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유의(儒醫)의 형성과 변화
A Study about the Emergence and Changes of Confucian doctors in Choseo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28 no.2, 2015년, pp.105 - 120  

김성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fucian doctors (儒醫) emerged who either voluntarily or involuntarily studied medical science and participated in clinical practices. This was made possible by a newly established position known as Euiseoseupdokgwan (醫書習讀官), made up of officials who had knowledgeable about medical books, during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에서 유의가 다수 활동했던 시기는? 굳이 주진형을 둘러싸고 이황의 『理學通錄』과 이토 진사이를 비교한 이유는 ‘儒醫’에 대한 평가가 주어진 역사적 상황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이해되었음을 보이고자 한 까닭이다. 조선에서 유의가 다수 활동했던 시기는 16~17세기로 보인다. 이는 조선 초기 정부의 정책과 16세기 무렵 두드러진 사회적 변화가 초래한 현상이며, 상업적 의사가 다수 등장하는 18세기 이전까지 주된 흐름을 형성하였다.
유의에게 동의보검은 어떤 역할이었는가? 17세기 들어서 전문 의원과 儒醫, 대도시와 지방에 있는 유의 사이의 차이를 메워줄 의서로 『東醫寶鑑』이 등장한다. 『東醫寶鑑』은 뛰어난 구성으로 학습과 실용에 많은 도움을 주었고, 이후 조선후기 의학계의 흐름을 주도해 나간다.
근대적 의사면허제 이전에 의사가 되기 위한 법적 규제는 어땠는가? 한국에 근대적 의사면허제가 시행된 것은 20세기 들어서이다. 따라서 그 이전에는 의사가 되는 과정을 규정한 별도의 법적 조치는 없었다. 의사 혹은 의원이 되는 길은 그야말로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되어 있었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결국 문자의 해득 능력과 그것을 온전히 이해하여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계층은 한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成渾. 牛溪集.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43. 서울:民族文化推進會. 1989:1-299. 

  2. 申欽. 象村稿.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71.72. 서울: 民族文化推進會. 1991:255-511, 1-468. 

  3. 實錄廳. 朝鮮王朝實錄 1-24. 서울:國史編纂委員會. 1955-1958. 

  4. 吳?. 天坡集.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95. 서울:民族文化推進會. 1992:1-118. 

  5. 尹拯. 明齋遺稿.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135.136. 서울:民族文化推進會. 1994:1-556, 1-567. 

  6. 伊藤仁齋. 近世儒家文集集成 第一卷-古學先生詩文集. 東京:ぺりかん社. 1985:1-189. 

  7. 李?光. 芝峰類說 上.下. 서울:乙酉文化社. 1994:1-652, 1-650. 

  8. 李崇仁. 陶隱集.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6. 서울:民族文化推進會. 1990:517-617. 

  9. 李植. 澤堂集.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88. 서울:民族文化推進會. 1992:1-588. 

  10. 李埈. 蒼石集.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64.65. 서울:民族文化推進會. 1991:189-649, 1-108. 

  11. 李?. 醫學入門. 서울:翰成社. 1984:1-606. 

  12. 李滉. 宋季元明理學通錄. 서울: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청구기호 古1252-167-1-11. 

  13. 張維. 谿谷集.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92. 서울:民族文化推進會. 1992:1-604. 

  14. 鄭斗卿. 東溟集. 정선용 역. 동명집5. 서울:한국고전번역원 2009:1-386. 

  15. 鄭惟仁. ?生錄. 음성:한독의약박물관 소장. 청구기호한-144, 2474. 

  16. 許浚. 東醫寶鑑. 서울:南山堂. 1998:1-832. 

  17. 洪萬選. 山林經濟. 민족문화추진회 역. 국역 山林經濟 1-2. 파주:한국학술정보. 2007:1-362, 1-355. 

  18. 김남일.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儒醫列傳. 파주:들녘. 2011:1-292. 

  19. 金斗鍾. 韓國醫學史. 서울:探究堂. 1966(1993):1-584. 

  20. 김성수. 16세기 鄕村醫療 實態와 士族의 대응. 韓國史硏究. 2001;113:29-56. 

  21. 김성수. 16-17세기 養生書 편찬과 그 배경. 韓國思想史學. 2005;24:345-379. 

  22. 김성수. 鄭惟仁의 ?生錄 연구. 慶熙史學. 2006;24:133-155. 

  23. 김성수. 朝鮮後期 私的 醫療의 성장과 醫業에 대한 인식 전환. 의사학. 2009;18(1):43-68. 

  24. 김성수. 18세기 후반 의학계의 변화상-欽英으로 본 조선후기 의학. 한국문화. 2014;65:99-134. 

  25. 김준석. 朝鮮 前期의 社會思想-小學의 社會的 機能分析을 중심으로-. 東方學志. 1981;29:105-192. 

  26. 金駿錫. 韓國 中世 儒敎政治思想史論 I . 서울:지식산업사. 2005:1-418. 

  27. 金重權. 朝鮮初 醫書習讀에 관한 硏究 : 醫書習讀官을 中心으로. 서지학연구. 1998;15:51-76. 

  28. 김태영. 朝鮮性理學의 歷史像. 서울:경희대학교출판부. 2006:1-669. 

  29. 김호. 18세기 후반 居京 士族의 衛生과 의료-欽英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1998;11:113-144. 

  30. 金澔. 허준의 동의보감연구. 서울:一志社. 2000:1-318. 

  31. 성호준. 儒醫 의학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이해. 大韓韓醫學原典學會志. 2003;16(1):6-19. 

  32. 성호준. 儒醫의 개념정립과 張介賓. 大韓韓醫學原典學會志. 2007;20(1):125-136. 

  33. 성호준, 윤창열. 儒醫 의학의 사상적 특성.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2007;16(2):13-23. 

  34. 성호준. 儒醫의 心에 관한 고찰-元代 朱震亨을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2009;27:63-84. 

  35. 신동원. 조선사람 허준. 서울:한겨레출판사. 2001:1-350. 

  36. 신동원. 조선시대 지방의료의 성장: 관 주도에서 사족 주도로, 사족 주도에서 시장 주도로: 강릉 약계(1603-1842) 의 조직과 해소를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2006;135:1-29. 

  37. 신동원. 儒醫의 길: 정약용의 의학과 의술. 다산학.2007;10:171-224. 

  38. 신동원. 이황의 의술과 퇴계 시대의 의학. 退溪學論集. 2010;6:1-34. 

  39. 신동원. 조선의약 생활사. 파주:들녘. 2014:1-951. 

  40. 신병주. 조선 중후기 지성사 연구. 서울:새문사. 2007: 1-367. 

  41. 우인수. 조선후기 상주 존애원의 설립과 의료 기능. 大丘史學. 2011;104:99-132. 

  42. 李揆大. 朝鮮後期 藥局?의 一考察. 又仁金龍德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서울:泰光文化社. 1988:1-838. 

  43. 이태진. 한국사회사연구-농업기술 발달과 사회변동-. 서울:지식산업사. 1986:1-367. 

  44. 鄭多函. 朝鮮初期 習讀官 制度의 運營과 그 實態. 진단학보. 2003;96:33-71. 

  45. 정성식. 吉再의 綱常論과 處世觀. 한국철학논집. 2010;29:7-31. 

  46. 정순우. 퇴계의 시대성찰과 선비의식. 국학연구. 2014;25:319-351. 

  47. 최종성. 儒醫와 巫醫-유교와 무속의 치유-. 종교연구. 2002;26:151-174. 

  48. 함정식, 김남일, 안상우, 박상영, 차웅석. 18세기 조선통신사 醫官과 儒醫의 역할-醫學問答을 중심으로-. 韓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2007;13(1):19-27. 

  49. 丹波元胤. 醫籍考. 北京:學苑出版社. 2007:1-797. 

  50. 程雅君. 中醫哲學史-魏晋至金元時期. 成都:四川出版集團巴蜀書社. 2010:1-815. 

  51. 陳元明. 兩宋的尙醫士人與儒醫. 臺北:國立臺灣大學出版委員會. 1997:1-3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