkart D. Health and socialfactor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J Health Soc Behav 1972; 13: 68-80. 

  5. Yoon MH. Subjectiv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who visited dental clinic. J Korean Acad of Dent Hyg 2010; 12(4): 327-37. 

  6. Ju HJ, Oh HW, Lee HS. Impact of oral health literacy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4; 38(4): 220-6. http://dx.doi.org/10.11149/jkaoh.2014.38.4.220. 

  7. Park ES, Choi JS.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general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adults. J Dent Hyg Sci 2012; 12(6): 624-33. 

  8. Lee JY, Lee YO, Go HS.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symptoms. Oral Medicine 2005; 30(4): 383-9. 

  9. Yoon MH.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Master's thesis]. Seoul: Univ. of Korea, 2008. 

  10. McGrath C, Bedi R, Gilthorpe M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view of the public in the United Kingdom. Community Dent Health 2000; 17: 3-7. 

  11. Song KH.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lth-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of Dent Hyg 2008; 1(1): 39-57. 

  12. Kim HN, Ku IY, Moon SJ. Correlation analysis of factors and the geriatric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Gumi.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5): 1039-48. 

  13. Wong MCM, Lo ECM, McMillan AS. Validation of a Chinese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2; 30: 423-30. 

  14. Robinson PF, Gibson B, Khan FA, Birnbaum W. A comparison of OHIP 14 and OIDP as interviewers and questionnaires. Community Dental Health 2001; 18: 144-9. 

  15. Park JH. Relationship between tooth loss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in Seongju, Korea. [Master's thesis]. Kyungpook: Univ. of Kyungpook National, 2008. 

  16. Lee MF, Han GS, Han SJ, Choi JS. Impact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health statu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applying the PRECEDE mode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1; 28(1): 23-35. 

  17. Lee JY, Kim GP, Yu BC. Relationship between peridontal diseases and quality of life.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5): 835-43. http://dx.dio.org/10.13065/jksdh.2013.13.02.835. 

  18. Baker SR, Pankhurst CL, Robinson PG. Utility of two oral health-related quality-of-life measures in patients with xerostomia.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6; 34(5): 351-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