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을 위한 IoT 기반의 실시간 스트리밍 및 원격 제어
Real-time Streaming and Remote Control for the Smart Door-Lock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25 no.6, 2015년, pp.565 - 570  

이성원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  유제훈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  심귀보 (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도어록과 주변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사물인터넷은 인터넷망을 사용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상호 소통을 돕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최근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과 빅데이터 등으로 인하여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사물인터넷 기반인 스마트홈 시스템을 응용하여 구현한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은 서버인 라즈베리 파이와 도어록,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이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은 스마트폰으로 라즈베리 파이 서버에 접속하여 도어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센서를 통해 사람의 접근을 확인하고, 도어록 주변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smart door lock system that control remotely devices using the concept of internet of things. Internet of things is intelligent system that can help devices to communicate with people and devices. And recently internet of things is getting attention because of adv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도어록 주변의 상황을 확인하고 센서를 통해 사람의 유무와 머물러 있는 시간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알람을 전송하는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한 출입문을 급하게 열어야할 때나 지인의 방문이 있을 경우 도어록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단점들을 보완하고, 편리성과 보안성을 향상시킨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람의 접근을 판단하고 원격으로 도어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고 스마트폰으로 먼 거리에서도 도어록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 값이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경고 알람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초음파 센서가 거리를 측정하여 50cm 이내에 5초 이상 사람이 접근해 있으면 서버는 자동으로 GCM에 메시지를 전송되며 GCM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 알람을 전송하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보안성과 안전성을 높여 도어록을 제어하는 무선 스마트 도어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스마트 도어록은 현관에 사람이 접근하면 센서의 조건 값에 따라 사용자에게 경고 푸시 알람을 전송하도록 하였다.
  • 센서는 ZigBee와 연결되어 측정된 값을 휴대전화로 전송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보안성을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침입의 여부는 판단할 수 있지만 침입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없다.

가설 설정

  • 아두이노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도어록과 블루투스 모듈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통신으로 제어하였다. 기존의 인체감지센서가 아닌 이러한 시스템으로 사전에 범죄를 예방하기 효율적일 것이다.
  •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졌지만 외부로부터의 해킹의 우려가 있다. 이를 보완하면 도어록 보안성이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물인터넷이란? 사물인터넷(IoT)은 인터넷망을 사용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상호 소통을 돕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최근 네트워크의 고속화, 멀티미디어, 대용량, 유,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 다양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 사물인터넷이 주로 산업단지나 자동화 시스템, 관리 체계, 스마트 웨어러블, 홈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될 수 있어 신산업 창출, 생산성ㆍ효율성 제고, 사회현안 해결 및 삶의 질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3].
구글의 Cloud API를 이용하기위해 프로젝트별, 개인별 발급되는 key는?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API key와 Project Number가 생성된다. 이 API key로 구글 서버에 등록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알람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만약 GCM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 알람을 전송하려면 해당 스마트폰과 서버가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배터리의 소모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사물인터넷은 어떤 분야에 접목될 수 있는가? 사물인터넷(IoT)은 인터넷망을 사용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상호 소통을 돕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최근 네트워크의 고속화, 멀티미디어, 대용량, 유,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 다양한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물인터넷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2]. 사물인터넷이 주로 산업단지나 자동화 시스템, 관리 체계, 스마트 웨어러블, 홈 네트워크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될 수 있어 신산업 창출, 생산성ㆍ효율성 제고, 사회현안 해결 및 삶의 질 향상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E. A. Kim, K. S. Kim, C. S. Leem, and C. H. Lee,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axonomy of Internet of Things Service",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20, pp. 107-123. 2015. 

  2. J. H. Kang, H. J. Kim and M. S. Jun, "Market and Technical Trends of internet of thing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pp. 14-17, 2015. 

  3. naver, Availabl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51164&cid56756&categoryId56756, [Accessed : September 28, 2015] 

  4. lgcnc, Avilable: http://blog.lgcns.com/731, [Accessed : September 28, 2015] 

  5. S. H. Whang, I. H. Jang and K. B. Sim, "Construc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for Intelligent Hom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15, pp. 695-700, 2005 

  6. W. Y. Chung and E. T. Kim, "Context-aware application for smart home based on Bayesian network",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17, pp. 179-184, 2007. 

  7. S. I. Kim and S. J. Oh, "Virtual Dialog System Based on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for Smart Home Environments", Vol. 15, pp. 173-178, 2005. 

  8. navercast, Available: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864&contents_id74495 [Accessed : October 2, 2015] 

  9. spo, Availble: http://www.spo.go.kr [Accessed : October 2, 2015] 

  10. O. Doh, and I. Ha, "A digital Door Lock System for the Internet of Things with Improved Security and Usability",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Vol. 109, pp. 33-38. 2015. 

  11. J. Lim, C. Kim, W cha, T. Han, G. Huh, S. Song and S. Lee, "Reliable Digital Door Lock Control System using Face Recognition", Journal of IKEEE, Vol. 17, pp. 499-504, 2013. 

  12. M. Sahinani, C. Nanda, A. K. Sahu and B. Pattnaik, "Web-based online embedded door access control and home security system based on face recogni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ircuit, Power and Computing Technologies, pp. 19-20, 2015. 

  13. S. Ejaz, R. S. Satti, M. Khalid, M. Arshad and S. Majeed, "A Smart Visitors' Notif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Secure Door Lock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 Engineering, Vol. 2, pp. 39-44, 2015. 

  14. S. R. Kwon, "Study on development of the remote control door lock system including speeker verification function in real tim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15 pp. 714-719, 2005. 

  15. Y. T. Park, P. Sthapit and J. Y. Pyun, "Smart digital door lock for the home automation", TENCON 2009 - 2009 IEEE Region 10 Conferen, pp. 1-6, 2009 

  16. A. W. Ahmad, N. Jan, S. Iqbal and C. Lee, "Implementation of ZigBee-GSM based home security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system", International Midwest Symposium on Circuits and System. pp. 1-4, 2011. 

  17. B. Yuksekkaya, A. A. Kayalar, M. B. Tosun, M. K. Ozcan and A. Z. Alkar, "A GSM, internet and speech controlled wireless interactive home automation system",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 vol. 52, pp. 837-843, 2006 

  18. M. Giacobbe, M. Coco, A. Puliafito and M. Scarpa, "A Cloud-based Access Control Solution for Advanced Multi-purpose Management in Smart City Scenario", Smart Computing Workshops, pp. 35-40. 2014. 

  19. N. Chowdhury, S. Nooman and S. Sarker, "Access Control of Door and Home Security by Raspberry Pi Through Interne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 Engineering Research, Vol. 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