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 측정기를 이용한 연잎효과 규명
Investigation of the lotus leaf effect using the scanning probe microscop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9, 2015년, pp.5756 - 5762  

이주희 (영남대학교 기계공학부) ,  이동연 (영남대학교 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생체 모방 공학 중의 하나인 연잎 효과에 초점을 맞추었다. 생체 모방 공학은 자연의 시스템을 관찰하여 동식물, 곤충 등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여 공학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나노 기술의 발전은 생체 모방 공학의 발전도 함께 일으켜왔다. 본 과제에서는 연잎 표면의 소수성과 특징에 대해 살펴본 뒤 나노 측정 장비인 SEM (주사선전자 현미경)과 AFM (원자력간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 후 비교, 분석하였다. 연잎의 표면에는 수많은 나노 돌기들이 존재하며, 그 작은 돌기들이 소수성을 갖게 하고 표면장력을 극대화 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잎의 표면에서는 물방울이 동그랗게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을 연잎 효과라고 하며, 나노 돌기로부터 생성된 효과이다. 이러한 연잎의 표면을 배율 별로 2D와 3D로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기존의 법칙들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소수성을 판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논의하여 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has studied the lotus effect of the biomimetic engineering that is inspired from the nature. The biomimetic engineering has been improved with the nanotechnology. This paper has observed the hydrophobic property of the surface of the lotus leaf by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EM은 전자총을 쏘아 2차 전자를 검출하여 영상에 나타내는 것으로 뛰어난 분해능으로 주로 사용되는 장비이며, AFM은 샘플표면의 원하는 영역을 정해서 켄틸레버에 달려있는 뾰족한 팁으로 샘플 표면과 팁 사이의 반데르발스 힘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장비이다. 나노 측정 장비를 통해 연잎의 표면을 관찰, 분석 한 후 나아가 소수성을 판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논의하여 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자정 작용 페인트부터 습기가 끼지 않는 자동차 유리 등의 여러 활용방안에 적용되는 기술의 원리가 되는 연잎의 미세한 나노 돌기로부터 발생하는 연잎 효과에 주목하였다. 연잎효과인 연잎의 소수성은 표면에 있는 미세한 돌기들에 의해 나타난다[5-7].

가설 설정

  • Cassie의 모델은 Fig. 3(b)에서와 같이 요철이 있는 고체 표면에 액체방울이 떨어졌을 때, 액체방울이 요철에 의해 떠받쳐서 요철위에 얹혀있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이때의 접촉각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이 때 고체표면의 거칠기는 액체방울의 크기보다 현저히 작다고 가정한다. Wenzel의 모델은 Fig.3(a)와 같이 요철이 있는 고체 표면에 액체방울을 떨어뜨렸을 때, 액체방울이 요철의 바닥까지 완전히 적시는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이 때의 접촉각 #은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 이 경우 접촉각은 Wenzel과 Cassie에 의해 제안된 두 가지 모델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 고체표면의 거칠기는 액체방울의 크기보다 현저히 작다고 가정한다. Wenzel의 모델은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체모방공학이란 무엇인가? 자연의 시스템(System)을 관찰하며 생물을 이해하고 모방할 수 있는 새로운 공학적 영감을 얻어 실제 동식물, 곤충의 생체구조와 기능을 모방하여 공학적으로 활용하는 학문을 생체모방공학(Biomimetics Engineering)이라 한다[2].
연잎효과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현재 자정 작용 페인트부터 습기가 끼지 않는 자동차 유리 등의 여러 활용방안에 적용되는 기술의 원리가 되는 연잎의 미세한 나노 돌기로부터 발생 하는 연잎 효과에 주목하였다. 연잎효과인 연잎의 소수 성은 표면에 있는 미세한 돌기들에 의해 나타난다[5-7]. 이 돌기는 물의 표면장력을 극대화시키고, 이로 인해 물방울이 표면에서 둥글게 뭉쳐서 구를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8-9].
연잎 효과로 인한 효과 및 활용 방안은? 이 돌기는 물의 표면장력을 극대화시키고, 이로 인해 물방울이 표면에서 둥글게 뭉쳐서 구를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8-9]. 표면의 젖음성과 자정 작용, 초발수성 등의 효과는 실생활부터 의료, 공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충분한 활용 가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 I. Lee, "The smartware using for the Solar Cell Energy", Journal of Korea Soc. of Mechanical Technology, Vol. 6(2), pp.31-37, 2004. 

  2. Y. C. Jung, B. B, "Biomimetic structures for fluid drag reduction in laminar and turbulent flows", Journal of physics Condensed Matter 22, December, 2009. DOI: http://dx.doi.org/10.1088/0953-8984/22/3/035104 

  3. H. W. Kim, H. E. Kim, V. S, "Stimulation of osteoblast responses to biomimetic nanocomposites of gelatinhydroxyapatite for tissue engineering scaffolds", Journal of Biomaterials 26, pp. 5221-5230, January, 2005. DOI: http://dx.doi.org/10.1016/j.biomaterials.2005.01.047 

  4. Y. Zhang, J. R. Venugopal, A. E. Turki, S. Ramakrishna, B. Su, C. T. Lim, "Electrospun biomimetic nanocomposite nanofibers of hydroxyapatite/chitosan for bone tissue engineering", Journal of Biomaterials 29, pp. 4314-4322, July, 2008. DOI: http://dx.doi.org/10.1016/j.biomaterials.2008.07.038 

  5. L. Jiang, Y. Zhao, J. Zhai, "A Lotus-Leaf-like Superhydrophobic Surface: A Porous Microsphere/Nanofiber Composite Film Prepared by Elctrohydrodynamics", Journal of Angew. Chem., pp. 4438-4441, 2004. DOI: http://dx.doi.org/10.1002/ange.200460333 

  6. B. Bhushan, Y. C. Jung, A. Niemietz, K. Koch, "Lotus-Like Biomimetic Hierarchical Structures Developed by the Self-Assembly of Tubular Plant Waxes", Journal of Langmuir, pp. 1659-1666, 2009. DOI: http://dx.doi.org/10.1021/la802491k 

  7. M. Nosonovsky, "Multiscale Roughness and Stability of Superhydrophobic Biomimetic Interfaces", Journal of Langmuir, pp. 3157-3161, 2007. DOI: http://dx.doi.org/10.1021/la062301d 

  8. M. Qu, G. Zhao, X. Cao, J. Zhang, "Biomimetic Fabrication of Lotus-Leaf-like Structure Polaniline Film with Stable Superhydrophobic and Conductive Properties", Journal of Langmuir, pp. 4185-4189, January, 2008. DOI: http://dx.doi.org/10.1021/la703284f 

  9. D. M. Spori, T. Drobek, S. Zurcher, M/ Ochsner, C. Sprecher, A. Muhlebach, N. D. Spencer, "Beyond the Lotus Effect:Roughness Influences on Wetting over a Wide Surface-Energy Range", Journal of Langmuir, pp. 5411-5417, February, 2008. DOI: http://dx.doi.org/10.1021/la800215r 

  10. D. Y. Lee, J. S. Shim, "Evaluation of the permissible floor vibration level for the scanning probe microscopes and analysis of the floor vibration properties" Journal of Korea Soc. of Mechanical Technology, Vol. 11 (1), 5 page, 2009. 

  11. D. I. Kim, D. T. Vu, Q. Huang, D. Y. Lee, "Transition in micro/nano-scale mechanical properties of $ZrO_2$ /multi-wall carbon nanotube composites", Journal of Ceramic Society of Japan vol. 122 (12), pp.1028-1031, 2014. DOI: http://dx.doi.org/10.2109/jcersj2.122.1028 

  12. D. Bachmann, C. Hierold, "Determination of full-off forces of textured silicon surfaces by AFM force curve analysis", Journal of Micromech. Microeng. vol. 17, pp. 1326-1333, 2007. DOI: http://dx.doi.org/10.1088/0960-1317/17/7/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