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마속(마과)의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Dioscorea L. (Dioscoreaceae) in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5 no.4, 2015년, pp.380 - 390  

정대희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정규영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마속(Dioscorea L.) 6분류군(마; D. polystachya, 참마; D. japonica, 부채마; D. nipponica, 단풍마; D. quinqueloba, 각시마; D. tenuipes, 도꼬로마; D. dokoro)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관찰하였다. 지하부의 유형, 주아의 형성 유무 등이 마절(Enanatiophyllum)과 부채마절(Stenophora)을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로 관찰되었으며, 엽병 기부의 돌기 유무, 꽃의 형태 및 색, 열매의 형태, 종자 날개의 형태 등을 비롯한 약의 위치 와 암술 형태와 같은 미세구조적 형질 등이 종을 식별하는 중요한 형질로 판단되었다. 또한 상기 식별형질을 바탕으로 검색표를 제시하였고, 한반도 내 마속 식물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were observed in six taxa in the genus Dioscorea of Korea (D. polystachya, D. japonica, D. nipponica, D. quinqueloba, D. tenuipes, and D. dokoro).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formation of bulbil were useful characters for separating sect. Enanatiophyllum from s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olystachya (Turczaninow, 1837)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등 최근의 분류학적 연구결과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산 마속의 전반적인 외부형태 및 미세구조의 형질을 재검토하고, 분류군간의 유용한 식별 형질을 파악하여 종의 명확한 한계를 구분하는 데 있다.

가설 설정

  • 1. 지하부는 수직으로 뻗는 괴근이며, 주아가 형성되고, 수상화서이다.
  • 3. 잎은 1−4쌍의 측열편이 갈라진다.
  • 3. 잎은 측열편이 갈라지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속이란 무엇인가? 마속(Dioscorea L.)은 백합목(Liliales), 마과(Dioscoreaceae)에 포함되는 분류군으로 주로 열대지역, 동아시아, 지중해 연안 및 남·북아메리카 등에 약 600종이 분포한다(Coursey, 1969; Li et al., 1978; Ohwi, 1984; Im, 2000; Lee, 2006).
Burkill은 마속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마속은 Linnaeus (1753)에 의해 잎의 형태적 차이로 처음 기재된 후 분류학적 한계설정에 많은 이견과 혼동이 있어 왔다. Burkill (1960)은 마과를 자웅동주와 자웅이주의 형질로 Paradioscreeae와 Dioscoreeae의 2족으로 나누고, 지하부의 유형, 열매 및 종자의 형태를 바탕으로 마속을 23개 절로 구분하였다. 또한 Beccari (1870)는 자방의 1실속에 포함되어 있는 종자를 바탕으로 마속을 2개의 종자가 포함된 마속과 그 이상인 Stenomeris속(Stenomeris Planch.
한국산 마속에 대한 연구들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 등 8종이 기록되고 있다(Lee, 2003; Lee, 2006; Oh and Lee, 2007). 하지만 이는 단순한 학명의 기록 또는 도감의 기재로서 마속 분류군의 형태적 유사성 및 개체 내 심한 변이의 폭으로 인하여 분류학적 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최근 Kang et al. (1992)과 Oh et al. (1995, 1996)에 의해 한국산 마속의 분류학적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Kang et al. (1992)은 참마의 재료가 생략된 상황에서 문헌상의 식별 형질로만 참마를 구분하여 마와 참마를 혼동한 채 연구를 수행하였고, Oh et al. (1995, 1996)의 연구는 분류군간의 뚜렷한 식별형질을 제시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현재 국내에서 마의 학명을 D. batatas (Decaisne, 1854)와 D. polystachya (Turczaninow, 1837)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등 최근의 분류학적 연구결과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산 마속의 전반적인 외부형태 및 미세구조의 형질을 재검토하고, 분류군간의 유용한 식별 형질을 파악하여 종의 명확한 한계를 구분하는 데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ccari, O. 1870. Nuovo Giornale Botanico Italiano Publicato da O. Beccari. Stabilimento di G. Pellas, Firenze. V. 2. 12-13. 

  2. Burkill, I. H. 1960. The organography and the evolution of the Dioscoreaceae, the family of the yams.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56: 319-412. 

  3. Coursey, D. G. 1969. The future of the yam in world agriculture: an appraisal of some problems. Tropical Root and Tuber Crops Newsletter 2: 4-8. 

  4. Decaisne, J. 1854. Revue Horticole. Librairie agricole de la maison rustique, Paris. Ser. IV, iii. P. 243. 

  5. Ding, Z. and M. G. Gilbert. 2000. Dioscoreaceae. In: Wu, Z. and P. H. Raven. (eds), Flora of China. Flagellariaceae through Marantaceae.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24: 276-296. 

  6. Engler, A. and K. Prantl. 1897. Die naturlichen Pflanzenfamilien V. 2(5). Wilhelm Engelmann, Leipzig. Pp. 80-87. 

  7. Gao X., Y. P. Zhu, B. C. Wu, Y. M. Zhao, J. Q. Chen and Y. Y. Hang. 2008. Phylogeny of Dioscorea sect. Stenophora based on the chloroplast matK, rbcL and trnL-F sequences. Journal of Systematics and Evolution 46: 315-321. 

  8. Gawande, P. A., N. V. Nimbhorkar and V. Thakare. 2015. Distribution and morphodiversity analysis of genus Dioscorea from India with special reference to Satpura Hilly Ranges and Western Ghat of Maharashtra state,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Sciences 4: 146-150. 

  9. Hsu, K. M., J. L. Tsai, M. Y. Chen, H. M. Ku and S. C. Liu. 2013. Molecular phylogeny of Dioscorea (Dioscoreaceae) in East and Southeast Asia. Blumea 58: 21-27. 

  10. Im, R. J. 2000. Flora Koreana. Vol. 9.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Korea. Pp. 217-221. 

  11. Kang, F. H., C. S. Lee and Y. C. Oh. 1992. A systematic study of sect. Enantiophyllum and Stenophora taxa (Dioscorea, Dioscoreace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2(4): 255-278. 

  12. Knuth, C. S. 1850. Dioscorineae. In: Enumeratio Plantarum. V. 5. Sumtibus J. G. Cottae, Stutgardiae et Tubingae. Pp. 323-456. 

  13.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 Hayangmunsa, Seoul. Pp. 727-731. (in Korean). 

  14.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 Kyohak Publising Co. Seoul. Pp. 473-475. (in Korean). 

  15. Li, H. L., T. S. Liu, T. C. Huang, T. Koyama and C. E. De. 1978. Flora of Taiwan. Epoch Publishing Co., Ltd. Vol. 5 Pp. 99-109. 

  16. Linnaeus. C. 1753. Diosocrea In: Species Plantarum. V. 2. Impensis Laurentii Salvii, Holmiae. Pp. 1032-1034. 

  17. Maekawa, F., H. Hara and T. Tuyama. 1962. Makino's New Illustrated Flora of Japan. Hohuryukan. Co. Ltd., Tokyo. Pp. 881-884. 

  18. Matsuno, G. 1918. Dioscorea in Japan. Journal of Japanese Botany 1: 282-286. 

  19. Mori, T. 1921. An Enumeration of Plants hitherto Known from Corea. The government of Chosen, Seoul. Pp. 96-97. 

  20. Nakai, T. 1911. Flora Koreana. Pars secunda. The Journal of the College of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31: 235. 

  21.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etin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Tokyo. 31: 148. 

  22. Oh, Y. C., C. S. Lee and H. J. Lee. 1995. A systematic study on Dioscorea sect. Enantiophyllum and Stenophora in Korea: Microstructure and chemistry.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5(1): 25-49. 

  23. Oh, Y. C., C. S. Chang and K. A. Lee. 1996. Morphometric analyses of Diosc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6(2): 125-140. 

  24. Oh, Y. C. and C. S. L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336-1338. (in Korean). 

  25. Ohwi, J. 1984.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Pp. 313-315. 

  26. Palibin, J. 1901. Conspectus Florae Koreae. Pars tertia. Trudy Imperatorskago S.-Peterburgskago Botaniceskago Sada. 19: 103-151. 

  27. Park, M. K. 1949. An Enumeration of Korean Plants. Pp. 330-331. (in Korean). 

  28. Tominari, T., S. Wanteri, S. Kitamura, J. Ohwi and Y. Satake. 1984. Wild Flowers of Japan. Heibonsya, Tokyo. Pp. 1-56. 

  29. Turczaninow, P. K. N. S. 1837. Bulletin de la Societe Imperiale des Naturalistes de Moscou. 7: 158. 

  30. Wilkin, P., P. Schols, M. W. Chase, K. Chayamarit, C. A. Furness, S. Huysmans, F. Rakotonasolo, E. Smets and C. Thapyai. 2005. A Plastid gene phylogeny of the yam genus, Dioscorea: Roots, Fruits and Madagascar. Systematic Botany 30: 736-7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