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전기 에너지 변환 기술과 응용 원문보기

세라미스트 = Ceramist, v.18 no.4, 2015년, pp.48 - 55  

이순일 (한국세라믹기술원) ,  서원선 (한국세라믹기술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8년도부터 나고야 대학 주관으로 진행 중인 JST-CREST project인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thermoelectric materials and systems"은 1)유해원소 배제, 2)희소원소 배제, 3)저가, 4)넓은 사용온도가 구현된 신규 열전소재 및 모듈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전현상이란 무엇인가? 열전현상이란 열-전기 변환이 서로 가역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19세기 초 Seebeck, Peltier, Thomson에 의해 발견되었다. 초기 금속계 열전소재는 열전성능이 낮아 응용이 제한되었으며, 1930년대 후반 Ioffe 등에 의해 열전성능이 한 단계 향상된 화합물 반도체 열전소재가 연구되었다.
열전소재에는 무엇이 있는가? 초기 금속계 열전소재는 열전성능이 낮아 응용이 제한되었으며, 1930년대 후반 Ioffe 등에 의해 열전성능이 한 단계 향상된 화합물 반도체 열전소재가 연구되었다. 현재 반도체 화합물계, 산화물계, 유기물계 등 다양한 소재와 기술을 바탕으로 높은 열전성능지수(ZT>1)를 가지는 열전소재들이 개발되고 있다.
열전 에너지 변환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1은열전소자에 의한 냉각(Peltier 효과)과 발전(Seebeck 효과)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열-전기 에너지 변환은 전자와 전자 홀이 전하(charge)를 이동시키느냐 아니면 열(heat)을 이동시키느냐에 따라 각각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또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N. Lu and I. Ferguson, "III-nitrides for Energy Production: Photovoltaic and Thermoelectric Appli cations," Semicond. Sci. Technol., 28 074023 (2013). 

  2. S. Lee, J. A. Bock, S. Trolier-McKinstry, and C. A. Randall, "Ferroelectric-thermoelectricity and Mott Transition of Ferroelectric Oxides with High Electronic Conductivity," J. Euro. Ceram. Soc., 32 3971-88 (2012). 

  3. A. F. Ioffe, Physics of Semiconductors, Academic Press, New York, 1960 (translated from Russian, Fizika Poluprovodnikov, Russian Academy of Sciences, Moscow, 1957). 

  4. R. Franz and G. Wiedemann, "Ueber die Wame-Leitungsfahigkeit der Metalle," Annalen der Physik (in German), 165 [8] 497-531 (1853). 

  5. A. F. Ioffe, "On Thermal Conduction in Semicond uctors," Del Nuovo CIMENTO, 3, supplement 4, 702-15 (1956). 

  6. G. A. Slack, in CRC Handbook of Thermoelectrics, edited by D. M. Rowe (CRC, Boca Ralon, 1995) pp. 407-440 

  7. J. P. Heremans, M. S. Dresselhaus, L. E. Bell, and D. T. Morelli, "When Thermoelectrics Reached the Nanoscale," Nature Nanotech., 8 471-73 (2013). 

  8. K. F. Hsu, S. Loo, F. Guo, W. Chen, J. S. Dyck, C. Uher, T. Hogan, E. K. Polychroniadis, and M. G. Kanatzidis, "Cubic $AgPb_{m}SbTe_{2+m}$ : Bulk Thermoelectric Materials with High Figure of Merit," Science, 303 818-21 (2004). 

  9. H. Li, X. Tang, Q. Zhang, and C. Uher, "High Performance $In_{x}Ce_{y}Co_{4}Sb_{12}$ Thermoelectric Materials with in situ Forming Nanostructured InSb Phase," Appl. Phys. Lett., 94 102114 (2009). 

  10. W. Xie, X. Tang, Y. Yan, Q. Zhang, and T. M. Tritt, "Unique Nanostructures and Enhanced Thermoelectric Performance of Melt-Spun BiSbTe Alloys," Appl. Phys. Lett., 94 102111 (2009). 

  11. X. Shi, J. Yang, S. Bai, J. Yang, H. Wang, M. Chi, J. R. Salvador, W. Zhang, L. Chen, and W. Wong- Ng, "On the Design of High-Efficiency Thermoelectric Clathrates through a Systematic Cross-Substitution of Framework Elements," Adv. Funt. Mater., 20 755-63 (2010). 

  12. K. Biswas, J. He, I. D. Blum, C.-I. Wu, T. P. Hogan, D. N. Seidman, V. P. Dravid, and M. G. Kanatzidis, "High-Performance Bulk Thermoelectrics with All-Scale Hierarchical Architectures," Nature, 489 414-18 (2012). 

  13. S. I. Kim, K. H. Lee, H. A. Mun, H. S. Kim, S. W. Hwang, J. W. Roh, D. J. Yang, W. H. Shin, X. S. Li, Y. H. Lee, G. J. Snyder, and S. W. Kim, "Dense Dislocation Arrays Embedded in Grain Boundaries for High-Performance Bulk Thermoelectrics," Science, 348 [6230] 109-13 (2015). 

  14. J. P. Heremans, B. Wiendlocha, and A. M. Chamoire, "Resonant Levels in Bulk Thermoelectric Semicon ductors," Energy Environ. Sci., 5 5510-30 (2012). 

  15. M. S. Dresselhaus, G. Chen, M. Y. Tang, R. G. Yang, H. Lee, D. Z. Wang, Z. F. Ren, J. P. Fleurial, and P. Gogna, "New Directions for Low-Dimensional Thermoelectric Materials," Adv. Mater., 19 [8] 1043-5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