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수집 억새 유전자원의 출수 특성
Flowering Patterns of Miscanthus Germplasms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0 no.4, 2015년, pp.510 - 517  

안기홍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엄경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준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장윤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지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유경단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차영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문윤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안종웅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억새 유전자원의 생육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외로부터 1,200 여점의 유전자원을 수집하였으며, 그 중에서 재배연수가 3년 이상인 유전자원 960여점을 대상으로 2013년과 2014년 억새의 주요 생육기간 동안인 맹아일로부터 지엽전개일 및 출수일까지의 생육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억새의 맹아가 진행되는 4월초부터 생육말기인 11월까지의 2013년도 평균기온은 $19.1^{\circ}C$이었고, 2014년의 평균 기온은 $13.9^{\circ}C$로 관측되었다. 평균 강수량 및 누적 강수량은 2013년에 3.8 mm와 921.0 mm 이었으며, 2014년에는 4.5 mm와 1092.5 mm 이었다. 2. 2013년 및 2014년 3월초부터 11월말까지의 지표로부터 10 cm 이내의 평균 토양수분 조사결과, 2013년에는 24.9%이었으며 2014년에는 32.2%로 나타났다. 하지만 2013년에는 3월초부터 8월 20일까지 20.7%의 평균 토양수분을 나타낸 반면, 2014년 동일시기의 평균 토양수분은 31.7%로 나타났다. 3. 수집지역별 억새 유전자원의 맹아일로부터 지엽전개일까지 평균 생육일수를 분석한 결과, 경기지역에서 수집한 억새 유전자원의 평균 생육일수가 가장 짧았으나 남부지역으로 내려갈수록 평균 생육일수가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2014년도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으며, 지역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4. 2년간의 조사결과, 전남지역에서 수집한 물억새 중에서 거대 1호(Miscanthus sacchariflorus cv. Geodae 1) 및 우람억새(M. sacchariflorus cv. Uram)는 지엽전개가 가장 늦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맹아일로부터 소요되는 생육일수가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나, 타 억새종에 비하여 영양생장기간이 긴 것으로 판단된다. 5. 2013년도 맹아일로부터 출수일까지의 생육일수와 2014년도 생육일수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물억새 유전자원의 경우 상관계수(r)가 0.70으로 나타났으며, 참억새 유전자원은 0.89로 나타나 2년간의 생육일수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6. 2014년에 비하여 2013년도 출수가 지연된 요인으로는 높은 기온, 낮은 강수량 및 토양수분의 영향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3년 이상 동일조건에서 재배한 억새 유전자원의 생육일수는 수집지역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억새 유전자원의 출수특성은 현재 재배지역의 환경적 요인보다 자생지에서 다년간 적응되며 나타난 고유한 유전자형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scanthus has been considered as the most promising bioenergy crop for lignocellulosic biomass production. In Korea, M. sacchariflorus and M. sinensis can be found easily in all regions. It is a great advantage to utilize as important species with respect to genetic and cross-breeding programs m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 자생하는 억새 유전자원의 생육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국내외로부터 1,200 여점의 유전자원을 수집하였으며, 그 중에서 재배연수가 3년 이상인 유전자원 960여점을 대상으로 2013년과 2014년 억새의 주요 생육기간 동안인 맹아일로부터 지엽전개일 및 출수일까지의 생육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각지에서 수집한 물억새, 참억새 등을 포함한 약 960 여점의 억새 유전자원의 개화특성을 평가함으로서 교배육종의 모본선발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 축적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에 2013년과 2014년 2년간 시험포장 조건하에서 맹아일로부터 지엽전개일 및 출수일까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각 억새 유전자원의 지엽전개 및 출수까지 소요되는 생육일수 등에 대하여 연차 간 변이를 분석하였다.
  • , 2011). 하지만 억새의 경우 줄기 끝분열 조직(shoot apical meristem)이 잎집에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줄기 및 잎집을 쪼개지 않고서는 직접적인 관찰이 불가능하여 지엽이 전개되는 시기를 화아분화기로 예측하고자 하였다(Jensen et al., 20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바이오에너지용으로 가장 널리 연구되고 있는 억새의 종류는? sacchariflorus)로 크게 나뉘며 한국, 중국 및 일본을 포함한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유럽, 미국 등지에서 바이오에너지용으로 가장 널리 연구되고 있는 억새는 3배체 억새(2n=3x=57, Miscanthus × giganteus)로서 2배체 참억새와 4배체 물억새의 자연 종간 교잡종으로 알려져 있다(Yan et al., 2012; Yook et al.
물억새의 형태 및 생장 특징은? 억새 종중 물억새와 참억새 유전자원은 형태적인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수집하였다. 물억새의 경우는 불규칙한 형태로 줄기가 형성되며 늦가을 및 겨울에는 줄기의 잎집이 탈락되며, 지하경은 길고 가늘며 넓게 뻗어나가며 소수(spikelets)에는 솜털(callus hair)이 있으나 까락(awn)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참억새는 한 개체가 조밀하게 군락을 이루어 줄기가 형성되며 늦가을 및 겨울에도 잎집이 탈락되지 않으며, 지하경은 짧고 서로 촘촘하게 엉켜있으며, 소수에는 솜털 및 까락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다(Engler and Prantl, 1887; Moon et al.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관련하여 3배채 억새의 한계로 지적된 것은? 3배체 억새는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관련하여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고 여러 논문들에서 보고된 바 있다. 북유럽에서의 경우, 3배체 억새는 재식 후 첫해의 겨울을 넘기지 못하는 등 월동에 취약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북유럽과 남유럽에서의 생산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상이한 기후 조건하에서 재배 시 일정량의 바이오매스 수확량을 기대할 수 없다고 기술하고 있다(Clifton-Brown et al., 2001). 또한 억새는 지하경을 이용한 영양번식법으로 증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3배체 억새의 경우, 한정된 단일클론을 이용하여 오랜 기간 증식을 계속해 왔으며 넓은 면적에서 재배함으로서 병해충의 피해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Heaton et al., 2010; Jens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 G. H., J. K. Kim, Y. H. Moon, Y. L. Cha, Y. M. Yoon, B. C. Koo, and K. G. Park. 2013. A new genotype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Geodae-Uksae 1, identified by growth characteristics and a specific SCAR marker. Bioprocess Biosyst. Eng. 36 : 695-703. 

  2. Arnoult, S., M. Quillet, and M. Brancourt-Hulmel. 2014. Miscanthus clones display large variation in floral biology and different environmental sensitivities useful for breeding. Bioenerg. Res. 7 : 430-441. 

  3. Atkinson, C. J. 2009. Establishing perennial grass energy crops in the UK: A review of current propagation options for Miscanthus. Biomass Bioenergy 33 : 752-759. 

  4. Caddel, J. L. and D. E. Weibel. 1971. Effect of photoperido and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sorghum. Agronomy J. 63 : 799-803. 

  5. Clifton-Brown, J. C., I. Lewandowski, B. Andersson, G. Basch, D. G. Christian, J. B. Kjeldsen, U. Jorgensen, J. V. Mortensen, A. B. Riche, K. -U. Schwarz, K. Tayebi, and F. Teixeira. 2001. Performance of 15 Miscanthus genotypes at five sites in Europe. Agron. J. 93 : 1013-1019. 

  6. Clifton-Brown, J. C. and I. Lewandowski. 2002. Screening Miscanthus genotypes in field trials to optimise biomass yield and quality in Southern Germany. European J. Agro. 16 : 97-110. 

  7. Craufurd, P. Q., D. J. Flower, and J. M. Peacock. 1993. Effect of heat and drought stress on sorghum(Sorghum bicolor). 1. Panicle development and leaf appearance. Exp. Agri. 29 : 61-76. 

  8. Craufurd, P. W. and A. M. Qi. 2001. Photothermal adaptation of sorghum (Sorghum bicolor) in Nigeria. Agri. Forest Meteorol. 108 : 199-211. 

  9. Deuter, M. 2000. Breeding approaches to improvement of yield and quality in Miscanthus grown in Europe. In: Lewandowski, I. J. Clifton-Brown. European Miscanthus improvement Final Report. pp. 28-52. 

  10. Ellis, R. H., A. Qi, P. Q. Craufurd, R. J. Summerfield, and E. H. Roberts. 1997. Effects of photoperiod, temperature and asynchrony between thermoperiod and photoperiod on development to panicle initiation in Sorghum. Annals Botany. 79 : 169-178. 

  11. Engler, H. G. A. and K. A. E. Prantl. 1887. In: Nat. Pflanzenfam. 2(2) : 23. 

  12. Greef, J. M., M. Deuter, C. Jung, and J. Schondelmaier. 1997. Genetic diversity of European Miscanthus species revealed by AFLP fingerprinting. Genet. Resour. Crop Ev. 44 : 185-197. 

  13. Hammer, G. L., R. L. Vanderlip, G. Gibson, L. J. Wade, R. G. Henzell, D. R. Younger, J. Warren, and A. B. Dale. 1989. Genotype-by-environment interaction in grain-Sorghum. 2.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ontogeny. Crop Sci. 29 : 376-384. 

  14. Heaton, E. A., F. G. Dohleman, A. F. Miguez, J. A. Juvik, V. Lozovaya, J. Widholm, O. A. Zaborina, G. F. Mclsaac, M. B. David, T. B. Voigt, N. N. Boersma, and S. P. Long. 2010. Miscanthus. A promising biomass crop. Advance Bot. Res. 56 : 75-137. 

  15. Jensen, E., K. Farrar, S. Thomas-Jones, A. Hastings, I. Donnison, and J. Clifton-Brown. 2011. Chaacterization of flowering time diversity in Miscantus species. GCB Bioenergy 3 : 387-400. 

  16. Jensen, E., P. Robson, J. Norris, A. Cookson, K. Farrar, I. Donnison, and J. Clifton-Brown. 2013. Flowering induction in the bioenergy grass Miscanthus sacchariflorus is a quantitative short-day response, whilst delayed flowering under long days increases biomass accumulation. J. Exp. Botany 64(2) : 541-552. 

  17. Karsai, I., P. Szucs, B. Koszegi, P. M. Hayes, A. Casas, Z. Bedo, and O. R. N. Veisz. 2008. Effects of photo and thermo cycles on flowering time in barley: a genetical phenomics approach. J. Exp. Botany 59 : 2707-2715. 

  18. Lewandowski, I., J. C. Clifton-Brown, J. M. O. Scurlock, and W. Huisman. 2000. Miscanthus: European experience with a novel energy crop. Biomass Bioenerg. 19 : 209-227. 

  19. Moon, Y. H., B. C. Koo, Y. H. Choi, S. H. Ahn S. T. Bark, Y. L. Cha, G. H. An, J. K. Kim, and S. J. Suh. 2010. Development of "Miscanthus" the promising bioenergy crop. Kor. J. Weed Sci. 30(4) : 330-339. 

  20. Yan, J. W. Chen, F. Luo, H. Ma, A. Meng, X. Li, M. Zhu, S. Li, A. Zhou, W. Zhu, B. Han, S. Ge, J. Li, and T. Sang. 2012. Variability and adaptability of Miscanthus species evaluated for energy crop domestication. GCB Bioenergy 4 : 49-60. 

  21. Yook, M. J., S. H. Lim, J. S. Song, J. W. Kim, C. J. Zhang, E. J. Lee, Y. Ibaragi, G. J. Lee, G. Nah, and D. S. Kim. 2014.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of Korean Miscanthus using morphological traits and SSR markers. Biomass Bioenerg. 66 : 81-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