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성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 성인의 신체활동 및 영양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
Study of Physical Activities and Nutrient Intakes of Adults with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and those with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0, 2015년, pp.7043 - 7052  

한정원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을 구분하여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과 영양소들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대상자들은 2013년 1월-12월까지 실시한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참여한 대상자들이며 복합표본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은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에 비해 1주일 동안의 유연성 운동일수(Odds ratio (OR)=1.18, 95% confidence interval (95% CI)=1.01-1.38), 수분 섭취(OR=1.04, 95% CI=1.01-1.06)및 단백질 섭취량(OR=1.07, 95% CI=1.02-1.13)이 높고, 지방(OR=0.99, 95% CI=0.98-1.00)과 탄수화물(OR=0.98, 95% CI=0.97-0.99)의 섭취량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비만 성인에 대한 간호중재는 대사적 상태에 따른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vides subjects into people with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and those with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to identify the physical activities and nutrients influencing adults with obesity. Participants i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fr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한국의 경우는 비만인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들을 위한 선행연구들이 부족하여 이들을 위한 중재적 접근이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과 불건강한 비만인의 특성을 확인하고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 및 영양소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을 구분하여 각 집단의 특성을 확인하고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성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과 영양소들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 연구결과 첫째,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은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에 비해 허리둘레,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공복시혈당, 중성지방의 수치는 낮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수치는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의 대상자들을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특성을 확인하고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성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신체활동과 영양소들을 확인하고자 시행된 연구로 이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의 비만 성인들을 대상으로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 간의 특성을 확인하고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을 확인하고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성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상을 요약하면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은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에 비해 연령이 낮고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높으며 영양표시 인지와 영양표시 이용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1주일 동안의 유연성 운동일수와 수분 섭취,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의 섭취량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비만의 유형을 대사적인 형태로 나누어 대상자들의 특성과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대사적 상태에 따른 비만의 중재적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대사적 상태에 대한 분류는 근거 기준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근거 기준에 따른 결과들을 재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어떤 합병증들을 발생시켜 개인의 건강을 위협하는가? 4%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3]. 비만은 심혈관 질환, 당뇨병, 암, 호흡기 질환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들을 발생시켜 개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005년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비만의 사회경제적 비용 산출” 보고서에 따르면 비만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비용은 총 1조 7923억으로 사회적으로 많은 비용들이 지출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2]. 비만은 이미 세계보건기구에서 유행성 전염병으로 지정하였으며 비만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는 개인의 건강과 사회경제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4].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이 가지는 특징은? 최근 비만을 진단하는 중요한 지표인 BMI는 인슐린 저항성의 정도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비만의 정도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비만과 관련된 질환의 유병률이 높지 않은 대상자들이 확인되면서 이들을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이라고 명명하고 있다[6-8].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의 경우는 일반적인 비만인과는 달리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복부 비만의 정도가 낮으며 혈압이나 지질 대사 이상의 정도가 낮아 대사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9].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성인 대상자 중 약 51.
NECP-ATP에서 제시한 건강한 비만인의 기준은?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을 구분하는 기준은 국가마다 다양하고 적용하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는 NECP-ATP(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에서 제시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남자는 허리둘레 90cm 이상, 여자는 허리둘레 85cm 이상, 혈압 130/85mmHg 이상, 공복시 혈당 100mg/dL 이상, 남자의 경우 고밀도 콜레스테롤 40mg/dL 미만, 여자의 경우 고밀도 콜레스테롤 50mg/dL 미만, 중성지방 150mg/dL 이상의 5가지 기준 중 3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대상자는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으로 분류되게 되며 이를 만족하지 않는 대상자는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으로 분류하게 된다[10]. 현재 비만 환자들을 위한 치료와 간호는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과 대사적으로 불건강한 비만인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Europe. Obesity [Internet]. [cited 2015 Apr 6], Available From: http://www.euro.who.int/en/health-topics/noncommunicable-diseases/obesity/obesity. (accessed Apr., 30, 2015) 

  2. S. Y. Kim, S. W. Choi, "Causes of rising obesity rate in Korea: An economics perspective."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39(2), pp. 320-348. 2012. 

  3. D. K. Sung, Y. A. Sung, "Special review: Obesity: Introduc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e. 84(5), pp. 619-623. 2013. DOI: http://dx.doi.org/10.3904/kjm.2013.84.5.619 

  4. B. Rokholm, J. L. Baker, T. I. A. Sorensen, "The levelling off of the obesity epidemic since the year 1999 -A review of evidence and perspectives." Obesity Reviews. 11(12), pp. 835-846. 2010. DOI: http://dx.doi.org/10.1111/j.1467-789X.2010.00810.x 

  5. S. W. Oh, J. W. Im, J. W. Lee, K. W. Kim, J. K. Choi, S. M. Park, T. W. Yoo, "What are th characteristics of obese adults without metabolic complic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7(9), pp. 733-740. 2006. 

  6. A. D. Karelis, V. Messier, M. Brochu, R. Rabasa-Lhoret, "Metabolically healthy but obese women: effect of an energy-restricted diet." Diabetologia. 51(9), pp. 1752-1754. 2008. DOI: http://dx.doi.org/10.1007/s00125-008-1038-4 

  7. J. B. Meigs, P. W. Wilson, C. S. Fox, R. S. Vasan, D. M. Nathan, L. M. Sullivan, R. B. D'Agostino R. B, "Body mass index, metabolic syndrom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1(8), pp. 2906-2912. 2006. DOI: http://dx.doi.org/10.1210/jc.2006-0594 

  8. R. P. Wildman, P. Muntner, K. Reynolds, A. P. McGinn, S. Rajpathak, J. Wylie-Rosett, M. R. Sowers, "The obese without cardiometabolic risk factor clustering and the normal weight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 clustering: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2 phenotypes among the US population (NHANES 1999-2004)."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8(15), pp. 1617-1624. 2008. DOI: http://dx.doi.org/10.1001/archinte.168.15.1617 

  9. K. Lee, "Metabolically obese but normal weight (MONW) and metabolically healthy but obese (MHO) phenotypes in Koreans: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haviors."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18(2), pp. 280-284. 2009. 

  10. H. K. Yang, S. H. Lee, "The definition of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The Journal of Korean Diabetes. 15(1), pp. 17-20. 2014. DOI: http://dx.doi.org/10.4093/jkd.2014.15.1.17 

  11. M. J. Shin, Y. J. Hyun, O. Y. Kim, J. Y. Kim, Y. Jang, J. H. Lee, "Weight loss effect on inflammation and LDL oxidation in metabolically healthy but obese (MHO individuals: low inflammation and LDL oxidation in MHO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0(10), pp. 1529-1534. 2008. DOI: http://dx.doi.org/10.1038/sj.ijo.0803304 

  12. Y. Matsuzawa, "Pathophysiology and molecular mechanisms of visceral fat syndrome: The Japanese experience." Diabetes/Metabolism Reviews. 13(1), pp. 3-13. 1997.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9-0895(199703)13:1 3.0.CO;2-N 

  13. C. L. Jennings, E. V. Lambert, M. Collins, Y. Joffe, N. S. Levitt, J. H. Goedecke, "Determinants of insulinresistant phenotypes in normal-weight and obese Black African women." Obesity. 16(7), pp. 1602-1609. 2008. DOI: http://dx.doi.org/10.1038/oby.2008.233 

  14. A. D. Karelis, J. Fontaine, Rabasa-Lhoret R, D. Prudohomme, E. Doucet, C. Blanchard C, D. Garrel, I. Strychar, "Psychosocial profile of the metabolically healthy but obese postmenopausal woman." Diabetes & Metabolism. 32(1), pp. 90-91. 2006. DOI: http://dx.doi.org/10.1016/S1262-3636(07)70254-9 

  15. H. S. Kwon, Y. M. Park, H. J. Lee, J. H. Lee, Y. H. Choi, S. H. Ko, J. M. Lee, S. R. Kim, S. Y. Kang, W. C. Lee, M. S. Ahn, J. H. Noh, J. M. Kang, D. S. Kim, K. H. Yoon, B. Y. Cha, K. W. Lee, S. K. Kang, H. Y. Son, "The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4), pp. 310-316. 2005. DOI: http://dx.doi.org/10.3904/kjim.2005.20.4.310 

  16. S. Y. Chou, M. Grossman, H. Saffer, "An economic analysis of adult obesity: results from the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3(3), pp. 565-587. 2004. DOI: http://dx.doi.org/10.3386/w9247 

  17. M. S. Kim, J. S. Kim, J. O. Yu, "Factors relating to use of food labels among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5), pp. 1-12. 2012. 

  18. N. J. Ollberding, R. L. Wolf, I. Contento, "Food label use and its relation to dietary intake among US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11(5), pp. S47-S51. 2011. DOI: http://dx.doi.org/10.1016/j.jada.2011.03.009 

  19. R. E. Post, A. G. Mainous, V. A. Diaz, E. M. Matheson, C. J. Everett, "Use of the nutrition facts label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10(4), pp. 628-632.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ada.2009.12.015 

  20. J. N. Variyam, "Do nutrition labels improve dietary outcomes?." Health Economics. 17(6), pp. 695-708. 2008. DOI: http://dx.doi.org/10.1002/hec.1287 

  21. M. L. Loureiro, S. T. Yen, Jr. R. M Nayga, "The effects of nutritional labels on obesity." Agricultural Economics. 43(3), pp. 333-342. 2012. DOI: http://dx.doi.org/10.1111/j.1574-0862.2012.00586.x 

  22. J. L. Temple, K. Johnson, K. Recupero, H. Suders, "Nutrition labels decrease energy intake in adults consuming lunch in the laboratory." Journal of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10(7), pp. 1094-1097.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ada.2010.04.006 

  23. Korean Endocrine Societ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5(4), pp. 301-304. 2010. DOI: http://dx.doi.org/10.3803/EnM.2010.25.4.301 

  24. K. Yamamoto, H. Kawano, Y. Gando, M. Iemitsu, H. Murakami H, K. Sanada, M. Tanimoto, Y. Ohmori, M Higuchi, I. Tabata, M. Miyachi, "Poor trunk flexibility is associated with arterial stiffening."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Heart and Circulatory Physiology. 297(4), pp. H1314-H1318. 2009. Epub 2009. Aug7 DOI: http://dx.doi.org/10.1152/ajpheart.00061.2009. 

  25. A. Due, S. Toubro, A. R. Skov, A. Astrup, "Effect of normal-fat diets, either medium or high in protein, on body weight in overweight subjects: A randomized 1-year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8(10), pp. 1283-1290. 2004. DOI: http://dx.doi.org/10.1038/sj.ijo.0802767 

  26. S. K. Park, M. S. Park, J. A. Ko, "The association between carbohydrate intake and waist circumference.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7(4), pp. 175-181. 2008. 

  27. E. M. Kim, J. H. Lee, "Dietary protein and obesity."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7(3), pp. 101-109. 2008. 

  28. M. K. Kim, J. H. Park,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10), pp. 1005-1013. 2012.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2.55.10.1005 

  29. Asan Medical Center. Asan Medical Center health column [Internet]. [cited 2015 May 9], Available from: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05828&cid51003&categoryId51021.(accessed May., 10,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