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 도동측백나무림의 식생군집 분류 및 임분 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Vegetation Clustering and Stand Structure for Thuja orientalis Forest in Dodong, Daegu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4, 2015년, pp.519 - 526  

박병주 (경북대학교 임학과) ,  김재진 (경북대학교 임학과) ,  이동진 (경북대학교 임학과) ,  주성현 (경북대학교 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 도동측백나무림을 보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할 목적으로 식생군집 분류 및 임분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집 분석 결과, 굴참나무 군집(A), 굴참나무-신갈나무 군집(B), 소나무 군집(C), 측백나무 군집(D)으로 분류되었으며, D군집의 입지환경은 해발고도가 99.3 m, 경사도 $59^{\circ}$, 암석노출도는 68.3%, 흉고단면적은 $21.8m^2/ha$이며 사면방위는 북서사면이었다. MRPP-test 결과 적절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중요치는 D군집에서 측백나무는 85.4%, 굴참나무 1.3%, 소나무 1.3%, 물푸레나무 3.6% 등으로 나타났으며, 대표수종의 흉고직경급 분석 결과 측백나무는 역J자형곡선으로 나타났다. 종다양도(H')는 0.600~0.834, 최대종다양도(H'max) 1.317~1.466, 균재도(J') 0.456~0.594, 우점도(D')는 0.405~0.544로 분석되었다. 지표종 분석 결과 목본류 4분류군, 초본류 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nalyze stand structure in Daegu Dodong T.orientalis Forest for conservation Thuja orientalis forest. Results of cluster analysis, it was classified to Quercus variabilis group(A), Quercus variabilis-Quercus mongolica group(B), Pinus densiflora group(C), Thuja orien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구 도동측백나무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남쪽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식물 지리학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여 보전할 가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 도동측백나무림의 정량적 식생군집분류와 임분특성 분석을 통해 측백나무 자생군집의 장기적인 보전계획수립에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전생물학이란 무엇인가? 보전생물학(Conservation biology)은 특정 개체군의 감소 그리고 부족함의 생물학이며 대중의 관심사의 초점이 된다(Krebs, 1985). 또한 특정 생물종을 보존하고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통합과학으로써 크게 3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측백나무는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측백나무(Thuja orientalis)는 중국 북부지역과 러시아 동부 그리고 한국에서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석회암지대나 퇴적암 절벽에서 자생한다(Kim and Kim, 2012). 국내에 분포하는 측백나무 자생지로는 경북 안동 구리 측백나무숲(천연기념물 제252호), 경북 영양 감천리 측백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14호), 충북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천연기념물 제62호) 그리고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호)이다.
특정 생물종을 보존하고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통합과학인 보전생물학의 3가지 목표는 무엇인가? 또한 특정 생물종을 보존하고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통합과학으로써 크게 3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지구상의 생물다양성에 대하여 모든 영역을 기록하는 것, 두 번째는 생물종, 생물군집 그리고 생태계에 미치는 인간 간섭을 조사하는 것, 세 번째는 특정 생물종의 절멸을 방지하고, 생물종 내 유전적 다변성을 유지하며, 생물군집들과 관계하는 생태계 기능을 보호 및 복원하는 것이다(Wilson,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J.S. 1989. An Ecological Study on Structure and Dynamics of Thuja orientalis Forest in Danyang, Chungbuk Unu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2. Barbour, M.G., Burk, J.H. and Pitts, W.D.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ed. The Benjamin/Cummings Publishing Co., Menlo Park. pp. 155-229. 

  3.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pp.865. 

  4. Brewer, R. and McCann, M.T. 1982. Laboratory and field manual of ecology. Saunders College Pub. New York pp. 269.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4. Searching for Cultural Heritage. http://www.cha.go.kr/ (2014. 12). 

  6.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476-496. 

  7. Dufrene, M. and Legendre, P.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ogical Monographs 67: 345-366. 

  8. Ford, E.D. 1975. Competition and stand structure in some even-aged plant monocultures. Journal of Ecology 63: 311-333. 

  9. Hong, S.C. 2003. The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Dalseong Thuja orientalis forest. Daegu Donggu. Daegu. pp. 193. 

  10. Jang, K.K. and Song, H.K. 1997. 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Korean Forest Society 86(2): 223-232. 

  11. Kim, J.S. and Kim, T.Y. 2012.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aegae. Paju. pp. 688. 

  12.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pp. 399.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Climatological data. http://www.kma.go.kr (2014. 12.). 

  14.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10. The list of National standard plant. http:// www.nature.go.kr/kpni (2014.12). 

  15. Krebs, C.J. 1985. Ecology : The Experimental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bundance. 3rd ed. Harper and Row, New York. pp. 800. 

  16. Larson, D.W. and Kelly, P.E. 1991. The extent of old-growth Thuja occidentalis on cliffs of the Niagara Escarpment. Canadian Journal of Botany 69(7): 1628-1636. 

  17. Lee, C.S. and Cho, H.J. 1993.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koreana Wilson Community in Mt. Gay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6(1): 75-91. 

  18. Lee, S.H., Lee, H.S., Kim, H., Choi, S.I., Cho, Y.J. and Lim, H.S. 2007. Estimation of Diameter and Basal Area Growth Pattern for Thuja orientalis Stand Grown in Yeongcheon . Korean Forest Society 96(1): 29-33. 

  19.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1 Volimes. Hyangmunsa, Seoul. pp. 914. 

  20.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2 Volimes. Hyangmunsa, Seoul. pp. 910. 

  21. Lee, Y.M. 2002. statistical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262. 

  22. McCune, B. and Grace, J.B.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300. 

  23. McCune, B. and Mefford, M.J.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 17.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162. 

  24. Mohler, C.L., Marks, P.L., and Sprugel, D.G. 1978. Stand structure and allometry of trees during self-thinning of pure stands. Journal of Ecology 66: 599-614. 

  25. Newton, A.C. 2007. Forest Ecology and Conser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york, USA, pp. 454. 

  26. Oh, H.K. 2013. Conservation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Thuja orientalis Community in Seokmun-bong, Danyang,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6(2): 75-92. 

  27. Park, I.H. and Moon, G.S. 1999. Species Competetion and Productivity in a Natural Mixed Forest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at Mt. Mohu Area. Korean Forest Society 88(4): 462-468. 

  28. Park, J.O. 1993. Community structure, Litterfall, Decomposition, and N and P dynamics Of the Decomposing Thuja litter in the Thuja stand in the Limestone area, Gongju University master's degree thesis. 

  29.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Illinois, U.S.A. pp. 125. 

  30. Wang J.X., Wang, D.H., and Liu, G.Q. 200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root density in the planted Robinia pseudoacacia and Platycladus orientalis forest site. Acta Botanica Breali-Occidentalia Sinica 24(12): 2208-2214. 

  31. Wilson, E.P. 1992. The Diversity of lif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pp. 424. 

  32. Yang, H.M. and Kim, J.H. 2002. Analysis and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al Attributes by Topographic Positions and Aspect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Journal of Forest Science 18: 73-86. 

  33. Yoo, S.T. 2003. Vegetational Analysis and Conservation Measures of forest of Thuja orientalis in Dal-Su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degree thesis. 

  34. Yun, C.W. and Moon, H.S. 2009.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in Limestone Area of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3: 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