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리카 에어로젤을 이용한 단열·내화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ulation·Fire Proof Materials Using Silica Aeroge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0, 2015년, pp.6816 - 6822  

조명호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전공) ,  홍성철 (호서대학교 안전환경기술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글라스울의 흡습에 의한 변형을 해결하고 단열성능향상을 위해 실리카 에어로젤을 이용한 단열재를 개발하였다. 글라스울 단열재에 액상의 혼합 바인더를 이용하여 실리카에어로젤이 함침된 글라스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액상의 혼합 바인더는 수용성바인더(CMC, carboxymethyl cellulose)와 물에 분산시킨 실리카 에어로젤을 이용하여 준비하였다. 초기 $0.048g/cm^3$의 밀도를 갖는 글라스울 보드를 준비하고 실리카 에어로젤을 함침시켜 $0.065g/cm^3$의 밀도를 갖는 단열보드를 제작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젤 함침 글라스울 보드 복합체는 단일 글라스울 보드의 단열성능보다 7.4% 향상된 0.0315 W/mK의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젤-글라스울 복합체는 불꽃 관통시험에서 362초간 내화 저항성을 나타내어 단일 글라스울 보드에 비하여 2.7배나 높은 내화성능을 보였다. 또한 일반 글라스울 보드는 흡습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처짐현상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었으나, 실리카 에어로젤이 함침된 보드에서는 실리카 에어로젤의 발수특성으로 인하여 높은 내수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ilica aerogel-glass wool composites were developed for improvement of thermal conductivity and overcoming the water adsorption of glass wool boards. Silica aerogel-glass wool composites were prepared by glass wool and silica aerogel with liquid binder. Mixtures with binder were com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글라스울의 단열성능과 내화성능 및 방수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리카 에어로젤을 혼입하여 함량별로 시편을 제조하였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글라스울이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높은 단열성과 소수성 및 내화성능을 갖는 실리카에어로젤 분말을 글라스울 내부에 혼입하여 열전도율을 낮추고, 내화성능 및 방수성능을 높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기존 글라스울 또는 미네랄울이 심재로 사용되는 샌드위치패널에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에어로젤 분말을 적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내구성 증가 및 화재 발생시 화염전파 속도를 늦춰 안전 담보 및 피난시간을 확보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글라스울이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높은 단열성과 소수성 및 내화성능을 갖는 실리카에어로젤 분말을 글라스울 내부에 혼입하여 열전도율을 낮추고, 내화성능 및 방수성능을 높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기존 글라스울 또는 미네랄울이 심재로 사용되는 샌드위치패널에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얻어진 에어로젤 분말을 적용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내구성 증가 및 화재 발생시 화염전파 속도를 늦춰 안전 담보 및 피난시간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리카 에어로젤 분말이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고체인 것은 어떤 구조를 가지기 때문인가? 한편, 실리카 에어로젤(silica aerogel)은 현존하는 물질 중 가장 가벼운 고체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은 실리카 에어로젤 분말이 갖는 90% 이상의 높은 기공율과 600 m3/g 이상의 비표면적을 가지는 나노 다공성 구조에 기인한 것이다. Fig 1은 에어로젤의 구조 및 제조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2].
본 연구에서 기존 글라스 울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조한 실리카에어로젤이 함침된 글라스울 복합체의 성능은? 065g/cm^3$의 밀도를 갖는 단열보드를 제작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젤 함침 글라스울 보드 복합체는 단일 글라스울 보드의 단열성능보다 7.4% 향상된 0.0315 W/mK의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실리카 에어로젤-글라스울 복합체는 불꽃 관통시험에서 362초간 내화 저항성을 나타내어 단일 글라스울 보드에 비하여 2.7배나 높은 내화성능을 보였다. 또한 일반 글라스울 보드는 흡습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처짐현상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었으나, 실리카 에어로젤이 함침된 보드에서는 실리카 에어로젤의 발수특성으로 인하여 높은 내수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글라스울의 장점은 무엇인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무기계 단열재로서 글라스울은 다른 단열재보다 값이 비교적 저렴하고,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하여 단독으로 직접 사용되거나 샌드위치패널에 삽입하여 건축물 내·외벽 및 지붕구조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유기계 발포샌드위치패널의 구조 및 설치 위치에 따른 내부 심재의 연소 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시 플래시오버(flashover) 등과 같은 급속한 연소범위의 확대가 발생하는 것과는 달리 글라스울 샌드위치패널은 화염전파 속도가 느리고 유독가스 발생량이 적은 연소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사고 초기에 화재를 억제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Y. Song, J. P. Kim, Y. J. Cho and N. K. Park,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Building Materials"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pp. 16-19, 2001. 

  2. I. H. Yeo, "Fire resistant performance of high-strength concrete column covered with aerogel composite inorganic blanket and gypsum board, 12, pp. 39-45, 2012. 

  3. H. Yokogawa, M. Yokoyama, "Hydrophobic silica aerogel",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186, pp. 23-29, 1995. DOI: http://dx.doi.org/10.1016/0022-3093(95)00086-0 

  4. S. D. Williams, and D. M. Curry, "Predictions of Rigid Silica Based Insulation Conductivity", pp. 3276, NASA, 1993 

  5. Douglas M. Smith, Alok Maskra, Ulrich Boes, "Aerogel-based thermal insulation",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225, pp. 254-259,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022-3093(98)00125-2 

  6. G. Carlson, D. Lewis, K. McKinley, J. Richardson, T. Tillotson, "Aerogel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markets and costs",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l. 186, pp. 372-379, 1995. DOI: http://dx.doi.org/10.1016/0022-3093(95)00069-0 

  7. Lawrence W. Hrubesh, "Aerogel applications",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225, pp. 335-342,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022-3093(98)00135-5 

  8. M. Schmidt, F. Schwertfeger, "Applications for silica aerogel products",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225, pp. 364-368,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022-3093(98)00054-4 

  9. G. Herrmann, R. Iden, M. Mielke, F. Teich, B. Ziegler, "On the way to commercial production of silica aerogel",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186, pp. 380-387, 1995. DOI: http://dx.doi.org/10.1016/0022-3093(95)90076-4 

  10. KS F ISO 9705, "Fire Tests-full-scale Room Test for Surface Product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9. 

  11. A. Venkateswara Rao, D. Haranath, "Effect of methyltrimethoxysilane as a synthesis component on the hydrophobicity and some physical properties of silica aerogels", Microporous and Mesoporous Materials, 30, pp. 267-273, 1999. DOI: http://dx.doi.org/10.1016/S1387-1811(99)00037-2 

  12. E. M. Sparrow, and R. D. Cess, "Radiation Heat Transfer", Augmented Ed., pp. 255-271, McGraw-Hill, New York, 1978 

  13. M. Dowson et. al., "Streamlined life cycle assessment of transparent silica aerogel made by supercritical drying." pp. 396-404, Applied Energy, 2012. DOI: http://dx.doi.org/10.1016/j.apenergy.2011.11.047 

  14. G. A. Domoto, and W. C. Wang, "Radiative Transfer in Homogeneous Nongray Gases with Nonisotropic Particle Scattering", Journal of Heat Transfer, 96, pp. 385-390, 1974 DOI: http://dx.doi.org/10.1115/1.3450210 

  15. L. K. Matthews, R. Viskanta, and F. P. Incropera, "Combined Conduction and Radiation Heat Transfer inPorous Materials Heated by Intense Solar Radiation", Journal of Solar Energy Engineering, 107, pp. 29-34, 1985. DOI: http://dx.doi.org/10.1115/1.3267649 

  16. J. Marschall, J. Maddren, and J. Parks, "Internal Radiation Transport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Fibrous Ceramic Insulation", AIAA, pp. 2001-2822, 2001. DOI: http://dx.doi.org/10.2514/6.2001-2822 

  17. R. Siegel, and J. R. Howell, "Thermal Radiation Heat Transfer", 2nd Ed., pp. 426-427, McGraw-Hill, New York, 1981. 

  18. R. Baetens et al., "Vacuum insulation panels for building applications: A review and beyond." Energy and Buildings, 42(2), pp. 147-17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enbuild.2009.09.005 

  19. J. M. Schultz, K. I. Jensen, and F. H. Kristiansen, "Super insulating aerogel glazing."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89, pp. 275-285, 2005. DOI: http://dx.doi.org/10.1016/j.solmat.2005.01.016 

  20. K. Daryabeigi,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High Temperature Insulations for Reusable Launch Vehicles", NASA TM-1999-208972, 1999. 

  21. F. Schwertfeger, D. Frank, M. Schmidt, "Hydrophobic waterglass based aerogels without solvent exchange or supercritical drying",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225, pp. 24-29,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022-3093(98)00102-1 

  22. Dotts, R. L., Curry, D. M., and Tillian, D. J., "Orbiter Thermal Protection System", pace Shuttle Technology Conference Proceedings, Part 2, pp. 1062-10811, 19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