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gile 방법론을 이용한 S/W개발 프로세스 및 성숙도 측정
Measurement of S/W Development Processes and Maturity using Agile Methodologies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5 no.6, 2015년, pp.147 - 154  

김태달 (청운대학교 컴퓨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애자일 개발프로세스가 생산성 증대효과, 품질향상, 고객만족 등의 효용성이 입증되면서 프로젝트 추진 시 방법론 선택에 있어 전문가들에게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시대적 요구와 사용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방법론 선정과 관련해서, 본 논문에서는 제품 기반의 Cross functional team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방법론이 Feature Team 모델이며, 이 모델이 Cross functional team을 조직하고, 이 팀이 결과물(프로덕트) 단위가 아니라, 기능단위로 여러 프로덕트에 걸쳐서 개발을 진행하는 모델이라는 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가치-주도형 애자일 기법을 통해 계획-기반형 모델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Agile 성숙도 측정기준을 검토하였으며, PRINCE2 Agile Health-check 항목 연구를 통해 Agile 기법이 프로젝트 착수단계의 요구사항은 확정 본이 아닌 언제라도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를 해서 객관적인 평가를 받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프로젝트 팀 구성에 대해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gile development process became increasing effectiveness, quality, attention to experts in customer satisfaction, as evidenced in this methodology when selecting projects promoting productive efficiency. With regard to contemporary needs and user requirements on the methodology select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애자일(Agile) 개발방법론을 사용하려고하는 조직을 위해 애자일 적용에 있어 현재의 공통적인 문제점, 애자일 장애요인, 애자일의 성공기준, 애자일 개발프로세스와 전통적인 개발 프로세스와의 차이,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그리고 애자일 성숙도 연구에서는 태도측면 점검항목, 환경측면 점검항목, 프로세스측면 점검항목, 기법측면 점검항목에 대해 조사하였고, 마지막으로 영국 정부에 의해 제정된 경험을 바탕으로 구조화된 방법론이며, 프로젝트관리 국제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PRINCE2 (an acronym for PRojects IN a Controlled Environment, version 2)의 점검항목과 세부내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 애자일 적용의 공통적인 문제점, 애자일 장애요인, 애자일의 성공기준, 애자일 개발 프로세스와 전통적인 개발 프로세스와의 차이, 애자일 개발방법론에 대해 조사 연구한다.
  • 애자일방법론이 모든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이 아님을 전제하고,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그 활용범위에 대해 연구를 하게 되었다.

가설 설정

  • 셋째, 속도(Velocity) 관리이다. 이때 주의해야하는 것은 애자일(Agile) 수행 1년에서 2년 기간은 속도매트릭스(Velocity Matrix)를 구축하는데 역량을 쏟아야지 속도를 평가하면 안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자일 개발프로세스는 전통적인 개발프로세스와 어떤 차이점을 가지는가? 전통적인 개발프로세스와의 차이점이라면, 고객과의 협업, 즉 고객과의 피드백을 통한 의사소통으로 고객의 요구조건에 대해, 적시 적소에서 빠르게 대응하여 결과적으로 문서가 아닌 고객이 원하는 결과물로 즉 프로그램을 보여주면서 완성도 높은 결과물/프로그램을 만든다는데서 큰 차이점이 있다.
애자일 방식의 경험적 프로세스의 장점은? 애자일 방식의 경험적 프로세스는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출시(Release)와 반복(Iteration) 개발을 거듭해 가면서 이전 경험을 다음 프로세스에 반복해 가며 바로 적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품질향상과 소프트웨어 인도 시점을 고객의 요구시점에 맞출 수 있다는데 장점을 갖고 있다.
최근 애자일 개발프로세스가 프로젝트 추진 시 전문가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는? 최근 애자일 개발프로세스가 생산성 증대효과, 품질향상, 고객만족 등의 효용성이 입증되면서 프로젝트 추진 시 방법론 선택에 있어 전문가들에게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시대적 요구와 사용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방법론 선정과 관련해서, 본 논문에서는 제품 기반의 Cross functional team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방법론이 Feature Team 모델이며, 이 모델이 Cross functional team을 조직하고, 이 팀이 결과물(프로덕트) 단위가 아니라, 기능단위로 여러 프로덕트에 걸쳐서 개발을 진행하는 모델이라는 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가치-주도형 애자일 기법을 통해 계획-기반형 모델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ucceeding with Agile, Mike Cohn,2010 

  2. Lean-Agile SW Development, Alan Shalloway ,2009 

  3. Kanban, David J Anderson, 2010 

  4. Succeeding with Agile, Mike Cohn,2010 

  5. Coaching agile teams, lyssa Adkins, 2012 

  6. Takeuchi, Hirotaka; Nonaka, Ikujiro. "The New New Product Development Game" (PDF). . 2010.6.9. 

  7. DeGrace, Peter; Stahl, Leslie Hulet, . Prentice Hall. ISBN 978-0-135-90126-7, 1990.10.1. 

  8. Wikimedia Foundation, Inc.,"Agile Software Development", 2013.12.27. 

  9. https://www.scrumalliance.org/community/articles/2014/april/plan-driven-versus-value-driven-planning 

  10. AXELOS, PRINCE2 Agile $^TM$ - Agile Project Management Best Practice, 2015. 

  11. kim tae-dal, "Lean and Agile UX-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with a study on mobile design", the Korea Information & Communicatio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Research Journal, 2014,12 

  12. http://rubyinstaller.rubyforge.org/ 

  13. Redis develop web applications using the Node.js, Acorn Publishing, 2015 

  14. http://www.featureteams.org/feature_team_primer12.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