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소 근로자들의 폐쇄성 폐기능 저하와 관련된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Obstructive Pattern Spirometry In Shipyard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5 no.4, 2015년, pp.525 - 533  

김자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창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김영욱 ,  채창호 ,  손준석 ,  김찬우 ,  이준호 ,  박형욱 ,  조병만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longside smoking, occupational exposure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actors associated with occupational pulmonary function decline that can be used to create guidelines for the health management of s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병기를 폐활량 저하의 정도에 따라 나눈 것이 GOLD(Global Initiative for Obstructive Lung Disease) 분류인데(Gold, 2015), GOLD 분류는 기본적으로 기관지 확장제 투여 후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 건강 진단의 범주에서 안전 보건 공단의 폐활량 검사 실시 기준을 바탕으로 폐활량 검사 시 기관지 확장제를 투여하지 않은 상태로 시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GOLD 분류에 따른 유병 률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단면 연구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발생하는 시점이 명확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질병의 특성과 급성으로 발생하거나 정도가 심각하여 업무가 불가능한 경우 대상에서 탈락하는 건강 근로자 효과 때문에 결과를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로 설정하지 못하고 1초 강제호기율이 70% 미만이 되는 근로자를 결과로 선정한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일개 조선소의 정규직 근로자로서 근속하며 동일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인원들에 대해 사업장에서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하는 작업 환경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유해 인자의 노출 여부를 파악하였고, 만성 노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근무력과 흡연에 대한 영향을 함께 고려하여 평가하였으며, 현재 대규모로 시행되고 있는 근로자 건강 진단의 폐활량 검사를 어떻게 특수건강진단 판정에 반영하여 근로자 건강보호에 활용할 지를 생각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 본 연구는 정기적으로 조선소 근무 근로자의 건강 진단에서 시행되는 폐활량 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폐쇄성 폐환기 장애 형태의 폐활량 저하에 관련된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특수건강진단의 판정에 활용하여 유해 물질에 노출되는 근로자들이 직업성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이환 되는 것을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조선소에 근무하는 남성을 대상으로 폐쇄성 폐환기 장애 형태의 폐활량 저하와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폐활량의 저하는 흡연과 같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인 이외에도 직업적 노출로도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이러한 요인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란 무엇인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이전 폐기종이나 만성기관지염 등의 폐질환을 정리하여 지칭한 것으로, 비가역적으로 기도에서 기류의 제한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만성 염증에 의한 기도와 폐실질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Boschetto et al.
비흡연자에게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나타나는 것은 어떤 경우인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발생에 있어서는 흡연이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다고 알려져 있지만,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25∼45%에서는 비흡연자인 것으로 나타나며 흡연 이외의 요인으로는 실내 외 공기 오염이나 직업적인 노출 등이 포함된다(Salvi & Barnes, 2009). 직업성 분진이나 증기 또는 흄에 노출되는 경우 비흡연자에서 직업성 노출만으로도 발생 할 수 있어(Hnizdo et al., 2002), 직업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하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원인은 무엇인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Boschetto et al., 2006), 원인으로는 유전적 소인, 흡연, 직업성 분진이나 증기 또는 흄에 노출, 실내 외의 공기 오염 물질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외에 노화, 감염, 천식, 성별, 사회 경제적 요인들은 다른 요소들과 복합적으로 관여하며 연구 마다 이견이 있다(Mannino & Buist,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kbarkhanzadeh F. Long-term effects of welding fumes upon respiratory symptoms and pulmonary function. J Occup Med 1980;22(5):337-341 

  2. Antonini JM, Lewis AB, Roberts JR, Whaley DA. Pulmonary effects of welding fumes: Review of worker and experimental animal studies. Am J Ind Med 2003;43(4):350-360 

  3. Becklake MR. Occupational Exposures: Evidence for a causal association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Rev Respir Dis 1989;140:85-91 

  4. Benke G, Sim M, Fritschi L, Aldred G. Beyond the job exposure matrix(JEM): The task exposure matrix(TEM). Ann Occup Hyg 2000;44(6):475-482 

  5. Benke G, Sim M, Fritschi L, Aldred G, Forbes A et al. Comparison of occupational exposure using tree different methods: Hygiene panel, job exposure matrix(JEM), and self reports. Appl Occup Environ Hyg 2001;16(1):84-91 

  6. Blanc PD, Iribarren C, Trupin L, Earnest G, Katz PP et al. Occupational exposures and the risk of COPD: dusty trades revisited. Thorax 2009;64(1):6-12 

  7. Boschetto P, Quintavalle S, Miotto D, Lo Cascio N, Zeni E et al.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and occupational exposures. J Occup Med Toxicol 2006;1:11 

  8. Bose P, Bathri R. Association of microsatellite instability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order in isocyanate-exposed population of Bhopal. Indian J Hum Genet 2012;18(2):172-176 

  9. Bourgkard E, Wild P, Gonzalez M, Fevotte J, Penven E et al. Comparison of exposure assessment methods in a lung cancer case-control study: performance of a lifelong task-based questionnaire for asbestos and PAHs. Occup Environ Med 2013;70(12):884-891 

  10. Choi, JK, Paek D, Lee JO. Normal predictive values of spirometry in korean population. Tuberc Respir Dis 2005;58:230-242 

  11. COPD guideline 2014.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 2014 

  12. Dewar R, Siemiatycki J, and Gerin M. Loss of statistical power associated with the use of a job-exposure matrix in occupational case-control studies. Appl Occup Environ Hyg 1991;6:508-515 

  13. Gold(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2015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Inc 

  14. Hnizdo E, Sullivan P, Bang K. Association betwee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employment by industry and occupation in the US population: A Study of data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 J of Epidemiol 2002;156:738-746 

  15. Kim DS, Kim YS, Jung KS, Chang JH, Lim CM et al.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5;172: 842-847 

  16. Kim SJ, MH Suk, HM Choi, KC Kim, KH Jung et al. The local prevalence of COPD by post-bronchodilator GOLD criteria in Korea. Int J Tuberc Lung Dis 2006;10(12):1393-1398 

  17. Knudson RJ, Lebowitz MD, Holberg CJ, Burrows B. Changes in the normal maximal expiratory flowvolume curve with growth and aging. Am Rev Respir Dis 1983;127(6):725-734 

  18. Kor DH, Kim JI, Kim KH, You SW and Korea Welders Cohort Group. Welding fume exposure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welders. Occup Med(Lond) 2015;65(1):72-77 

  19. Korczynski RE. Occupational health concerns in the welding industry. Appl Occup Environ Hyg 2000;15: 936-945 

  20. Lee HP, Koh DH, Lee EC. Occupational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ases evaluated by workers' compensation in Korea.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9;21:53-62 

  21. Lee JO, Choi BS. Changes of pulmonary disability grades according to the spirometry reference equations. Tuberc Respir Dis 2010;69:108 

  22. Lillienberg L, Zock JP, Kromhout H, Plana E, Jarvis D et al. A Population-based study on welding exposures at work and respiratory symptoms. Ann Occup Hyg 2008;52:107-115 

  23. Mannino M, Buist A. Global burden of COPD: risk factors, prevalence, and future trends. Lancet 2007;370: 765-773 

  24. Marongiu A, Minelli C, Canova C, Schofield S, Szram J et al. P129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ross-sectional studies on arc welding fume effects and obstructive lung disease. Thorax 2014;69: a135-a136 

  25. Meo SA, AlKhlaiwi T. Health hazards of welding fumes. Saudi Medical Journal 2003;24:1176-1182 

  26. Miller MR, Hankinson J, Brusasco V, Burgos F, Casaburi R et al. Standardization of spirometry. Eur Respir J 2005;26:319-338. 

  27. Morris JF, Koski A, Johnson LC. Spirometric standards for healthy nonsmoking Adults. J Occup Environ Med 1971;13 

  2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Pulmonary function test.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2 

  29. Ozdemir O, Numanoglu N, Gonullu U, Savas I, Alper D et al. Chronic effects of welding exposure on pulmonary function tests and respiratory symptoms. Occup Environ Med 1995;52(12):800-803 

  30. Paek D, Choi JK, Choi BS. Normal predictive values of FVC and FEV1 for healthy Korean male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4;6:175-186 

  31. Puntoni R, Merlo F, Borsa L, Reggiardo G, Garrone E et al. A historical cohort mortality study among shipyard workers in Genoa, Italy. Ame J Ind Med 2001;40: 363-370 

  32. Rastogi SK, Gupta BN, Husain T, Mathur N, Srivastava S. Spirometric abnormalities among welders. Environ Res 1991;56(1):12-24 

  33. Salvi S, Barnes P.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non-smokers. Lancet 2009;374:733-743 

  34. Sohn HS, Kim SJ, Kim JH, Lee CU, Jeong KW et al. Radiolographic findings by the state of exposure to welding fumes and pulmonary function test in pneumoconiosis of shipyard weld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91;3(2):200-208 

  35. Song EH, Oh YM, Hond SB, Shim TS, Lim CM et al. Selection of reference equations for lung volumes and diffusing capacity in Korea. Tuberc Respir Dis 2006;61:218 

  36. Temel O, Sakar C, Yaman N, Sarioglu N, Alkac C et al. Occupational asthma in welders and painters. Tuberk Toraks 2010;58(1):64-70 

  37. Weinmann S, Vollmer M, Breen V, Heumann M, Hnizdo E et al. COPD and occupational exposures: A casecontrol study. J Occup Environl Med 2008;50 

  38. Yoo KH, Sung K.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Respirology 2011;16:659-6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