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비형식교육기관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무인도를 이용한 체험활동 프로그램 사례)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t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es (The Case of Experiential Activity-Centered Program at Uninhabited Island)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8 no.3, 2015년, pp.281 - 296  

정세환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박영신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ltimate goal of environment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a point of value along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regions. Recently, however, environment education is comparatively despised due to college-entrance-exam-focused education policy.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형식교육기관을 대상으로 체험 환경교육 장소로 적극 활용되어 지고 있는 특정 생물·자원 보존지역과 같은 장소로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전라남도의 무인도를 활용하여 장소가 제공하는 다양한 주제를 제시하고 학생들 스스로 탐구하도록 하여 강사의 조력자 역할을 통하여 환경교육의 목표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환경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참여자들로 하여금 프로그램 적용 후 교육효과,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다음 그림 1은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적용 그리고 자료 수집 및 해석에 관한 전체적인 연구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연구순서 중에서 첫 번째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도록 하였으며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원칙(박태윤, 2003)을 참고로 표 2는 무인도 생태탐사 프로그램 개발 원칙을 구성하고 프로그램의 운영과 현장에 대한 정보 주제별 내용에 해당하는 구체적인사항들을 교재로 개발하여 무인도생태 탐사 프로그램 진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교재의 세부 내용으로는, ①안전사항, ②지역소개, ③일정표, ④탐사주제 소개, ⑤탐사수행의 원칙.
  • 강사의 인터뷰는 프로그램의 진행 중 현장에서 인터뷰를 응답해준 대상을 바탕으로 비디오 촬영후 그 내용을 전사 하여 환경교육에서의 교수전략의 방법이 환경교육목표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전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인터뷰에 대한 대답을 분석틀을 통하여 질문별 환경교육의 목표의 분포를 분석하여 강사의 프로그램 적용 후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터뷰 질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비형식교육기관에서 개발된 환경교육프로그램이 환경교육의 목표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프로그램의 교육 후 반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설문지를 개발하여 프로그램 각각의 세분화된 분석과 더불어 참가자의 교육효과를 분석 하였다.
  • 과제 4 무인도의 지질조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과제 조사의 방법 면에서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5가지의 실습과제의 내용을 제시 하도록 하였으며 관찰 도구 지질햄머, 루페, 클리노미터의 자세한 설명을 통하여 원할한 관찰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해변이나 해안 절벽 등의 다양한 지질조사를 통하여 두 장소가 현장에서의 지리적 특징을 갖게 된 요인을 분석하여 무인도 전체의 지리적 요건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참여 학생의 인터뷰 내용으로 ‘암석 등을 볼 줄 몰랐는데 가르쳐주셔서 알게 되어 좋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과제4 무인도의 지질조사를 통하여 ‘똑같은 공간인데 한쪽이 침식이 되고 다른 쪽은 침식이 안 된 것은 광물의 성분이 달라서, 단단한 정도가 달라서’라고 했습니다.
  • ’라고 대답하였다. 본 과제에서는 한화 태양열발전소, 춘천 수력발전소, 시화호 조력발전소 등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여 녹색에너지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녹색(자연)에너지의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직접 체험도구, 가오리연을 활용한 에너지 측정, 바람개비를 만들어 바람의 세기와 바람개비의 원리와 녹색에너지로의 활용 등의 체험을 통하여 에너지 자원과 그 크기를 발견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과제6은 친환경적 가치관 함양이나 환경현상의 과학적 탐구 능력 함양의 기능(Skill), 가치 및 태도(Value & Attitude)의 환경교육의 목표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1. 비형식 교육기관에서 개발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환경교육의 목표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가? 개발된 프로그램만이 가지는 특징은 무엇인가?
  • 2. 무인도에서의 환경교육으로의 접근방법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험환경교육이란 무엇인가? 체험환경교육은, 환경을 직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환경 안에 있는 자기인식의 감수성의 향상에 이룰 수 있는 환경교육을 통합적으로 완성할 수 있게 한다(최석진 등, 2001). 또한 현장에서 체험환경교육은 ‘주변 현장의 활용을 통한 환경교육 동기부여’, ‘직접체험의 기회제공’, ‘환경에 대한 감수성의 향상’, 그리고 ‘자연에 대한 심미적 이해의 복원’(이영 등, 2000)등의 측면에서 비추어 볼 때 현장체험 중심의 환경교육이 필요성에 의해 강조되어야 하며 신체적 오감을 이용한 직접 경험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일상생활이나 삶과 관련되어야 한다.
현장체험 중심의 환경교육이 필요성에 의해 강조되어야 하는 이유는 어떠한 관점에서 비추어 보았을 때인가? 체험환경교육은, 환경을 직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환경 안에 있는 자기인식의 감수성의 향상에 이룰 수 있는 환경교육을 통합적으로 완성할 수 있게 한다(최석진 등, 2001). 또한 현장에서 체험환경교육은 ‘주변 현장의 활용을 통한 환경교육 동기부여’, ‘직접체험의 기회제공’, ‘환경에 대한 감수성의 향상’, 그리고 ‘자연에 대한 심미적 이해의 복원’(이영 등, 2000)등의 측면에서 비추어 볼 때 현장체험 중심의 환경교육이 필요성에 의해 강조되어야 하며 신체적 오감을 이용한 직접 경험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일상생활이나 삶과 관련되어야 한다. 즉 체험환경교육에서 제공하는 체험의 기회가 학습자에게 진정한 체험으로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일상적 삶의 경험과 맥락적으로 연계되어야하며 이는 곧 체험환경교육에서 제공하는 체험의 기회가 장소에 기반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권영락 등, 2005).
사회환경교육기관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 사회환경교육기관은 비형식적교육기관의 대표적인 단체를 말하며 최근 활발한 환경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교육생을 배출하고 있다(환경부, 2012). 사회환경교육 기관은 대상이나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참여자의 자발성에 기인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다양한 체험환경교육 프로그램들이 소개되어지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장소의 특징을 테마로 하는 체험환경교육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환경부,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oi Suk-Jin(1997). Our country issues and measur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0(2), 7-18. 

  2. Choi Suk-Jin, Shin Dong-hui, Lee Seon-gyeong, Lee Dong-yeop(1999). A Systema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2(1), 19-39. 

  3. Choi Suk-Jin, Kim In-ho, Nam Hyo-chang, Park Seon-mi, Shim Hyeon-mi, Lee So-yeong(2001). Theory and practice of experiential environmental education. Gwacheon-si:korea Dae Yang Publishers. 

  4. Choi Suk-Ji(2001).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Seoul: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5. David W. Orr. (1992). Ecological Literacy: Education and the Tradition to a Postmodern World. New York: SUNY Press. 

  6. Fien, J & Spork, H.(1993). State of the Ar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ustralia: Strategy, problens and prosp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7. Haskin, J.(1999). Place-based Learning: The Technology Frontier in Environmental Education.Journal of the Education Technology, 39(6), 59-63. 

  8. Iozzi, Louis A.(1989). What Research says to the Educator-Part one: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Affective Domai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0(3), 3-9. 

  9. Jung Chang-gyu, Lee Sangwon(2010). Effects of the Web-based Climate Change Educational Program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3), 513-514. 

  10. Kim Gang-seok(2012). Exploring for the activatio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2(12), 141-149. 

  11. Kim In-Ho, Nam Sang-Joon, Lee-Young(1999). A Basic Study on the Field-Experience Learning Programs Development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Environmental.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12(1), 294-310. 

  12. Kim Jung-Won, Kim Young-Sook(2006). The Effects of the Nature-Experience Program on Young Children'Eco-friendly Attitudes and Science Process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1(6), 435-457. 

  13. Ko Seok-Ho, Lee Sung-Hee, Moon Yun-Seob, Kim Kee-Dae(2012). The Effects on Environmen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 Jeju Oreum Experience Learning Program : Focused on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25(2), 135-148. 

  14. Kim Tae-Gyeong, Lee Dong-Yeop, Choi Suk-Jin, Lee Yong-Sun, Kim Ju-Hun(2005). Objectives and content of the new environmental education. 2005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01-115. 

  15. Kim Hyun-Joo(2003). Sense of Pla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 On the Implication of Sense Place as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6(1), 313-329. 

  16. Kwon Young-Rak, Hwang Man-Ik (2005). The Significance of Sense of Pla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8(2), 55-65. 

  17. Korea Environmental Education Association(2004). Preliminary Environmental Teacher Training Program Report. Korea Environmental Education Association. 63p. 

  18. Lee Sook-Im, Kang Myoung-He, Nam Sang-Jun, Park Sun-Sook, Sung Hyo-Hyun, Choi Don-Hyung, Hur-Myung(2001). Evaluation of the Standardized Curriculum Module and Integrated Program for Social-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4(2), 78-79. 

  19. Lee Sook-Im, Kang Myoung-He, Nam Sang-Jun, Park Sun-Sook, Sung Hyo-Hyun, Choi Don-Hyung, Hur-Myun(1998).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odules and an Intergrated Program for Curriculm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11(2), 117-211. 

  20. Lee Se-Ra, Maeng Hee-ju(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and Actual Conditions of Eco-Experience Education Program around the Korea Demilitarized Zone(DMZ) : Focused on PEEP your DMZ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25(4), 480-497. 

  21. Lee Seong-hui(2001). The study on establishing an effective network between formal and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al systems. Master's thesis. Yousei University. 

  22. Lee-Yeong, Kim In-Ho, Nam Sang-Jun, Nam Won-Hui, Ryu Chang-Hui, Park Byeong-Kwon, Yang Mi-ran(2000). Field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Research. Gwacheon-si:korea dohab Publishers. 

  23. Lucko, Bernard J.(1982).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3(4). 7-12. 

  24. Ministry of Environment(2006). Environment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Gwacheon-si: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Press. 

  25. Ministry of Environment(2011). Environment White Paper. Gwacheon - si :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Pres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4, 146-164. 

  26. Mun Seong-Bae, Jo Mi-Ae(2006). Application Effects of Out-of-class Chemical Experience Learning Programs on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50(6), 506-514. 

  27. Nam Jung-Ho, Kang Dae-Seok(2005). Management Policy Directions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Uninhabited Island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8(4), 227-235. 

  28. Nam Sang-Joon(1999). Establishing Experience - centered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School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7(1), 27-49. 

  29. Nam Hyo-Chang(1999).Forest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view of self-guided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rman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3(1-2), 15-28. 

  30. Oh Gang-Ho, Kim Hae-Gyeong, Ko Yeong-Gu(2008). The Natural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1(1), 45-56 

  31. Park So-Yeon(2007). Evaluation of integrated programs of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 the case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between Gocheon Elementary School and Korean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 in Anyang, Gunpo and Euiwang.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ousei University. 

  32. Park Tae-Yun, Choe Don-Hyeong, Park Hyeon-Ju, No Gyeong- Im, Go Hui-Lyeong(2003). A Survey Study for he Operation of Sit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Korea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6(2), 1-10. 

  33. Park Sung-Jin(2001).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s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1(2), 319-335. 

  34. Thomashow, M. (1996). Ecological Identity: Becoming a Reflective Environmentalist. USA: MIT Press. 

  35. UNESCO(1980).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Tbilisi Conference. Paris : Unesco Press 

  36. Wither, Sarah E.. (2000). Local Curriculum Development: A Case Stud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