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Localities and Local Archives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5 no.4, 2015년, pp.151 - 171  

설문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새로운 기록관리 패러다임에 맞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은 다른 영구기록물관리기관과 다른 고유하면서도 다차원적인 업무영역과 역할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공공기록물관리법에 규정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은 중앙 중심적이고 협소하다. 이 연구에서는 서구에서 지난 150여 년간 변천을 거듭해온 보존기록관리의 패러다임을 살펴보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주는 시사점에 근거하며 지방기록관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재규정할 수 있도록 공공기록물관리법의 개정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formulate the roles of local archives, reflecting the new archival paradigm. Archives management of local authorities is different basically from that of central administration agencies. This paper analyses four stages of archival paradigm shifts in Western archival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랑스혁명 이후 아카이브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프랑스혁명 이후 아카이브가 범국가적인 공공기관으로 등장하고 시민들은 기록을 열람할 수 있게 되었다. 아카이브의 핵심 자원은 오래된 공문서였고 전문직으로서 아키비스트는 정부기관에서 사법적 증거를 수호하는 자(guardian) 혹은 보관하는 자(keeper)로 규정되었다.
아키비스트는 무엇으로 인식되었나? 이런 의미에서 Terry Cook은 1930년대에서 70년대까지 풍미한 두 번째 패러다임의 핵심 개념을 기억으로 보았다. 기록의 본질은 아키비스트의 의도적인 평가 선별을 통해 형성되는 문화적 기억이었고, 아키비스트는 ‘역사가이자 아키비스트’ 혹은 ‘역사가의 조력자’로 인식되었다. 역사가가 학술적 목적으로 실제 활용하거나 활용이 예측되는 경우를 선별에 반영하였기 때문이었다.
민간기록과 개인기록은 도서관, 박물관, 특수 기록센터에서 전문 아키비스트가 관장하는 영역으로 편입된 이유는? 역사학자들이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보존기록(archives)’의 범위도 넓어졌다. 유명인이 아닌 보통사람들, 법이나 군사, 외교 영역을 넘어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과학적 활동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면서 이 시기 말에는 시민 개개인과 집단을 다루는 케이스 파일이 상당히 활용 잠재력이 큰 기록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민간기록과 개인기록은 도서관, 박물관, 특수 기록센터에서 전문 아키비스트가 관장하는 영역으로 편입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국가기록원 (2007).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운영 지원 지침, 2007. 4.(National Archives of Korea. Guidelines for supporting to establish the local archives in Metropolitan area [government document], April, 2007.) 

  2. 김동철, 문채원, 차윤정, 하세봉 (2009). 한국학에서 지역연구의 방법론과 과제. 동북아문화연구, 20, 227-249.(Kim, Dong-Cheol, Moon, Chae-Won, Cha, Yoon-Jeong, & Ha, Se-Bong (2009). The methodology and tasks of local studies in Koreanology.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20, 227-249.) 

  3. 박규택 (2009). 로컬의 공간성 이해를 위한 이론적 틀: 사회.역사 구성주의 관점. 한국민족문화, 33, 159-183.(Park, Kyu-Taek (2009). Theoretical framework of understanding the spatiality of local: a perspective of socio-historical constructionism and activity. Journal of Koreanology, 33, 159-183.) 

  4. 박성용 (2010). 지역전통지식의 의미구성과 실천전략. 민속학연구, 26, 33-55.(Park, Seong-Yong (2010). Meaning constitution and practice strategy of local traditional knowledge.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26, 33-55.) 

  5. 서울시 정보공개정책과 (2015). 서울기록원 기본 운영계획(안), 2015. 1.(Information Disclosure Policy Division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 Basic operational planning for Seoul Metropolitan Archives. January, 2015.) 

  6. 설문원 (2011). 디지털 환경에서의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07-230.(Seol, Moon-Won (2011). A study on documenting locality in digital environment. Journal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Society of Korea, 11(1), 207-230.) 

  7. 설문원 (2012a). 로컬리티 기록화를 위한 참여형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32, 3-44.(Seol, Moon-Won (2012a). Building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documenting localiti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2, 3-44.) 

  8. 설문원 (2012b).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37-455.(Seol, Moon-Won (2012b). Designing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437-455.) 

  9. 설문원 (2014).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기록학연구, 42, 287-326.(Seol, Moon-Won (2014). A design of narrative structure for documenting environmental conflicts: case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s construction conflict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2, 287-326.) 

  10. 설문원 (2015). 서울시기록원의 의미와 운영방향. 참여와 책임의 시정, 투명한 정보공개입니다. 2014 서울특별시 정보공개 연차보고서, 106-119.(Seol, Moon-Won (2015). Implications and directions of establishing Seoul Metropolitan Archives. The Participatory and Accountable Administration through Transparent Information Disclosure: 2014 Annual Repor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06-119.) 

  11. 손동유 (2011). 지방의 역사기록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8, 155-180.(Son, Dong-Yu (2011). Study on how to vitalize the historical record management of the province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8, 155-180.) 

  12. 손동유 (2014). 서울, 공간의 기억 기억의 공간. 기록학연구, 40, 279-284.(Son, Dong-Yu (2014). Seoul, the memory of place, the place of memor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40, 279-284.) 

  13. 이영학 (2010). 기록문화와 지방자치. 기록학연구, 26, 63-93.(Lee, Yeong-Hak (2010). Records culture and local autonomy.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6, 63-93.) 

  14. 조영삼 (2015a). 서울기록원 설립 추진, 쟁점과 과제. 지방을 살리는 힘, 기록관리: 2015년도 제7회 전국기록인대회 발표자료집(한국기록관리학회.한국기록학회 주관, 2015/10.16-10.17), 29-37.(Cho, Yeong-Sam (2015a). Issues and tasks on establishing Seoul Metropolitan Archives. Archives Management for Vitalizing the Provinces: Proceedings of the 7th Conference of Korean Archives and Records Professionals(10.16-10.17, 2015), 29-37.) 

  15. 조영삼 (2015b). 지방아카이브의 전망. 지방을 살리는 힘, 기록관리: 2015년도 제7회 전국기록인대회발표자료집(한국기록관리학회.한국기록학회 주관, 2015/10.16-10.17), 120-124.(Cho, Yeong-Sam (2015b). Prospects for local archives, Archives Management for Vitalizing the Provinces: Proceedings of the 7th Conference of Korean Archives and Records Professionals(10.16-10.17, 2015), 120-124.) 

  16. 지수걸 (2002). 지방자치와 지방기록관리. 기록학연구, 6, 293-308.(Ji, Su-Geol (2002). Local autonomy and local archives management.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6, 293-308.) 

  17.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Ji, Su-Geol (2009).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rchives: recommendations.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1, 247-281.) 

  18. 차철욱 (2009). 지방성 연구의 이론적 검토: 지방사 연구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1, 195-222.(Cha, Cheol-Wook (2009). A theoretical review of locality studies: with the focus on studies of local history. Journal of Human Science (Institute of Human Science of Kangwon University), 21, 195-222.) 

  19. 홍순권 (2009). 전쟁을 통해 본 지역사 연구의 최근 동향과 의의. 역사와 경계(부산경남사학회), 71, 89-94.(Hong, Soon-Kwon (2009). The recent trends and meanings of studies on local history through a war. History & the Boundaries, 71, 89-94.) 

  20. Cook, Terry (2013). Evidence, memory, identity, and community: four shifting archival paradigms. Archical Science, 13, 95-120. 

  21. Greene, Mark A. (2014). Into the deep end: One archivist's struggle with diversity, community, collabor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our profession. In: Through the Archival Glass: A Reader on Diversity and Inclusion. edited by Mary A. Caldera and Kathryn M. Neal. Chicago: SAA, 2014. pp. 23-60. 

  22. State Archives of Florida (2015). Retrieved October 15, 2015. http://dos.myflorida.com/library-archives/about-us/about-the-state-archives-of-florida/archives-mission-statement/ 

  23. Stevens, Mary, Flinn, Andrew, & Shepherd, Elizabeth (2009). Activists in the archives: making history in a diverse society (A summary of the report of the AHRC project, Community Archives and Identities: Documenting and Sustaining Community Heritage). 

  24. Yeo, Geoffrey (2009). Introduction to the series. In: Community Archives: The Shaping of Memory. edited by Bastine J. and Alexander B. London: Face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