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인 함유량에 따른 LDPE 수지 film의 특성연구
Characteristics of LDPE resin film depending on RP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0, 2015년, pp.6655 - 6665  

조동수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노영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  박병선 ((주)한국지러스트)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할로겐계 난연제의 환경적 문제로 인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비할로겐타입의 인계화합물을 기초로 한 난연제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능성 film 제조에 있어 난연 효과를 보이는 적인 첨가에 따라 수지의 물성 및 열적 특성이 확연히 달라진다. 난연 효과를 높이고자 난연제 과량 첨가시 수지의 물성은 크게 저하되며, 수축 또는 방청 등 기능성 film에 적용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적인MB의 함유량에 따른 LDPE film을 blow 타입의 사출공청을 통해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난연성 시험과 인열 강도 및 수축률, 방청성 평가를 통해 적인-LDPE film의 기계적 특성 및 물성특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함유량에 따른 적인난연 film의 특성연구를 그 목적으로 하였다. 난연성의 경우 VTM 0를 보였으며, 인열 강도의 경우 MD 및 TD의 경향성이 상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축률의 경우 함유량에 따른 특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방청성의 경우 국내 방청 수축 필름 신뢰성 규격의 기준인 0.05 %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ightened environmental regulations on halogen type flame retardants, the portions of those based on phosphorous compounds that are non-halogen type is rising. When producing functional film, the physical and thermal properties become distinc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amount of Red-phos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LDPE 고분자 수지에 난연성을 가진 적인MB를 첨가제로 개질하여 적인MB함유량에 따른 난연성 및 제조필름의 인열 강도 및 수축률 등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또한 중공업용 기능성 수축필름용 연구개발에 있어 제습, 방청 film 등의 물성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난연성 기능향상을 위한 기반에 그 목적이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LDPE 고분자 수지에 난연성을 가진 적인MB를 첨가제로 개질하여 적인MB함유량에 따른 난연성 및 제조필름의 인열 강도 및 수축률 등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또한 중공업용 기능성 수축필름용 연구개발에 있어 제습, 방청 film 등의 물성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난연성 기능향상을 위한 기반에 그 목적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 수지는 어떤 곳에 이용되는가? 고분자 수지는 가정용 생활용품, 산업용 파렛트, 용기및 부품 등 이용범위가 매우 넓으며, 특히 고분자 수지 필름 및 플라스틱은 제품포장, 운송 및 보관 시 금속제품의 부식방지 및 제습, 화재예방 등 다양한 특수목적의 제품개발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지고 있다.
열에 취약한 원소원이 있는 유무기 고분자수지의 문제점은? 열에 취약한 원소원이 있는 유무기 고분자수지는 열에 의해 고분자사슬이 분해되어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킨다. 분해물은 산소와 연쇄적 반응을 통해 다량의 smoke를 배출하고 높은 연소열을 발생시킨다[1]. 이러한 영향으로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 등 위험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환경적 문제 및 화재사고발생에 대한 고분자수지의 분해속도를 늦추고 열전달 경로 차단 등 여러 가지 연소제어방법을 찾기 위한 난연제 성능연구는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기능성 film 제조시 난연제를 과량 첨가하면 나타나는 문제점은? 할로겐계 난연제의 환경적 문제로 인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비할로겐타입의 인계화합물을 기초로 한 난연제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능성 film 제조에 있어 난연 효과를 보이는 적인 첨가에 따라 수지의 물성 및 열적 특성이 확연히 달라진다. 난연 효과를 높이고자 난연제 과량 첨가시 수지의 물성은 크게 저하되며, 수축 또는 방청 등 기능성 film에 적용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적인MB의 함유량에 따른 LDPE film을 blow 타입의 사출공청을 통해 제조하였고, 이에 대한 난연성 시험과 인열 강도 및 수축률, 방청성 평가를 통해 적인-LDPE film의 기계적 특성 및 물성특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함유량에 따른 적인난연 film의 특성연구를 그 목적으로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 Modesti, A. Lorenzetti, "Flame retardancy of polyisocyanurate-polyurethane foams: use of different charring agents", Polym. Degrad. Stab., 78, 341,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141-3910(02)00184-2 

  2. W. Y. Chen, Y. Z. Wang, F. C. Chang, "Thermal and Flame Retardation Properties of Melamine Phosphate-Modified Epoxy Resins", J. Polym. Res., 11, 109, 2004. DOI: http://dx.doi.org/10.1023/B:JPOL.0000031069.23622.bc 

  3. O. P. Korobeinichev, V. M. Shvartsberg, A. G. Shmakov, D. A. Knyazkov, and I. V. Rybitskaya, Proceedings of the Combustion Institute, 31, 2741, 2007. DOI: http://dx.doi.org/10.1016/j.proci.2006.07.120 

  4. M. Liu, Y. Liu, Q. Wang, "Flame-Retarded Poly(propylene) with Melamine Phosphate and Pentaerythritol/Polyurethane Composite Charring Agent", Macromol. Mater. Eng., 292, 206, 2007. DOI: http://dx.doi.org/10.1002/mame.200600353 

  5. L. Song, Y. Hu, Y. Tang, R. Zhang, Z. Chen, W. Fan, "Study on the properties of flame retardant polyurethane/organoclay nanocomposite", Polym. Degrad. Stab., 87, 111, 2005. DOI: http://dx.doi.org/10.1016/j.polymdegradstab.2004.07.012 

  6. F. Siminoi, M. Chechin, M. Modesti, A. Lorenzetti, "Influence of different flame retardants on fire behaviour of modified PIR/PUR polymers", Polym. Degrad. Stab., 74, 475, 2001. DOI: http://dx.doi.org/10.1016/S0141-3910(01)00171-9 

  7. Y. Chen, Q. Wang, W. Yan, H. Tang, "Preparation of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e with melamine cyanurate nanoparticles in situ formed in extrusion process", Polym. Degrad. Stab., 91, 2632, 2006. DOI: http://dx.doi.org/10.1016/j.polymdegradstab.2006.05.002 

  8. B. Y. Jo, S. C. Moon, J. K. Choi, "Effect of Waste Ground Tire Rubber on Flame Retardancy and Foaming Properties of the NBR foams", Elast. Compos., 38, 251, 2003. 

  9. U. Braun, B. Schartel, M. A. Fichera, C. Jager, "Flame retardancy mechanisms of aluminium phosphinate in combination with melamine polyphosphate and zinc borate in glass-fibre reinforced polyamide 6,6", Polym. Degrad. Stab., 92, 1528, 2007. DOI: http://dx.doi.org/10.1016/j.polymdegradstab.2007.05.007 

  10. M. Thirumal, D. Khastgir, N. K. Singha, B. S. Manjunath, Y. P. Naik, "Effect of expandable graphite on the properties of intumescent flame-retardant polyurethane foam", J. Appl. Polym. Sci., 110, 2586, 2008. DOI: http://dx.doi.org/10.1002/app.28763 

  11. T. M. Jayaweera, C. F. Melius, W. J. Pitz, C. K. Westbrooka, O. P. Korobeinichev, V. M. Shvartsberg, A. G. Shmakov, I. V. Rybitskaya, and H. J. Curran, "Combustion and Flame", 140, 103 2005. DOI: http://dx.doi.org/10.1016/j.combustflame.2004.11.001 

  12. J. G. Uhlmann, J. D. Oelberg, K. D. Sikkema, and R. G. Nelb, "Plastics Additives and Compounding", May/June, 38 1993. 

  13. T. Akiyoshi and S. Tamura, European Patent Application 1,055,705 2000. 

  14. D. Hoang, J. Kim, and B. N. Jang, Polym. Degrad. Stabil., 93, 2042 2008. DOI: http://dx.doi.org/10.1016/j.polymdegradstab.2007.10.020 

  15. G. Kumar and A. Z. Worku, PCT Patent Application WO 00/17268 2000. 

  16. Korean Standard Association, KS T 1043, KSA, 2011 

  17. Korean Standard Association, KS M ISO 6383-2, 2010 

  18. Korean Standard Association, KS M ISO 9773, 2011 

  19. KRICT, RS-KRICT-00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