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방사를 이용한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복합 탄소나노섬유의 제조 및 전기적 특성
Fabrication of Reduced Graphene Oxide-Incorporated Carbon Nanofibers with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ies by Electrospinning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2 no.6, 2015년, pp.379 - 387  

박규민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안용산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권유빈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심원보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유웅열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rein we report the incorporation of graphene into polyacrylonitrile (PAN)-based carbon nanofibers (CNFs)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the CNFs. Graphene oxide (GO) was wrapped with PAN molecules to increase its dispersibility, which was verified by zeta potential measure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AN 기반 전기방사 탄소나노섬유의 전기 전도도 향상을 위하여, 탄소 외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으며 동시에 좋은 전기전도성을 지닌 그래핀을 탄소나노섬유 제조에 도입하여 그 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단, 그래핀의 경우 용액에 분산이 어려우므로 분산성이 더 우수한 PAN이 랩핑된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Pw-rGO)를 전기방사 용액 제조에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N을 전구체로 한 전기방사 방법의 장점은? 탄소나노섬유는 PAN과 같은 전구체 물질의 고분자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얻은 나노섬유에 안정화 및 탄화공정을 가하여 제조하는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과, 탄소공급원이 되는 탄화수소 기체에 촉매를 접촉시켜 탄소원소들을 표면 위에 성장시키는 기상성장법(vapor growth process)으로 제조한다. 특히, PAN을 전구체로 한 전기방사 방법은 탄소 수율이 높고, 나노섬유의 유연성이 좋으며, 니트릴 기의 중합반응에 의해 사다리 구조를 형성하므로 기계적으로 안정한 구조를 만들 수가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7].
탄소나노섬유의 장점은? 탄소나노섬유는 직경이 50−1,000 nm 범위인 탄소섬유로, 강도가 높고,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우수하다. 또한 탄소 육각고리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나노 단위의 작은 크기로 인해 재료의 비표면적이 크다[3].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탄소나노섬유는 표면적이 넓은 생체친화성 재료의 제조에 사용되거나, 세공을 도입하여 흡착특성을 높인 흡착제[4], 촉매 지지체[5] 또는 에너지 저장재료[6]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와 복합한 PAN 기반의 탄소나노섬유가 PAN 함량이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제조한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를 PAN과 복합한 후 전기방사를 통하여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는데, PAN이 랩핑된 비율이 커질수록 방사성이 향상되었고 탄소나노섬유의 직경은 감소하였다. 또한 PAN의 함량이 커질수록 전기전도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기방사에 뒤따르는 열처리를 통해 PAN이 탄소화되기 때문이다. PAN의 함량이 커서 탄소화가 많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전도도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PAN 기반의 탄소나노섬유의 전기전도도를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K. Seo and S.-J. Park, "Manufacturing Method of Carbon Fibers and Their Application Fields", Polym. Sci. Technol., 2010, 21, 130-140. 

  2. J.-B. Donnet and R. C. Bansal, "Carbon Fibers", CRC Press, 1998. 

  3. K. Yang, B.-H. Kim, and W.-J. Lee, "Characteristics of Carbon Nano-fibers and Their Applications", Polym. Sci. Technol., 2010, 21, 149-156. 

  4. G.-Y. Oh, Y.-W. Ju, H.-R. Jung, and W.-J. Lee, "Preparation of the Novel Manganese-Embedded Pan-Based Activated Carbon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and Their Toluene Adsorption", J. Anal. Appl. Pyrol., 2008, 81, 211-217. 

  5. J.-H. Park, Y.-W. Ju, S.-H. Park, H.-R. Jung, K.-S. Yang, and W.-J. Lee, "Effects of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Based Carbon Nanofibers as Catalyst Support in Pemfc", J. Appl. Electrochem., 2009, 39, 1229-1236. 

  6. C. Kim, B. T. N. Ngoc, K. S. Yang, M. Kojima, Y. A. Kim, Y. J. Kim, M. Endo, and S. C. Yang, "Self-Sustained Thin Webs Consisting of Porous Carbon Nanofibers for Supercapacitors Via the Electrospinning of Polyacrylonitrile Solutions Containing Zinc Chloride", Adv. Mater., 2007, 19, 2341-2346. 

  7. M. Rahaman, A. F. Ismail, and A. Mustafa, "A Review of Heat Treatment on Polyacrylonitrile Fiber", Polym. Degrad. Stab., 2007, 92, 1421-1432. 

  8. M. Inagaki, Y. Yang, and F. Kang, "Carbon Nanofibers Prepared Via Electrospinning", Adv. Mater., 2012, 24, 2547-2566. 

  9. Q. Guo, X. Zhou, X. Li, S. Chen, A. Seema, A. Greiner, and H. Hou, "Supercapacitors Based on Hybrid Carbon Nanofibers Contain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J. Mater. Chem., 2009, 19, 2810-2816. 

  10. M. Ichikawa, L. You, S. Tatemichi, T. Koyama, and Y. Taniguchi,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with Conductive Metal-Oxides as Source-Drain Electrodes", Japanese J. Appl. Phys., 2006, 45, L1171. 

  11. C. Kim, Y. I. Jeong, B. T. N. Ngoc, K. S. Yang, M. Kojima, Y. A. Kim, M. Endo, and J. W. Lee,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Carbon Nanofibers with Hollow Cores through the Thermal Treatment of Electrospun Copolymeric Nanofiber Webs", Small, 2007, 3, 91-95. 

  12. H. Bai, Y. Xu, L. Zhao, C. Li, and G. Shi, "Non-Covalent Functionalization of Graphene Sheets by Sulfonated Polyaniline", Chem. Commun., 2009, 13, 1667-1669. 

  13. F. Wu, Y. Lu, G. Shao, F. Zeng, and Q. Wu, "Preparation of Polyacrylonitrile/Graphene Oxide by in Situ Polymerization", Polymer International, 2012, 61, 1394-1399. 

  14. Y.-T. Shieh, H.-M. Wu, Y.-K. Twu, and Y.-C. Chung, "An Investigation on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s in Chitosan Aqueous Solutions", Colloid and Polym. Sci., 2010, 288, 377-385. 

  15. P. Cui, J. Lee, E. Hwang, and H. Lee, "One-Pot Reduction of Graphene Oxide at Subzero Temperatures", Chemical Communications, 2011, 47, 12370-12372. 

  16. E. Zussman, X. Chen, W. Ding, L. Calabri, D. A. Dikin, J. P. Quintana, and R. S. Ruoff, "Mechan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Pan-Derived Carbon Nanofibers", Carbon, 2005, 43, 2175-2185. 

  17. S. N. Arshad, M. Naraghi, and I. Chasiotis, "Strong Carbon Nanofibers from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 Carbon, 2011, 49, 1710-17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