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 분포 모형을 활용한 새로운 구상나무 서식지 탐색, 그리고 식물보전 활용
A Detection of Novel Habitats of Abies Koreana by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SDMs) and Its Application for Plant Conservatio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6, 2015년, pp.135 - 149  

김남신 (국립생태원) ,  한동욱 (국립생태원) ,  차진열 (국립생태원) ,  박용수 (국립생태원) ,  조현제 (한국산림생태연구소) ,  권혜진 (국립수목원) ,  조용찬 (국립수목원) ,  오승환 (국립수목원)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fir(Abies koreana E.H.Wilson 1920), endemic tree species of Korean peninsula, is considered as vulnerable and endangered species to rec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land use and climate change. There are limited activities and efforts to find natural habitats of Korean fir for con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종분포 모형을 이용하여 구상나무 잠재적 자생지 예측지도를 만들고, 그 결과를 현지 조사에 적용하여 구상나무의 새로운 자생지를 탐사하며, 이러한 중분포 모형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와 같이 예측모형을 적용하여 자생지를 추가적으로 확보함으로써 산림식물 유전자원 확보를 통한 종 보전과 기후변화 적응, 서식지 복원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상나무가 큰 관심을 받아온 이유는? 구상나무는 지난 십여 년간 학계를 중심으로 기후변화 관련 주요 산림 생물종으로서 관심이 증가해 왔고, 꾸준한 언론 보도를 통하여 시민사회의 큰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것의 배경은, 구상나무 자생지가 고해발 지역으로 한정되며, 최근 구상나무 군락의 쇠퇴와 기후변화 관련성에 대한 학계 의견, 그리고 기후변화 부적응에 따른 개체수 및 분포 면적의 감소, 그리고 한반도 생태계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 규명을 위한 대표적인 지표종이기 때문이다 (KNA, 2008).
최근 알려진 구상나무의 자생지는? 그 후 일본인 우에키 호미키(植木秀幹)의 조사를 통해 덕유산과 가야산 자생지를 알리게 되었다. 구상나무는 최근 알려진 금원산 및 신불산 지역을 포함하여 한반도에서 6개 지역에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 외에 문헌상 밀양 가지산과 광주 무등산의 자생 기록은 있으나 표본 등 공식 확인 자료는 찾아보기 어렵다.
국제적으로 구상나무 고사 및 서식지 축소 원인을 밝히기 어려운 이유는? 한편, 많은 연구와 보고들이 구상나무 고사 및 서식지 축소 원인을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아직까지 기후 요인이 구상나무의 생리생태 변화에 미친 직접적 영향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국제적으로 역시 식생의 변화가 기후변화 때문인지, 천이 또는 식생 발달 과정인지에 대한 논란이 존재하며, 이것은 기후는 항상 변화해 왔으며, 생태계는 이러한 기후의 변화에 항상 적응하며 발달해왔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arts, G ? Fieberg, J. and Matthiopoulos, J. 2012. Comparative interpretation of count, presenceabsence and point methods for species distribution models. Methods in Ecology and Evolution 3: 177-187. 

  2. Chakraborty, A. ? Gelfand, A. E. ? Wilson, A. M. ? Latimer, A. M. and Silander, J. A. 2011. Point pattern modelling for degraded presence-only data over large region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 60: 757-76. 

  3. Cho HJ ? Bae KH ? Lee CS and Lee CH.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Vegetation of the Subalpine Area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3(5): 372-379. 

  4. Daubenmire, R. 1978.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North America. Academic Press, New York, NY, pp. 338. 

  5. Elith, J. and Leathwick, J. R. 2007.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from museum and herbarium records using multiresponse models fitted with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3: 265-75. 

  6. Elith, J. ? Phillips, S. J. ? Hastie, T. ? Dudk, M. ? Chee, Y. E. and Yates, C. J. 2011. A statistical explanation of MaxEnt for ecologis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7: 437. 

  7. Fork, D. A. ? Millar, E. E. and Olwell, M. 1996. Restoring Diversity: Strategies for Reintroduction of Endangered Plants. Washington, DC, Island Press. 

  8. Franklin, J. 2009. Mapping Species Distributions: Spatial Inference and Predi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pp. 320. 

  9. Guisan, A. and Thuiller, W. 2005.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 Offering more than simple habitat models. Ecology Letters 8: 993-1009. 

  10. Hannah, L. 2003. Regioinal biodiversity impact assessments for climate change: A guide for protected area managers, p. 235-244. In: Buying Time: A User's Manual for Building Resistance and Resilience to Climate Change in Natural Systems (Hansen, L. J., J. L. Biringer, and J. R. Hoffman). Berlin: World Wildlife Fund Climate Change Program. 

  11. Ian W. R. and David I. W. 2013. Equivalence of MAXENT and Poisson Point Process Models for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in Ecology. Biometrics 69(1): 274-81. 

  12. Jones, C. C. ? Acker, S. A. and Halpern, C. B. 2010. Combining local- and large-scale models to predict the distributions of invasive plant species. Ecological Applications 20: 311-326. 

  13. Kang SJ ? Kwak AK and Takao K. 1997. A Phytosociologycal Description of the Abies koreana Forest on Mt. Halla in Cheju Island,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0(2): 293-298. 

  14. Kang SJ. 1984. Regeneration Process of Subalpine Coniferous Forest in Mt. Jiri. Korean Journal of Ecology 7(4): 185-193. 

  15.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Proceeding on the Expert Workshop on Conservation of Abies koreana in Mt. Hallasan. Warm-Temperate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KFRI, Jeju. 

  16. Kim, JH ? Seo CW ? Kwon HS ? Ryu JE and Kim MJ. 2012. A Study on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using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4): 593-607. 

  17. Kim NS and Lee HC. 2013. A Study on Changes and Distributions of Korean Fir in Sub-Alpine Zone.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5): 49-57. 

  18.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Steppingstone for conservation of Abies koreana, p. 85-86. In: Forest of Korea (I) Conservation of Korean fir (Abies koreana) in a changing environment. Sumeunkil, Seoul. 

  19.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Pocheon. pp. 332. 

  20.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DDeulmunhwa, Daejeon. 

  21. Kwon HS ? Ryu JE ? Seo CW ? Kim JY ? Lim DO and Suh MH. 2012. A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coreana Using SDM.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5): 735-743. 

  22. Lee CS and Cho HJ. 1993.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Wilson Community in Mt. Gaya. Korean Journal of Ecology 16(1): 75-91. 

  23. Lee TB. 1970. Abies koreana and Its New Forms Discovere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 101-111. 

  24. Lovejoy, T. E. and Hannah, L. 2005. Climate change and biodiversity.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T. pp. 440. 

  25. McKenzie, D. and Halpern, C. B. 1999. Modeling the distributions of shrub species in Pacific northwest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14: 293-307. 

  26. Mue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y and Sons, New York, NY. pp. 547. 

  27. Pearce, J. and Lindenmayer, D.1998. Bioclimatic analysis to enhance reintroduction biology of the endangered helmeted honeyeater (Lichenostomus melanops cassidix) in southeastern Australia. Restoration Ecology 6: 238-243. 

  28. Phillips, S. J. ? Anderson, R. P. and Schapire, R. E. 2006. Maximum entropy modeling of species geographic distributions, Ecological Modelling 190: 231-59. 

  29. Song KM ? Kim CS ? Koh JG ? Kang CH and Kim MH. 2010.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s in Mt. Hall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4): 415-425. 

  30. Trisurat, Y. ? Shrestha, R. P. and Kjelgren, R. 2011. Plant specie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n Peninsular Thailand. Applied Geography 31(3): 1106-1114. 

  31. van Mantgem, P. J. ? Stephenson, N. L. ? Byrne, J. C. ? Daniels, L. D. ? Franklin,J. F. ? Ful, P. Z. ? Harmon,M. E. ? Larson, A. J. ? Smith, J. M. ? Taylor, A. H. and Veblen, T.T. 2009. Widespread increase of tree mortality rates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Science 323 (5913): 521-524. doi: 10.1126/science.1165000. 

  32. Watt, A. S. 1947. Pattern and process in the plant community. Journal of Ecology 35: 1-22. 

  33. Whittaker, R. H. 1975. Communities and Ecosystems. Macmillan Press, New York, NY. pp. 385. 

  34. Wilson, E. H. 1920. Four new conifers from Korea. Journal of the Arnold Arboretum 1: 186-190. 

  35. Woodward, F. I. 1987. Climate and Plant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England. pp. 174 

  36. Woodward F. I. and McKee, I. F. 1991. Vegetation and Climate. Environment International 17: 535-546. 

  37. Yun JH ? Nakao K ? Kim JH ? Kim SY ? Park CH and Lee BY. 2014. Habitat prediction and impact assessment of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under Climate Change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2): 101-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