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eCo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 고분자 복합재의 전자파 차폐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FeCo Magnetic Metal Hollow Fiber/EPDM Composite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원문보기

Composites research = 복합재료, v.28 no.6, 2015년, pp.333 - 339  

최재령 (Functional Composites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정병문 (Functional Composites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최우혁 (Functional Composites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조승찬 (Functional Composites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박가현 (Functional Composites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김원정 (Functional Composites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이상관 (Functional Composites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  이상복 (Functional Composites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Materials Science (KIMS))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전해 도금을 통해 제조한 FeCo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와 EPDM 고분자를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 복합재를 제작하였다.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섬유의 종횡비를 제어하였으며 중공형 구조로 섬유를 제조한 후, 이를 EPDM 수지에 첨가하여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종횡비가 클수록 낮은 표면 저항 특성과 우수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나타내었다. 약 $100{\mu}m$ 길이의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이용한 두께 $150{\mu}m$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경우 밀도 $1.18g/cm^3$, 약 30 ohm/sq의 표면 저항, 그리고 30 dB의 전자파 차폐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종횡비가 큰 섬유에 의한 퍼콜레이션 임계치 이상의 전도성 네트워크 형성과 더불어, 낮은 표면 저항에 기인한 임피던스 차이에 의한 반사 손실 증가, 흡수 손실, 그리고 다중 내부 반사 손실에 의하여 우수한 전자파 차폐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composite with low density ($1.18g/cm^3$) was fabricated using electroless plated FeCo magnetic metal hollow fibers and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polymer. Aspect ratio of the fibers were controlled and their hollow structure was obta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제작된 전자파 차폐 복합재 필름의 미세 구조 및 섬유 구조 형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면 분석과 X-선 회절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8.2~12.4 GHz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자파 차폐 성능을 평가, 비교하였으며 측정된 전자파 차폐 성능과 표면 저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Casting 높이는 500 μm와 700 μm로 고정하여 시편 제작을 진행하였으며 상온에서 하루 동안 건조하였다.
  • Comma roll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의 전자파 차폐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Casting 높이는 500 μm와 700 μm로 고정하여 시편 제작을 진행하였으며 상온에서 하루 동안 건조하였다.
  • EPDM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toluene과 xylene을 무게비 1:1로 혼합한 용매를 EPDM 고분자 수지와 무게비 7:3으로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EPDM 고분자 수지 내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30 wt%, 부피비로 약 4.5 vol% 함량으로 혼합하였으며 중공형 섬유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homogenizer (PT 2500E, KINEMATICA)를 이용하여 10000 rpm으로 20분 동안 효과적으로 교반을 실시하였다. 혼합 및 분산 과정에서 발생한 기포와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60oC에서 약 1시간 동안 진공 탈포 과정을 진행하였다.
  • 전자파 차폐 복합재 필름을 제작하기 위하여 제조한 FeCo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EPDM 고분자 수지에 분산하였다. EPDM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toluene과 xylene을 무게비 1:1로 혼합한 용매를 EPDM 고분자 수지와 무게비 7:3으로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EPDM 고분자 수지 내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30 wt%, 부피비로 약 4.
  • FeCo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차폐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Free space measurement system (HVS Technologies)을 이용하여 제작된 150 mm × 150 mm 전자파 차폐 복합재를 주파수 8.2~12.4 GHz의 범위에서 차폐 성능을 측정, 분석하였다.
  • 약 100, 15 μm 길이의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각각 700, 1000oC에서 고온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였다. FeCo 중공형 섬유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르곤 분위기에서 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분당 5oC의 승온 속도로 1h 동안 상기 온도조건을 유지하였다.
  • 감량된 직경 2 μm의 극세사 표면에 이원계 자성 금속인 FeCo을 무전해 도금하기 위하여 활성화 전처리 공정을 진행하였다.
  • NaOH 강염기 분위기에서 해도사를 감량하여 약 2 μm 의 직경을 가지는 극세사를 제조한 후 FeCo을 무전해 도금 하여 약 500 nm 두께의 자성 금속층을 도금하였다. 고온의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polyester 극세사를 제거하고 중공형 구조의 섬유를 제조하였다. 고온의 열처리 공정을 통해 중공형 구조의 섬유를 구현 가능하게 하여 충진제로써의 경량성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자성 금속층의 조직과 상을 제어하여 결정성을 높이고 더 치밀한 FeCo 구조를 형성하였다[16].
  • 본 연구에서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이용하여 고분자 복합재 전자파 차폐 필름을 제조하였다. 낮은 함량에서 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은 종횡비를 갖는 자성 금속 섬유를 이용하였으며 경량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무전해 도금을 통해 중공형 구조의 자성 금속 섬유를 제조하였다. 특히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길이에 따른 전자파 차폐 특성 비교를 위해 자성 금속 섬유의 열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각기 다른 종횡비를 갖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였다.
  • 특히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길이에 따른 전자파 차폐 특성 비교를 위해 자성 금속 섬유의 열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각기 다른 종횡비를 갖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였다. 또한 복합재의 두께에 따른 전자파 차폐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캐스팅 두께를 달리하여 복합재의 두께를 조절하였다. 제작된 전자파 차폐 복합재 필름의 미세 구조 및 섬유 구조 형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면 분석과 X-선 회절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열처리 전후의 결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X-선 회절을 분석하였고 OM과 SEM을 통하여 복합재의 건전성과 분산성을 평가 하였다. 또한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종횡비에 따른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특성 차이를 평가 분석하였다.
  • 무전해 도금 자성 금속 섬유의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중공형 구조의 섬유를 제조하고 결정상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19], 중공형 종횡비를 제어하였다. 열처리 공정에서 polyester 극세사가 열분해에 의해 CO2 가스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금속 코팅층 내부에 압력이 발생하며, 자성 금속 도금층에 가스 제거를 위한 크랙이 생성되며 섬유가 파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무전해 도금과 고온의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FeCo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였으며, EPDM 고분자 수지와 혼합 분산하여 전자파 차폐 복합재를 제작 하였다. 제작된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전자파 차폐 성능을 평가하고 복합재의 전기적 특성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이용하여 고분자 복합재 전자파 차폐 필름을 제조하였다. 낮은 함량에서 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은 종횡비를 갖는 자성 금속 섬유를 이용하였으며 경량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무전해 도금을 통해 중공형 구조의 자성 금속 섬유를 제조하였다.
  • 약 100, 15 μm 길이의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각각 700, 1000oC에서 고온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였다.
  •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섬유의 종횡비를 제어하고 결정성을 높였으며, 자성 금속 섬유를 중공형 구조로 제조하여 경량성을 구현하였다. 장섬유 형태의 중공형 섬유로 제작한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경우 30 ohm/sq의 표면 저항을 나타내었으며, 주파수 10 GHz에서 99.
  •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 고분자 복합재 내 toluene, xylene 용매가 건조과정 동안 증발되어 각각 100 μm와 150 μm의 최종 두께를 갖는 전자파 차폐 복합재를 제작하였다.
  •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 극세사 표면에 FeCo 자성 금속을 무전해 도금한 후 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극세사를 제조하기 위해 polyester 해도사를 NaOH 강염기 수용액에서 30분 동안 감량시켰다.
  • 제작된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전자파 차폐 성능을 평가하고 복합재의 전기적 특성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열처리 전후의 결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X-선 회절을 분석하였고 OM과 SEM을 통하여 복합재의 건전성과 분산성을 평가 하였다. 또한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종횡비에 따른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특성 차이를 평가 분석하였다.
  • 전자파 차폐 복합재 필름을 제작하기 위하여 제조한 FeCo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EPDM 고분자 수지에 분산하였다. EPDM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toluene과 xylene을 무게비 1:1로 혼합한 용매를 EPDM 고분자 수지와 무게비 7:3으로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차폐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로, 세로 150 mm × 150 mm 정사각형 필름 형태의 시편으로 복합재를 가공하였다.
  • 제조한 FeCo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와 EPDM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여 전자파 차폐 복합재 필름을 Table 1과 같은 조건으로 제작하였다. 전자파 차폐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 분석하기 위하여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종횡비와 복합재 필름의 두께를 제어하였다. Table 1에서 알 수 있듯이 S1과 S2 시편의 경우 약 15 μm의 길이를 갖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이용하여 각각 100 μm, 150 μm 의 두께를 갖는 전자파 차폐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 또한 복합재의 두께에 따른 전자파 차폐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캐스팅 두께를 달리하여 복합재의 두께를 조절하였다. 제작된 전자파 차폐 복합재 필름의 미세 구조 및 섬유 구조 형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면 분석과 X-선 회절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8.
  • 본 연구에서는 무전해 도금과 고온의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FeCo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였으며, EPDM 고분자 수지와 혼합 분산하여 전자파 차폐 복합재를 제작 하였다. 제작된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전자파 차폐 성능을 평가하고 복합재의 전기적 특성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열처리 전후의 결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X-선 회절을 분석하였고 OM과 SEM을 통하여 복합재의 건전성과 분산성을 평가 하였다.
  • 동일한 시편의 각기 다른 지점에 대해 10회 반복 측정을 실시 하여 유사값에 대해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제조된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와 제작된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분산성과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SEM, JSM-5800, JEOL Ltd.)과 광학 현미경(OM, LV150N, Nikon)을 사용하여 미세구조를 분석하고 섬유의 결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XRD, D/MAX-2500V, Rigaku)을 수행하였다.
  • 4 GHz의 범위에서 차폐 성능을 측정, 분석하였다. 차폐 소재의 차폐 성능과 필름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4 point probe(Napson Corporation, Cresbox)를 이용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편의 각기 다른 지점에 대해 10회 반복 측정을 실시 하여 유사값에 대해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 낮은 함량에서 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높은 종횡비를 갖는 자성 금속 섬유를 이용하였으며 경량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무전해 도금을 통해 중공형 구조의 자성 금속 섬유를 제조하였다. 특히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의 길이에 따른 전자파 차폐 특성 비교를 위해 자성 금속 섬유의 열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각기 다른 종횡비를 갖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였다. 또한 복합재의 두께에 따른 전자파 차폐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캐스팅 두께를 달리하여 복합재의 두께를 조절하였다.
  • 5 vol% 함량으로 혼합하였으며 중공형 섬유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homogenizer (PT 2500E, KINEMATICA)를 이용하여 10000 rpm으로 20분 동안 효과적으로 교반을 실시하였다. 혼합 및 분산 과정에서 발생한 기포와 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60oC에서 약 1시간 동안 진공 탈포 과정을 진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 전자파 차폐 복합재 제작에 사용된 고분자 수지는 EPDM이며 GM Tech에서 구입하였다. EPDM 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toluene과 xylene을 희석제로 사용 하였으며 Sigma-Aldrich에서 공급받아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 FeCo 무전해 도금욕의 구성으로 iron(II) sulfate heptahydrate(FeSO4·7H2O, Junsei Chemical), cobalt(II) sulfate heptahydrate(CoSO4·7H2O, Junsei Chemical)는 각각 Fe와 Co를 무전해 도금하기 위하여 첨가되었으며 sodium tartrate (Sigma Aldrich), sodium citrate(Sigma Aldrich)는 착화제로 이용되었다.
  • S3와 S4 시편의 경우 약 100 μm의 길이를 갖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이용하여 각각 100 μm, 150 μm의 두께를 갖는 전자파 차폐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 Table 1에서 알 수 있듯이 S1과 S2 시편의 경우 약 15 μm의 길이를 갖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이용하여 각각 100 μm, 150 μm 의 두께를 갖는 전자파 차폐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Huvis Corporation에서 생산된 180 μm 길이의 polyester 해도사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Huvis Corporation에서 생산된 180 μm 길이의 polyester 해도사를 사용하였다. 전자파 차폐 복합재 제작에 사용된 고분자 수지는 EPDM이며 GM Tech에서 구입하였다. EPDM 의 점도를 낮추기 위하여 toluene과 xylene을 희석제로 사용 하였으며 Sigma-Aldrich에서 공급받아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차폐 소재의 차폐 성능과 필름의 전기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4 point probe(Napson Corporation, Cresbox)를 이용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시편의 각기 다른 지점에 대해 10회 반복 측정을 실시 하여 유사값에 대해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제조된 자성 금속 중공형 섬유와 제작된 전자파 차폐 복합재의 분산성과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SEM, JSM-5800, JEOL Ltd.
  • 제조된 전자파 차폐 복합재 필름의 표면 미세구조와 분산성 및 건전성을 OM 및 SEM을 통하여 평가 분석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자파 장해가 심해지는 이유는? 최근 전자기기의 급격한 발달로 인한 전자파 장해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전자파 장해로 인하여 전자제품, 정보통신기기, 의료기기 및 군사장비 등에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으며, 기기의 다기능화, 경량화 및 경박 단소화 경향에 따른 고밀도, 고집적 그리고 복합화는 전자파 장해를 더욱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1,2].
전자파 장해의 문제점은? 최근 전자기기의 급격한 발달로 인한 전자파 장해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전자파 장해로 인하여 전자제품, 정보통신기기, 의료기기 및 군사장비 등에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으며, 기기의 다기능화, 경량화 및 경박 단소화 경향에 따른 고밀도, 고집적 그리고 복합화는 전자파 장해를 더욱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1,2].
전자파 차폐재로 많이 사용하는 금속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엇이 부각되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전자파 차폐재로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무겁고 쉽게 부식 되며 가공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다[8]. 최근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경량성과 내환경성, 그리고 높은 생산성을 겸비한 고분자와의 복합재가 부각되고 있다[9]. 특히 금속-고분자 복합재의 경우 종횡비가 큰 금속 섬유 형상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낮은 함량에서도 높은 종횡비에 의하여 도전성 경로가 확대되고 그로 인해 경량성 확보와 더불어 전도성 증가에 따른 우수한 전자파 차폐 특성을 구현하기 때문이다[1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ee, S.E., Lee, M.Y., Lee, M.K., Jeong, E., and Lee, Y.S., "Effect of Fluorination of Carbon Nanotubes on Physico-chemical and EMI Shielding Properties of Polymer Composites," Polymer Korea, Vol. 39, 2014, pp. 114-121. 

  2. Chen, C.S., Chen, W.R., Chen, S.C., and Chien, R.D., "Optimum Injection Molding Processing Condition on EMI Shielding Effectiveness of Stainless Steel Fiber Filled Polycarbonate Composite," International Communications in Heat and Mass Transfer, Vol. 35, 2008, pp. 744-749. 

  3. Hong, M.S., Bae, K.M., Lee, H.S., Park, S.J., An, K.H., Kang, S.J., and Kim, B.J.,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Behaviors of Electroless Nickel-loaded Carbon Fibers-reinforced Epoxy Matrix Composites,"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ol. 22, 2011, pp. 672-678. 

  4. Al-Ghamdi, A.A. and El-tantawy, F., "New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iveness at Microwave Frequency of Polyvinyl Chloride Reinforced Graphite/Copper Nanoparticles," Composites: Part A, Vol. 41, 2010, pp. 1693-1701. 

  5. Lu, N.N., Wang, X.J., Meng, L.L., Ding, C., Liu, W.Q., Shi, H.L., Hu, X.S., and Wu, K.,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Effectiveness of Magnesium Alloy-Fly Ash Composites,"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Vol. 650, 2015, pp. 871-877. 

  6. Park, K.Y., Lee, S.E., Kim, C.G., and Han, J.H., "Application of MWNT-added Glass Fabric/Epoxy Composites to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nclosures," Composite Structures, Vol. 81, 2007, pp. 401-406. 

  7. Al-Saleh, M.H., and Sundararaj, U.,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Mechanisms of CNT/Polymer Composites," Carbon, Vol. 47, 2009, pp. 1738-1746. 

  8. Rochon, P. and Gauthier, N., "Strong Shielding due to an Electromagnetically Thin Metal Sheet," American Journal of Physics, Vol. 58, 1990, pp. 276. 

  9. Bigg, D.M., and Stutz, D.E., "Plastic Composites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pplications," Polymer Composites, Vol. 4, 1983, pp. 40-46. 

  10. Stubhan, T., Krantz, J., Li, N., Guo, F., Litzov, I., Steidl, M., Richter, M., Matt, G.J., and Brabec, C.J., "High Fill Factor Polymer Solar Cells Comprising a Transparent, Low Temperature Solution Processed Doped Metal Oxide/Metal Nanowire Composite Electrode,"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107, 2012, pp. 248-251. 

  11. Silva, A.B., Arjmand, M., Sundararaj, U., and Bretas, R.E.S., "Novel Composites of Copper Nanowire/PVDF with Superior Dielectric Properties," Polymer, Vol. 55, 2014, pp. 226-234. 

  12. Al-Saleh, M.H., Gelves, G.A., and Sundararaj, U., "Copper Nanowire/Polystyrene Nanocomposites: Lower Percolation Threshold and Higher EMI Shielding," Composites: Part A, Vol. 42, 2011, pp. 92-97. 

  13. Hu, M., Gao, J., Dong, Y., Li, K., Shan, G., Yang, S., and Li, R.K.Y., "Flexible Transparent PES/Silver Nanowires/PET Sandwich-Structured Film for High-Efficiency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Langmuir, Vol. 28, 2012, pp. 7101-7106. 

  14. Uysal, M., Karslioglu, R., Alp, A., and Akbulut, H., "The Preparation of Core-Shell $Al_2O_3/Ni$ Composite Powders by Electroless Plating," Ceramics International, Vol. 39, 2013, pp. 5485-5493. 

  15. Dadvand, N., Jarjoura, G., and Kipouros, G.J.,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Fe-B Thin Films Produced by Electroless Deposition,"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Materials in Electronics, Vol. 19, 2008, pp. 51-59. 

  16. Meng, X. and Shen, X., "Preparation of FeCo-, FeNi- and NiCo-Alloy Coated Cenosphere Composites by Heterogeneous Precipitation," Particuology, Vol. 10, 2012, pp. 334-338. 

  17. Wilson, L., Kalu, E.E., Martin, L., and McHenry, M.E., "Decoration of Carbon Nanotubes with Iron-Cobalt (FeCo) Alloy using Polymer-Stabilization and Electroless Deposition Techniques for Thermotherapy Applications"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Vol. 22, 2012, pp. 595-601. 

  18. Yu, Y.H., Ma, C.C.M., Teng, C.C., Huang, Y.L., Tien, H.W., Lee, S.H., and Wang, I., "Enhanced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Filled with Silver Nanowires and Nanoparticles," Journal of the Taiwan Insititute of Chemical Engineers, Vol. 44, 2013, pp. 654-659. 

  19. Qin, D.H., Cao, L., Sun, Q.Y., Huang, Y., and Li, H.L., "Fine Magnetic Properties Obtained in FeCo Alloy Nanowire Arrays," Chemical Physics Letters, Vol. 358, 2002, pp. 484-488. 

  20. Mall, S., Rodriguez, J., and Alexander, M.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and Electrical Conductivity Behavior of Carbon/Polycyanate Composite With Nickel $Nanostrands^{TM}$ Under Fatigue," Polymer Composites, Vol. 32, 2011, pp.483-490. 

  21. Lan, M., Cai, J., Zhang, D., Yuan, L., and Xu, Y.,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iveness and Mechanical Property of Polymer-Matrix Composites Containing Metallized Conductive Porous Flake-Shaped Diatomite," Composites: Part B, Vol. 67, 2014, pp. 132-137. 

  22. Yim, Y.J., Seo, M.K., Kim, H.Y., and Park, S.J., "Ele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Effective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WNCNT-reinforced Polypropylene Nanocomposites," Polymer Korea, Vol. 36, 2012, pp. 494-49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