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센텔라 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을 함유한 Water in Oil in Water (W1/O/W2) 에멀젼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of Water in Oil in Water (W1/O/W2) Emulsion Containing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1 no.4, 2015년, pp.303 - 313  

서동환 (코스맥스 R&I center) ,  이홍선 (아주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공학과 화장품과학전공) ,  윤종혁 (코스맥스 R&I center) ,  김연준 (코스맥스 R&I center) ,  변상요 (아주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공학과 화장품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센텔라 아시아티카 정량추출물(TECA)은 병풀에서 얻은 난용성 추출물로 상처치유 및 항주름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ECA를 함유한 water in oil in water ($W_1/O/W_2$) 에멀젼 제조에 필요한 최적의 실험 조건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TECA의 용해도UV 흡광도계를 이용하였으며, 디프로필렌글라이콜(40.0 g), 에탄올(20.0 g) 및 정제수(10.0 g)의 조성에서 2.55 g의 TECA가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에멀젼($W_1/O$, $W_1/O/W_2$)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W_1/O$ 에멀젼의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수상 조건은 디프로필렌글라이콜 : 에탄올 : 정제수 : TECA가 40.0 : 20.0 : 10.0 : 2.5%(w/w), 유상 조건은 스쿠알란 : 세틸피이지/피피지-10/1디메치콘 : 세테아릴알코올이 22.5 : 4.0 : 1.0%(w/w)임을 확인하였다. $W_1/O/W_2$ 멀티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정제수 : $W_1/O$ 에멀젼 : 폴리소르베이트 80 : 카보머 : 트리에탄올아민의 비율이 55.8 : 40.0 : 4.0 : 0.1 : 0.1% (w/w)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TECA), which is poorly soluble in water is well known for wound healing and anti wrinkle ag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preparation of water in oil in water ($W_1/O/W_2$) emulsion containing TECA. Solubility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 1차 에멀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용해도 및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해 W1/O/W2 타입의 멀티에멀젼의 제조 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상처치유 및 콜라겐생성 능력이 우수하여 제약산업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TECA의 용해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용매 비율을 찾고 안정한 W1/O 1차 에멀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용해도 및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해 W1/O/W2 타입의 멀티에멀젼의 제조 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TECA의 용매 조건과, TECA을 함유한 W1/O 에멀젼의 제조 조건 및 이를 함유한 W1/O/W2 에멀젼의 제조 조건을 관찰하였다.
  • 이때 친수성 계면활성제의 특성에 따라 입자의 크기 및 안정도에 매우 큰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변경하면서 최적의 제조 조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멀티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polysorbate는 솔비탄 에스테르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반응으로 만들어지며 지방산잔기의 종류에 따라 laurate(polysorbate 20, HLB: 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W 에멀젼제조 시 TECA를 별도로 용해시키고, 수상에 첨가하여 유화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TECA를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주름개선 효과가 기대되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아 화장품에 적용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인 O/W 에멀젼 제조 시 TECA를 별도로 용해시키고, 수상에 첨가하여 유화할 경우 TECA의 용해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석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수상에 TECA를 용해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할 경우 분리되거나 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내수상인 W1 상에 TECA를 용해시키고 W1/O/W2 에멀젼을 제조할 경우 석출 및 상 분리 등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상처치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라겐은 궁극적으로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가? 상처치유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라겐은 proline-RNA 복합체로부터 생합성 되는데 asiaticoside는 proline-RNA 복합체의 생성에 관여하는 폴리펩타이드 합성효소에 직접 작용한다. 궁극적으로 손상된 상피의 콜라겐 형성을 조절하여 상처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6]. 이러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TECA를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주름개선 효과가 기대되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아 화장품에 적용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TECA를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궁극적으로 손상된 상피의 콜라겐 형성을 조절하여 상처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6]. 이러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TECA를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주름개선 효과가 기대되나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아 화장품에 적용하기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인 O/W 에멀젼 제조 시 TECA를 별도로 용해시키고, 수상에 첨가하여 유화할 경우 TECA의 용해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석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수상에 TECA를 용해시켜 W/O 에멀젼을 제조할 경우 분리되거나 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I. D. Kim, R. H. Kwon, Y. Y. Heo, H. J. Jung, H. Y. Kang, and B. J. Ha, Supercritical extraction of oriental herb: anti-aging and anti-wrinkles effects, Kor. J. Biotechnol. Bioeng., 23(6), 529 (2008). 

  2. E. J. Lee, The development of anti-wrinkle cosmeceutical ingredients from glehniae radix cum rhizoma, Master's Thesis Dissertation, Chung Ang Univ., Seoul, Korea (2010). 

  3. Y. K. Jo, The development of anti-wrinkle cosmeceutical ingredients from leonuri herba extrat, Master's Thesis Dissertation, Chung Ang Univ., Seoul, Korea (2011). 

  4. S. Lee, Novel nantural products as active material for beauty food, J. Food Sci., 40, 10 (2008). 

  5. M. S. Lim, M. A Pack, and S. N. Park, Preparation of nano-emulsion containing Polygonum aviculare extract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Appl. Chem. Eng., 23(2), 222 (2012). 

  6. D. W. Kim, M. H. Cho, S. Y. Park, J. H. Lee, G. W. Lee, M. S. Park, J. K. Park, and U. K. Je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titrated extract of Centella asiatica niosome/w/o system cream for site specific targeting, J. Kor. Pharm. Sci., 32(4), 291 (2002). 

  7. A. Segall, M. Sosa, A. Alami, C. Enero, F. Hormaechea, M. T. Pizzorno, C. Bregni, and R. Serrao, Stability study of lipoic acid in the presence of vitamins A and E in o/w emulsions for cosmetic application, J. Cosmet. Sci., 55, 449 (2004). 

  8. E. Touitou, N. Dayana, L. Bergelsonb, B. Godina, and M. Eliaza, Ethosomes-novel vesicular carriers for enhanced delivery: characterization and skin penetration properties, J. of Controlled Release, 65(3), 403 (2000). 

  9. A. C. Williams and B. W. Barry, Penetration enhancers,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4, 128 (2012). 

  10. K. J. Lissant, Structure of high-internal-phase-ratio emulsions, J. Colloid Interface Sci., 47(2), 416 (1974). 

  11. W. H. Kim, K. S. Lee, and K. K. Le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y and stability of W/O emulsion by various structures of emulsifier,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2), 119 (2012). 

  12. J. Y. Yeon, B. R. Shin, T. G. Kim, J. M. Seo, C. H. Lee, S. G. Lee, and H. B. Pyo, A study on emulsion stability of O/W and W/S emulsion according to HLB of emulsifier,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0(3), 227 (2014). 

  13. E. J. Lim, A study on the release of electrolyte from W/O/W multiple emulsion stabilized with xanthan gum and cetostearyl alcohol, Master's Thesis Dissertation, Kon Kuk Univ., Seoul, Korea (1995). 

  14. C. K. Zhoh, K. Y. Lee, and D. N. Kim, The influences of fatty alcohol and fatty acid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o/w emulsion,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2), 103 (2009). 

  15. R. Jantharaprapap and G. Stagni, Effects of penetaration enhancers on in vitro permeability of meloxicam gels, Int. J. Pharm., 343, 26 (2007). 

  16. W. Liu, D. Sun, C. Li, Q. Liu, and J. Xu, Formation and stability of paffin oil-in-water nano-emulsions prepared by the emulsion inversion point method, J. Colloid. Interface. Sci., 303, 557 (2006). 

  17. N. Anarjan and C. P. Tan, Effects of selected polysorbate and sucrose ester emulsifier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staxanthin nanodispersions, Molecules, 18, 768 (2013). 

  18. C. Anchisi, A. M. Maccioni, C. Sinico, and D. Valenti, Stability studies of new cosmetic formulations with vegetable extracts as functional agents, Il Farmaco, 56, 427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