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고강도 인견사용 종이 제조
Preparation of Eco-friendly and High Strength Paper for Viscose Rayon Yarn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7 no.6, 2015년, pp.154 - 163  

황성준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임산생명공학과) ,  김형진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임산생명공학과) ,  배백현 (우백인견코리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acute or chronic intoxication by carbon disulfide, viscose rayon industry is strictly subjected to environment regulatory approval. Recently, non-wood fibers are frequently considered as a raw materials for the manufacture of specialty paper for the higher physical strength and func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침엽수 표백크라프트펄프(softwood bleached kraft pulp, SwBKP)와 활엽수 표백크라프트펄프(hardwood bleached kraft pulp, HwBKP) 의 혼합비율 및 고해도 조절을 통한 인견사 제조용 시트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업용 양이 온성 PVAm(cationic polyvinyl amine)13)과 음이온성 PAM(anionic polyacrlamide)을 이용한 이중고분자시스템의 최적 첨가비율 및 나노셀룰로오스를 적용하여 시트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목재펄프와 대마 인피섬유를 이용하여 인견사 제조용 친환경 특성을 지닌 고강도 시트 제조를 시도하였으며, 목재펄프 성상(침·활엽수 혼합비율 및 고해도), 고분자 첨가제 첨가량, 대마 인피섬유의 혼합비율, 나노셀룰로오스의 적용 특성 등을 비교하여 최적의 인견사 제조용 시트화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견사 제조용 친환경 고강도 시트개발을 목적으로 목재펄프와 대마섬유를 혼합한 시트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공정 첨가제로서 지력증강제 및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물리적·기계적 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고강도 인견사용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목재펄프의 최적 혼합조건을 설정하였다. Table 1의 조건에 따라 SwBKP와 HwBKP의 고해도 및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수초지를 제조하여 물리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견사 제조용 친환경 고강도 시트개발을 목적으로 목재펄프와 대마섬유를 혼합한 시트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공정 첨가제로서 지력증강제 및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하여 물리적·기계적 강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침엽수 표백크라프트펄프(softwood bleached kraft pulp, SwBKP)와 활엽수 표백크라프트펄프(hardwood bleached kraft pulp, HwBKP) 의 혼합비율 및 고해도 조절을 통한 인견사 제조용 시트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업용 양이 온성 PVAm(cationic polyvinyl amine)13)과 음이온성 PAM(anionic polyacrlamide)을 이용한 이중고분자시스템의 최적 첨가비율 및 나노셀룰로오스를 적용하여 시트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견사란 무엇인가? 이황화탄소는 독성이 매우 강한 화학물질로서 1851년 성냥 제조업에서 인에 대한 용제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66년 이전에 고무공업이나 화학공업에 소량 수입되어 사용되다가 인견사 제조공장의 준공에 따라 이황화탄소의 사용량이 급증하게 되었다. 인견사란 인조 (人造) 견사(絹絲)로서 셀룰로오스계 재생섬유로 분류되며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이라고도 한다. 인견사 제조에 사용되는 이황화탄소는 습식방사법에 의한 인견사 제조 시에 발생되며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줄 정도의 양이 방출된다.
천연 셀룰로오스를 원료로 제조되는 인견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천연 셀룰로오스를 원료로 제조되는 인견사는 인조 섬유와 달리 흡습성이 우수하여 통풍이 우수하며 피부와의 정전기 발생량이 적고 표면이 매끄러워 착용 시 안락감을 준다.4) 이러한 장점을 이용해 기존의 습식 방사법으로 생산되던 인견사와 다른 건습식 방사법으로 제조하는 텐셀(tencel)이 개발5)되었으며, 국내에서도 기존의 인견사 제조과정에서 초지공정인 증해, 해리, 고해, 초지, 건조공정을 도입하여 제조된 박막의 종이를 슬리팅 한 후 꼬임 수를 조절하여 인견사를 제조하기도 하였다.
인견사 제조용 펄프 원료로 대마가 사용된 이유는? 6) 또한 인견사 제조용 펄프 원료로서 목재 펄프 외에도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마 섬유를 검토하기도 하였다. 대마는 60-90일 정도 생장하면 수확이 가능하고 리그닌 함유량이 적으며 수율이 높다. 특히 섬유장이 길고 강도가 우수하며 우리나라의 기후, 토양, 강수량 등 대마의 생육 조건이 적합하다. 또한 향균성이 뛰어나며 면보다 질기고 통풍성이 우수하여 오랫동안 우리 민족에게 는 일상적인 의복 재료로서 민족의 전통문화가 스며있는 상징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S. D., Song, D. B., and Yum, T. Y., Clinical analysis of 8 cases of chronic carbon disulfide poisoning in workers engaged in the viscose rayon indust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2):189-196 (1989). 

  2. Lee, E. I. and Cha, C. W., Health status of workers exposed to carbon disulfide at a viscose rayon factory in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1):20-31 (1992). 

  3. Choi, J. W. and Jang, S. H., A review on the carbon disulfide poisoning experienc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3(1):11-20 (1991). 

  4. Tasnim, S., Satyajeet, C., and Alpa, V., Viscose rayon: Legendary development in the manmade textile,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and Applications (IJERA) 2(5):675-680 (2012). 

  5. Borbely, E., Lyocell, The new generation of regenerated cellulose, Acta Polytechnica Hungarica 5(3):11-18 (2008). 

  6. Bae, P. 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ulp for hemp rayon and pulp prepared therefrom, Korea patent 101254751 (2013). 

  7. Kim, H. S., Current study conditions and production process of hemp cloth, The Kyong Ju Sa Hak 37:53-77 (2013). 

  8. Jaymini, K.,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the physical, chemical and pulping properties of hemp (Cannabis sativa 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2000). 

  9. Lee, M. K., Kim, J. S., and Yoon, S. L., Effective utilization of hemp fiber for pulp and papermaking, Journal of Korea TAPPI 43(5):28-33 (2011). 

  10. Choi, E. K., Kim, O. K., and Yang, K. Y., A study on effects of woodpulp contents and its characteristics on matrix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in cement composit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4):67-76 (2004). 

  11. Khalil, A., Davoudpour, Y., Islam, N., Mustapha, A., Sudesh, K., Dungani, R., and Jawaid, M., Production and modification of nanofibrillated cellulose using various mechanical processes: A review, Carbohydrate Polymer 99:649-665 (2014). 

  12. Zhoul, Y. M., Ful, S. Y., Zheng, L. M., and Zhan, H. Y., Effect of nanocellulose isolation techniques on the formation of reinforced poly(vinyl alcohol) nanocomposite films, Express Polymer Letters 6(10):794-804 (2012). 

  13. Cho, B.-U., Ryu., J. Y., Son, D. J., and Song, B. K., Application of cationic PVAm-anionic PAM dry strength aids system on kraft paper mill, Journal of Korea TAPPI 42(3):50-57 (2010). 

  14. Lee, J. H. and Park, J. M., Paper strength mechanism depending on mixing ratio of softwood and hardwood fibers, Journal of Korea TAPPI 33(3):1-8 (2001). 

  15. Lee, H. L., Lee, B. J., Shin, D. S., Seo, Y. B., Lim, K. P., Won, J. M., and Sohn, C. M., Papermaking Science (Jeji KwaHak), Kwang-Il Publisher, Suwon, Korea, pp. 298-304 (1996). 

  16. Lglesias, G., Bao, M., Lamas, J., and Vega, A., Effects of operational variables on pulp yield and lignin solubilization, Bioresource Technology 58(1):17-23 (1996). 

  17. Houssine S., Qi, Z., Olli, I., and Lars, A. B., Nanofibrillated cellulose for enhancement of strength in high-density paper structures, Nordic Pulp & Paper Research Journal 28(2):182-18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