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물리 탐사에 의해 발견된 제주도 용암동굴의 특징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Lava Tubes from Geophysical Exploration in Jeju Island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5 no.4, 2015년, pp.473 - 484  

전용문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 ,  기진석 (한라산연구원) ,  고수연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 ,  김련 (한라산연구원) ,  류춘길 ((주)GMC)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에서 기존에 알려진 동굴 이외에 새로운 지하동굴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제주시 구좌읍 일대에서 지구물리탐사(전기비저항탐사, GPR탐사, ZHF탐사)를 실시하였다. 탐사결과 여러 지점에서 동굴로 추정되는 이상대가 발견되었고, 이상대의 위치와 규모가 일치하는 27개 지점을 선별하여 시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이상대의 대부분은 용암의 상하부에 형성된 클링커층이거나 용암 사이에 협재된 고토양층이었으며, 5곳에서만 동굴이 발견되었다. 클링커층과 고토양층은 용암과 다른 암석의 물리적 특징으로 인해 이상체로 반응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동굴이 확인된 5개 지점 중 2공은 기존에 알려진 용천동굴을 관통하였고, 3공에서 새로운 동굴이 확인되었다. 용천동굴을 관통한 시추공은 시추당시 동굴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던 구간이었으나 용천동굴이 관통됨에 따라 기존 측량도의 오류를 수정하였다. 한편 시추조사로 새롭게 발견된 석회장식 용암동굴은 길이가 약 180 m이며, 상류방향으로 당처물동굴(약 110 m)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동굴내부에는 용암곡석, 용암제방, 밧줄구조 등이 발달해 있으며, 탄산염 동굴생성물로는 종유관, 종유석, 석순, 석주, 동굴산호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특히 동굴에서 발견되는 탄산염 동굴생성물은 식물 뿌리를 따라 유입된 지표수에 의해 성장하여 독특한 형태를 띠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ophysical exploration using electric resistivity,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and impedance high-frequency (ZHF) surveys was conducted in Gujwa-eup, Jeju City, Jeju Island, an island in the Korea Strait, to confirm the existence of new caves near known caves. The exploration revealed a numb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중 이상대의 위치와 강도가 공통으로 일치하는 27개 지점을 선별하여 시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5개 지점에서만 동굴이 발견되었는데(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9a), 본 논문에서는 그 원인을 살펴보았다.
  • 따라서 지금까지 석회암 지대에서 실시한 지구물리탐사 기법이 제주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 명확하게 확인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번 조사는 기존 석회암 지역에서 수행된 대표적인 지구물리탐사 기법을 동원하여 지하 용암동굴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추진되었으며, 암석의 종류가 다른 두 지역간에 지구물리탐사에서 어떤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거문오름용암동굴계가 위치한 제주시 구좌읍 일대의 주민들은 오래전부터 지하에 많은 동굴이 존재한다고 믿어왔다. 제주도는 주민들의 믿음을 확인하고 보존가치가 높은 동굴의 실존 여부 확인을 위해 거문오름용암동굴계 주변을 대상으로 동굴 존재 여부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양한 지구물리탐사(전기비저항탐사, GPR탐사, ZHF탐사) 기법을 동원한 조사 결과 여러 지점에서 동굴로 추정되는 이상대(anomaly zone) 가 발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enson, A. K., 1995, Applications of ground penetrating radar in assessing some geological hazards: example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faults, cavities, Journal of Applied Geophysics, 33, 177-193. doi: 10.1016/ 0926-9851(94)00029-N. 

  2. Collins, M. E., Crum, M., and Hanninen, P., 1994, Using ground-penetrating radar to investigate subsurface karst landscape in North-Central Florida, Geoderma, 61(1-2), 1-15. doi: 10.1016/0016-7061(94)90008-6. 

  3. Dourado, J. C., Filho, W. M., Braga, A. C. O., and Nava, N., 2001, Detection of cavities in sandstone using gravity, resistivity and GPR methods, Brazilian Journal of Geophysics, 19(1), 19-32. 

  4. Driad, L. and Piwakowski, B., 2002, Detection and characterisation of underground cavities using high resolution seismic reflection (HRSR), Proceeding 8th Meeting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Geophysics, Aveiro, Portugal, 31-34. 

  5. Hong, S. W., Woo, K. S., Yi, S. H., and Jo, K. N., 2012, Paleoclimatic reconstructions using textural data of the stalagmite from the Dangcheomul Cave, Jeju Island for the past 2,000 year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8(6), 445-4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9a, Geophysical research report of Manjangggul Lava Tube, 104p (in Korean). 

  7.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09b, Report of academic research for Yongcheon Cave, 71-82 (in Korean). 

  8.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1, Report of academic research for Namjimi Cave, 92p (in Korean). 

  9. Jeon, Y. M., Ryu, C. K., Yoon, W. S., Kang, S. S., and Song, S. T., 2013,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ation of subsurface diatreme deposits from wester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5), 537-5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i, H. S., Woo, K. S., Kim, R., Choi, D. W., Yang, D. Y., and Park, B. K., 2008, The age and origin of carbonate sand dunes in Gimnyeong area,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4, 615-6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i, H. S., Woo, K. S., and Yang, D. Y., 2010, Little Ice Age recorded in the YC-2 stalagmite of the Yongcheon Cave, Jeju Island (South Korea), Korean Meteorlogical Society, 20(3), 261-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won, B.D., Lee, H.S., Rim, H.R. and Oh, S,H, 2000, Effective Geophysical Methods in Detecting Subsurface Caves: On the Case of Manjang Cave, Cheju Island.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4), 408-422. 

  13. Park, K. H., Cho, D. L., and Kim, J. C., 2000a, Geological report of the Moseulpo-Hanlim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56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Park, S. G., Kim, C. R., Son, J. S., Yi, M. J., and Kim, J. H., 2009, Detection of cavities in a karst area by means of a 3D electrical resistivity technique, Exploration Geophysics, 40(1), 27-32. 

  15. Sohn, Y. K. and Yoon, S. H., 2010, Shallow-marine records of pyroclastic surges and fallouts over water in Jeju Island, Korea, and their stratigraphic implications, Geology, 38(8), 763-766. 

  16. Song, G, J., Yun, H, S., Jang, I, H., Choi, Y, S., and Seo, Y, S., 2015, Analysis of scale and slope of limestone cavities using borehole drilling and geophysical investigation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5(2), 251-2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Woo, K. S., 2005, Caves: A Wonderful Underground. Hollym, Seoul, 230p. 

  18. Woo, K. S., Jo, K. N., Yi, S. H., Yang, D. Y., and Li, H.- C., 2013, Paeloclimatic investigation using trace elemental compositions of the YC-1 stalagmite, Yeongcheon Cave, Jeju Island, Korea for the past 600 year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3), 325-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Woo, K. S., Kim, J. C., Choi, D. W., Kim, J. K., Kim, R., and Nehza, O., 2008, The origin of erratic calcite speleothem in the Dangcheomul Cave (lava tube cave), Jeju Island,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176-177, 70-8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