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Health 현황과 주요 이슈 원문보기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v.19 no.3, 2015년, pp.1 - 8  

송태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u-Health의 현황과 주요 이슈에 대해 살펴보았다. u-Health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서는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의사와 환자간의 원격의료 금지를 제한적으로 허용하여야 하며, 의료행위의 포괄적 범위를 전문영역으로 구체화 시켜야 할 것이다.
  • 본고에서는 국내·외 u-Health 현황을 살펴보고 u-Health의 지속적 추진과 확대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동안 u-Health는 어느 분야에 적용되어 왔는가? 여섯째, 지역별 u-Health를 이용한 대사증후군 관리 서비스(지역형 바우처사업) u-Health(바우처서비스) 센터에서 서비스이용자(개인, 가구, 직장)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u-Health센터 소속의 운동처방사와 영양사에게 전달하여 지속적 모니터링과 상담을 실시하는 형태의 서비스이다[3]. 그동안 당뇨[4-5], 고혈압[6], 결핵[7], 천식[8], 대사증후군[9], 흡연[10], 건강관리 개선과 비용효과 분석[11] 등에 u-Health를 적용해 왔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u-Health 현황을 살펴보고 u-Health의 지속적 추진과 확대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주요 이슈를 분석하고자 한다.
u-Health를 이용한 대사증후군 관리서비스는 누구에게 제공하고 있는가? u-Health를 이용한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관리서비스는 건강을 위해 시간·경제적으로 관리가 어려운 저소득층 세대에 대해 찾아가는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3]. u-Health 대사증후군 관리서비스는 u-Wellness 영역으로 건강위험요인 보유자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건강측정, 생활습관개선을 위한 상담, 영양․운동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u-Health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다.
국내에서 시도된 u-Health 시범사업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가? 국내에서 시도된 u-Health 시범사업은 크게 6가지 형태의 서비스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2]. 첫째, 원격자문으로 특별히 전문성을 인정받은 의사를 통해 환자 곁에 있는 의사가 전문적인 의학적 자문(소견)을 구하거나 협진을 하는 형태의 서비스이다. 둘째, 원격(화상)진료로 비의사 의료인과 함께 있는 환자가 화상을 통하거나 생체정보 측정 수치의 공유를 통하여 원격지 의사의 진료를 받는 형태의 서비스이다. 셋째, u-방문간호로 방문간호사가 가정방문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측정 및 파악한 후, 의사의 지침을 전달하는 형태의 서비스이다. 넷째, 원격 응급진료로 응급 상황에 처한 환자와 함께 있는 비의사 의료인에게 원격지 의사가 적절한 지침을 제공하는 형태의 서비스이다. 다섯째, 재택 건강관리로 거주지의 환자가 직접 본인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의사에게 전달함으로써 지속적 모니터링이 가능하게 하고, 이에 기반하여 의사와 의학적 상담이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의 서비스이다. 여섯째, 지역별 u-Health를 이용한 대사증후군 관리 서비스(지역형 바우처사업) u-Health(바우처서비스) 센터에서 서비스이용자(개인, 가구, 직장)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 u-Health센터 소속의 운동처방사와 영양사에게 전달하여 지속적 모니터링과 상담을 실시하는 형태의 서비스이다[3]. 그동안 당뇨[4-5], 고혈압[6], 결핵[7], 천식[8], 대사증후군[9], 흡연[10], 건강관리 개선과 비용효과 분석[11] 등에 u-Health를 적용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송태민, 이상영, 이기호, 박대순, 진달래, 류시원, 장상현 "u-Health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 이윤태, 김시연 "국내 u-Health 등장에 따른 정책 대응방안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3. Tae-Min Song, Seewon Ryu, Sang Ho Lee, "U-Health Service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A Case Study on Managing Metabolic Syndrome ina Health Center in South Korea," Healthc Inform Res, 17(4), pp. 260-266. 2011. 

  4. Benhamou PY, Melki V, Boizel R, Perreal F, Quesada JL, Bessieres-Lacombe S, Bosson JL, Halimi S, Hanaire H. "One-year efficacy and safety of Web-based follow-up using cellular phone in type 1 diabetic patients underinsulin pump therapy: the PumpNet study," Diabetes Metab, 33: pp. 220-226, 2007. 

  5. Vahatalo MA, Virtamo HE, Viikari JS, Ronnemaa T. Cellular. "phone transferred self blood glucose monitoring: prerequisites for positive outcome," Pract Diabetes Int, 21, pp. 192-194, 2004. 

  6. Park MJ, Kim HS, Kim KS. "Cellular phone and internetbased individual intervention on blood pressure and obesity in obese patients with hypertension," Int J Med, Inform 78, pp. 704-710, 2009. 

  7. DeMaio J, Schwartz L, Cooley P, Tice A. "The application of telemedicine technology to a directly observed therapy program for tuberculosis: a pilot project," Clin Infect Dis, 33, pp. 2082-2084, 2001. 

  8. Ostojic V, Cvoriscec B, Ostojic SB, Reznikoff D, Stipic-Markovic A, Tudjman Z. "Improving asthma control through telemedicine: a study of short-message service," Telemed J E Health 11, pp. 28-35, 2005. 

  9. Kim SI, Kim HS. "Effectiveness of mobile and internet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obese type 2 diabetes," Int J Med Inform, 77, pp. 399-404, 2009. 

  10. Brendreyen H, Kraft P. "Happy end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digital multi-media smoking cessation intervention," Addiction, 103, pp. 478-484, 2009. 

  11. Kim KH, Lee MO, Lee JG, Ryu S. "Compliance of hypertensive patients registered in primary health care posts implementing the Gangwon telemedicine service system," J Korean Soc Health Inf Health Stat , 33, pp. 59-76, 2009. 

  12. 이준영 "국내 u-Health 시범사업 추진현황 및 시사점," 정보통신정책 20(21), pp.25-44. 2009. 

  13. 송태민, 장상현 "u-Healthcare 이슈 및 연구동향,"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71호, 70-86, 2011. 

  14. 송태민, 안지영 "미국의 u-Health 현황,"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72호, pp. 82-93, 2011. 

  15. 송태민 "일본의 u-Health 동향," 보건복지포럼 통권 제153호, pp. 91-9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