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대 문서들의 섬유구성에 대한 고찰
Fiber Identification for the Early Twenty Century Archival Documents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7 no.6, 2015년, pp.41 - 48  

나미선 (국가기록원) ,  고연석 (국가기록원) ,  양소은 (국가기록원) ,  서영범 (충남대학교 환경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ber identification was attempted for the early twenty century documents that were classified as national archives in Korea, as an initial step for establishing scientific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method. Fiber staining with C stain and a digital microscope were used for the observation. All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그간 복원처리를 실시하였던 기록물 중 1900년대 초기에 생산된 다양한 종이에 대해 시약을 이용한 섬유 염색 정색 반응과 현미경을 이용한 해부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제지기술이 다소 미약했던 1900년대 초기 제지에 사용되었던 섬유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에서 영구기록물로 보존하고 있는 근대기록물들을 보다 과학적으로 보존하고 복원하기 위해 섬유 구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모두 목재펄프 중 침엽수 섬유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펄프화 방법이 다른 섬유들을 함께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그간 복원처리를 실시하였던 기록물 중 1900년대 초기에 생산된 다양한 종이에 대해 시약을 이용한 섬유 염색 정색 반응과 현미경을 이용한 해부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제지기술이 다소 미약했던 1900년대 초기 제지에 사용되었던 섬유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근대식 제지공장에서 제품이 생산 시작한 시기는 언제인가? 우리나라에서 근대식 제지공장에서 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한 것은 1902년 5월16일 전원국 (구한말 용산전화국)에 의해서였다.1) 그 후 1912년부터 대한제지합자회사를 비롯한 조선제지, 왕자제지, 북선제지 등의 펄프 및 지류 생산 공장이 신의주, 길주, 군산 등지에 설립되어 8.
국가기록원에서 복원처리한 기록물은 어떤 것인가? 국가기록원에서는 훼손된 종이기록물의 보존을 위해 종이기록물에 대한 기초 연구와 함께 복원처리를 실시해 오고 있다. 그간 복원처리를 실시한 기록물들은 근현대 공공기록물들로서 역사적, 사료적으로 영구보존의 가치가 있는 기록물들이다. 이러한 영구기록물들을 보다 과학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기초연구를 실시하고 있으며, 중요 기록물의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국가기록원에서 영구기록물로 보존하고 있는 근대기록물들은 어떤 섬유 구성을 가지는가?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에서 영구기록물로 보존하고 있는 근대기록물들을 보다 과학적으로 보존하고 복원하기 위해 섬유 구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모두 목재펄프 중 침엽수 섬유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펄프화 방법이 다른 섬유들을 함께 사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쇄목펄프와 표백화학펄프들을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특징적인 세포의 관찰을 통해 그 수종이 모두 전나무속(Abies)임을 알 수 있었으며, 두 종류의 종이 이외에는 pH가 대부분 4.0 이하로서 쇄목펄프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열화가 많이 진행되어 훼손이 심한 상태였으며 앞으로 더 가속화된 열화가 예상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hin, D. S., Korea paper industry history and its status at present, In Papermaking Science (Jeji KwaHak), Kwang-Il Publisher, Suwon, Korea, pp. 7-10 (2000). 

  2. TAPPI Test Method T401 om-93, Fiber analysis of paper and paperboard (1993). 

  3. TAPPI Test Method T529 om-99, Surface pH measurement of paper (1999). 

  4. Lee, H. Y., Chung, Y. J., Lee, K. S., and Han, S. H., The application of a nondestructive method to measure the acidity of Korean papers, Conservation Studies 20:22-47 (1999). 

  5. Ilvessalo-Pfaffli, M.-S., Fiber Atlas: Identification of Papermaking Fibers, Springer-Verlag, pp. 106-107 (1995). 

  6. Parham, R. A. and Gray, R. L., The Practical Identification of Wood Pulp Fibers, TAPPI PRESS, pp. 25-35 (1982). 

  7. Park, S. J., Lee, W. Y., and Lee, H. H., Wood Tissue and Identification, Hyangmoonsa, Seoul, Korea, pp. 111-113, p. 288 (2003). 

  8. Lee, K. B., Plant Morphology,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97-101 (2004). 

  9. Lee, S. H., Identification of Plant Fibers Designated on Archives as the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pp. 9-10 (2006). 

  10. Lee, S. H., and Choi, T. H., Identification of paper making nonwood fibers using fiber color reaction, J. Agr. Sci. Chungbuk Nat'l Univ. 27(2):108-112 (2011). 

  11. Lee, K. W., Wood Anatomy,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 Co., Seoul, Korea, pp. 120-122, pp. 342-359 (2001). 

  12. Lee, Y. S., Plant Morphology, Po-sung Publishing Co., pp. 81-85, pp. 226-233 (2000). 

  13. Mauseth, J. D., Plant Anatomy,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 Menlo Park, CA, USA, pp. 43-51, pp. 239-244 (1988). 

  14. Hoadley, R. B., Identifying Wood: Accurate Results With Simple Tools, The Taunton Press, Newton, Connecticut, USA, p. 4, pp. 14-27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