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이용균형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지역의 주거용 토지이용변화와 인구 밀도 예측
Analyzing Residential Land Use Change and Population Dens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Using Land Use Equilibrium Model in Jeju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4, 2015년, pp.43 - 58  

유소민 (고려대학교 기후환경학과)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야마가타 요시키 (일본 국립환경연구소 세계환경연구센터) ,  임철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송철호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최현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격한 경제 성장과 인구 증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급증시키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를 가속화시키고 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는 온실가스가 2000년부터 2030년까지 최대 90%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에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대책 수립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기후변화 대응 정책으로'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을 시행하였다. 지자체에서는 친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계획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기후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경제적, 지리적 특성을 기반한 토지이용 균형 모델을 적용하여 주거 토지이용변화와 인구 밀도를 예측하였다. 먼저, 주거부분의 토지이용변화를 보기 위해, 3가지 유형의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시나리오는 현재와 동일한 환경을 갖는 Dispersion 시나리오, 기후변화 적응 대책을 반영한 Adaptation 시나리오, 기후변화 적응과 완화 대책을 동시에 반영한 Combined 시나리오이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Dispersion 시나리오에서 Combined 시나리오로 갈수록 주거면적과 인구밀도가 줄어들었다. 이후 주거면적과 인구밀도 결과를 통해 시나리오별 주거용 에너지 소비량과 예상 인명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Dispersion 시나리오에서 Combined 시나리오로 갈수록 에너지 소비량과 예상 인명 피해액은 줄어들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지이용균형모델을 적용하여 시나리오별 주거부분 토지이용과 인구 밀도 변화 파악은 향후 기후변화 안정성을 확보하고 완화할 수 있는 환경적 도시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eenhouse gas emission caused by rapid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is increasing in Korea. Also, climate change from greenhouse gases emission is accelerated.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report projects an increas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by 90% from the year 2000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는 개발도상국 국가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의무감축국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경제성장으로 인한 지속적인 온실가스를 배출함으로써 기후변화에 기여해 왔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향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완화 및 적응 대책 수립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시나리오 별 주거면적과 인구밀도를 비교하기 위해, 3가지 유형의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본 모델은 일본에서 개발되고 현재 활용되고 있는 모델이며 우리나라에 적용해보았을 때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3가지 시나리오 유형과 그에 따른 가정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 이에 제주도는 급격한 거주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으로 인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점차 증가되어질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활용되고 있는 토지이용균형 모델을 우리나라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토지이용 시나리오 별 주거면적과 인구 밀도를 예측하고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정책을 반영함에 따른 토지이용 변화를 알아본다(그림 1).
  •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부문에서 사람들이 거주하는 주거용 토지가 어떻게 이용되고 변화하는지에 따라 기후변화 완화 및 피해 정도 크기 비교를 위해 수행되어졌다. 이를 위해 각 시나리오 별 기후변화에 의한 피해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인명 피해액과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 정도를 대신하여 주거용 에너지 소비량 산출하였다.
  • 하지만 제주도 지역은 버스 이외에 지하철과 기차 등과 같은 대중교통이 존재하지 않아 교통현황으로 인한 도시 중심지를 선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중심지를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이 겹치는 지역으로 기준을 정하였다.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였으며,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이 겹치는 부분을 추출하였다(그림 6).

가설 설정

  • Dispersion Scenario는 BAU(Business As Usual) 시나리오이며 다른 시나리오와 비교하기 위해 현재 상태가 미래에도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Adaptation Scenario는 기후변화 적응 시나리오로써 홍수 피해 위험지역에서는 가능한 주거 면적을 50%로 제한한다고 가정한다. 홍수 피해 위험정도는 ‘자료 수집 및 구성’ 부분에서 제시한 취약성 평가 결과자료를 사용하였다.
  • 홍수에 의한 침수 취약성 평가(그림 3)는 상대적으로 빨간색으로 갈수록 취약성이 크고 녹색으로 갈수록 취약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다. Combined Scenario는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을 둘 다 만족시키는 시나리오로써 적응 대책으로 홍수 피해를 예방하는 것과 완화 대책으로 고밀도 도시계획 수립하는 것 두 가지 가정을 적용하였다. 고밀도 도시(Compact City)계획은 기후변화 완화 정책 중 하나로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 뿐 아니라 환경보전을 추구하는 형태이다.
  • Dispersion Scenario는 BAU(Business As Usual) 시나리오이며 다른 시나리오와 비교하기 위해 현재 상태가 미래에도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Adaptation Scenario는 기후변화 적응 시나리오로써 홍수 피해 위험지역에서는 가능한 주거 면적을 50%로 제한한다고 가정한다.
  • 그 다음 도시 중심지 이외의 지역에서는 가능한 주거면적을 50%로 제한하였다. 홍수 피해 예방에 대한 가정은 Adaptation Scenario에서 제시한 가정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지이용균형 모델은, 무엇을 통합한 모델인가? , 2014). 그림 4는 토지이용균형 모델을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며, 이 모델은 토지이용과 도시 경제적 이론을 통합한 모델로써 3가지 가정을 기반하고 있다 (Yamagata et al., 2013).
Dispersion Scenario는 무엇인가? Dispersion Scenario는 BAU(Business As Usual) 시나리오이며 다른 시나리오와 비교하기 위해 현재 상태가 미래에도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Adaptation Scenario는 기후변화 적응 시나리오로써 홍수 피해 위험지역에서는 가능한 주거 면적을 50%로 제한한다고 가정한다.
토지이용균형 모델이 기반하고 있는, 3가지 가정은 무엇인가? , 2013). 첫째, 사회는 Household, Landlord, Developer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이는 경제주체의 행동분석을 통해 경제현상을 설명하는 미시경제학 원칙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델에서는 Household로 인하여 유용성이 극대화되고 Landlord와 Developer로 인하여 이익 극대화가 이루진다. 두 번째, 적합한 토지이용은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룰 때 발생한다. 이는 일반적인 경제 이론과 빗대어 설명할 수 있으며 그림 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세 번째, 사람들은 간접적인 이익과 영역 별 특성에 따라 주거 지역을 선택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토지이용 균형 모델은 Dispersion, Adaptation, Combined와 같이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만드는데 적용되며 시나리오 별 인구 밀도, 주거 면적을 Output으로 얻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yun, H.S., Y.B. Song and B.H. Han. 2009. Landuse planning method considering urban greenery and urban climate.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4):37-49 (변혜선, 송영배, 한봉호. 2009. 도시녹지와 도시기후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기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4(4):37-49). 

  2. Chang, C.P., T.C. Yen and J.M. Chen. 1993. Effects of terrain in the surface structure of typhoons over Taiwan. Monthly Weather Review 121:1734-1752. 

  3. Compiled by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11. Energy consumption survey (에너지 경제연구원. 2011. 에너지총 조사보고서). 

  4.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 2009. Land-Use Scenarios: National-Scale Housing -Density Scenarios Consistent with Climate Change Storylines, Global Change Research Program,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Washington, DC; EPA/600/R-08/076F, Available from: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Springfield, VA. 

  5.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1. Third national report republic of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대한민국정부. 2011. 기후변화 협약에 따른 제3차 대한민국 국가보고서). 

  6. Honam Regional Statistics Office, Jeju Office. 2009. Jeju's yesterday and today according to statistics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 2009. 통계로 본 제주의 어제와 오늘). 

  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Geneva, Switzerland 104pp. 

  8. IPCC. 2009. Competitive Cities and Climate Change. 

  9.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8. Jeju Damage from Storm and Flood Whitepaper(제주특별자치도. 2008. 제주풍수해 백서). 

  10.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0. Jeju Statistical Yearbook (제주특별자치도. 2010. 제주통계연보). 

  11.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4. Jeju Statistical Yearbook (제주특별자치도. 2014. 제주통계연보). 

  12. Jung, S.G., J.H. OH and K.H. Park. 2002. The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due to the landcover change - case study in Kyongsan city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5(3):9-18 (정성관, 오정학, 박경훈. 2002.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경산시의 경관구조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3):9-18). 

  13. Kim, C. and S.K. Kim. 2002. A study on the damage estimation in flooded area using GIS. Nation Prevent of Disaster Institute 4(4):23-33 (김철, 김석규. 2002. GIS를 이용한 침수지역 분석 및 피해액 산정연구. 국립방재연구원 4(4):23-33). 

  14. Kim, J.I. and C.H. Yeo. 2005. The relationship among land use, vegetation and surface temperature in urban areas - the case of Dea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2):21-30 (김재익, 여창환. 2005. 도시지역 지표온도와 토지이용 및 식생상태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의 경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2):21-30). 

  15. Lee, D.K. and C. Park. 2010. CO2 emission variation estimation method on development site level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6):209-219 (이동근, 박찬. 2010. 개발대상지의 이산화탄소 배출 변화량 산정 방법 개발 및 적용. 국토계획 45(6):209-219). 

  16.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9. The study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국립기상연구소. 2009. 제주도 기후변화 경향 및 기후특성에 관한 연구).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Development of integrated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considering socio-economic scenarios. 610pp (환경부. 2013.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고려한 기후변화 통합 취약성 평가체계 개발. 610쪽). 

  18. Nakamichi, K., Y. Yamagata and H. Seya. 2013. $CO_2$ emissions evaluation considering introduction of EVs and PVs under land-use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 focusing on the change of emission factor after the Tohoku earthquake -. 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10:1025-1044. 

  19.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2010. Disaster Yearbook (소방방재청. 2005. 재해연보). 

  20. Oh, S.H., W.K. Lee, S.J. Yoo, J.Y. Byun, S.M. P, H.B. Kwak, G.S. Choi, M.I. Kim, R.S. Jung and K.J. Nam.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prioritization by sectors for plann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 case study of Gangwon province. Climate Change Research 3(4):245-257 (오수현, 이우균, 유성진, 변정연, 박선민, 곽한빈, 최계선, 김문일, 정래선, 남기준. 2012.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지원을 위한 취약성 평가 부문별 우선순위선정 방안연구 -강원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 3(4):245-257). 

  21. Park, J.C. and J.Y. Kim. 2010. Urban planning measurements in pursuit of a low-carbon green city -case analyses of basic planning elements and spatial urban structures in Korea and Japan-. The Korea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2(1):17-52 (박종철, 김정연.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계획요소와 공간구조 측면의 도시계획 수립방안: 일본과 한국 사례분석 및 적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2(1):17-52). 

  22. Park, S.Y. and H.M. Tak. 2013. Land use changes and climate patterns in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47-64 (박선엽, 탁한명. 2013.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의 토지 이용과 기후 패턴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2):47-64). 

  23. Seya, H., Y. Yamagata and K. Nakamichi. 2014. Spatially Explicit Land use and Energy Scenario of Tokyo using Household Level Microdata. Green Ener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p.1-8. 

  24. SRES. 2000. IPCC special report emissions scenarios. 

  25. Yamagata, Y. and H. Seya. 2013. Simulating a future smart city: an integrated land use-energy model. Applied Energy 112:1466-1474. 

  26. Yamagata, Y., H. Seya and N. Kumiko. 2013. Creation of future urban environmental scenarios using a geographically explicit land-use model: a case study of Tokyo. Annals of GIS 19(3):153-168. 

  27. Yoo, S.M., W.K. Lee, Y.R. Chae, H.B Kwak, M.I. Kim and R.S. Jung. 2013. The influence of weighting value derived by the regression equation on the result of vulnerability assessment. Climate Change Research 4(4):331-348 (유소민, 이우균, 채여라, 곽한빈, 김문일, 정래선. 2013. 회귀식에 의해 도출된 가중치가 취약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후변화학회지 4(4):331-3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