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새만금 간척지에서 36종 조경수의 양묘 가능성 검증과 내염성 분류
Possibility of establishment of a tree nursery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and Classification of 36 Landscape Trees Based on Salt Tolerance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4, 2015년, pp.564 - 577  

이경준 (서울대학교 식물병원) ,  송재도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이규화 (서울대학교 식물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새만금간척지에서 원지반에 묘포장을 조성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내염성수종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10년 조성한 군산시 옥구지역 간척지 원지반토에 2012년 2.0 ha의 묘포장을 조성하고 암거배수를 설치했다. 토양 염도는 토심 60 cm이내에서 2010년 4월 평균 35.2 dS/m이었으나, 2013년도에는 강우제염지역에서 5.13 dS/m, 미제염지역에서 8.20 dS/m로 줄었다. 2013년 4월초 1~4년생에 해당하는 36종(22종 교목과 14종 관목)의 조경수 총 3,943본을 이식하였다. 36종 수목의 첫해 가을 생존율은 평균 71.3%로서 간척지에서 양묘가 가능했다. 봄부터 가을까지 주기적으로 조사한 항목 중에서 묘고, 근원경, 잎 길이, 수관폭, 엽록소함량은 내염성을 판정하는 데 활용하지 못했다. 대신 다양한 수종에 공통된 기준으로 생장상태와 내염성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항목은 신초 생장량, 생존율, 수세(엽량, 가지 고사와 수관 형성 상태) 뿐이었다. 생존율과 수세를 근거로 하여 수종별로 내염성을 최종적으로 판단하였는데, 생존율이 90% 이상이면서 수세가 매우 양호한 3종(위성류, 꾸지뽕나무, 낙상홍)은 "내염성수종"으로 분류하였다. 생존율이 80~89%이면서 수세가 양호한 5종(곰솔, 자귀나무, 쥐똥나무, 해당화, 난쟁이조릿대)은 "간척지 권장수종"으로 분류하였다. 생존율이 70~79%이면서 수세가 보통수준인 9종(느티나무, 무궁화, 보리수나무, 팥배나무, 회화나무, 메타세쿼이아, 상수리나무, 참느릅나무, 아까시나무)는 "간척지 식재가능수종"으로 분류하였다. 원지반에 원지반토, 준설토, 산림토로 50 cm, 혹은 100 cm 성토를 실시한 시험에서는 원지반토(9.95 dS/m)에서 곰솔의 생존율이 50%로 가장 낮고, 준설토(8.45 dS/m)에서 89%, 산림토(0.9 dS/m)에서 95%로 가장 높았다. 김제 광활지역 간척지에서 3~4년간 양묘한 7개 수종을 옥구지역 원지반토에 이식하였는데, 평균 98.2%의 생존율과 양호한 수세를 보여 이미 간척지 환경에 적응한 개체는 내염성을 가지게 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tree nursery at Saemangeum reclaimed land and to classify landscape trees based on the salt tolerance. A tree nursery (2.0 ha) was made in Gunsan Okgu area in 2012 with underground drain lines on the reclaimed land 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종 당 30본씩 총240본을 식 재하여 가을에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6. 성토효과시험(3단지 시험) 간척지 원지반토의 염분 상승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성토의 효과를 비교하는 시험이다. Table 8과 같이 원지반 토, 준설토, 산림토를 각각 50 cm와 100 cm 높이로 성토 한 후, 김제 광활 지역에서 양묘를 통해 3~4년간 이미 적 응한 곰솔과 메타세쿼이아 묘목을 3월 말에 1.
  •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 묘포장에 다양한 수종의 조경수를 식재한 후 수종별로 토양 염도 변화에 따른 생장 반응을 조사하여 내염성 수종을 발굴하고, 군산시 옥구지역 묘포장에서 자체적으로 필요한 조경수를 직접 재배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했다.

가설 설정

  • 수세(樹勢)는 다음 기준으로 6등급으로 나누어 점수를 부여했다. 0점: 나무 전체가 완전히 말라서 고사함. 1점.
  • 8 m/s이다. 본시험이 실시된 군산 옥구지역 시험묘포장의 기상상태는 Table 1과 같이 묘포장에서 약 2 km 떨어져 있는 만경4공구 기상관측소의 측정자료(AWS 장비)와 흡사하다고 가정하였다. 묘목을 식재한 2013년 4월부터 같은 해 11월까지 평균기온은 18.
  • 8 m/s이다. 본시험이 실시된 군산 옥구지역 시험묘포장의 기상상태는 Table 1과 같이 묘포장에서 약 2 km 떨어져 있는 만경4공구 기상관측소의 측정자료(AWS 장비)와 흡사하다고 가정하였다. 묘목을 식재한 2013년 4월부터 같은 해 11월까지 평균기온은 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 밭 토양에서 정상적인 영농을 하려면 토양의 염도와 전기전도도는 어느정도를 유지해야하는가? 간척지가 농업용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토양의 염도가 낮아져야 한다. 일반 밭 토양에서 정상적으로 영 농을 하려면 염도가 0.05%(포화추출액으로 계산한 경우 로서 전기전도도 0.78 dS/m에 해당함)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곡물류는 염도가 0.
현재 우리나라 간척지 면적은 얼마나 되는가? 서 론 우리나라의 간척지 면적은 현재 135,000 ha에 달한다. 역사적으로 고려 고종 22년(1235년) 최초의 간척지를 개 발한 이래 최근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그 면적이 크게 늘 어났다.
역사적으로 최초의 간척지를 개발한 것은 언제인가? 서 론 우리나라의 간척지 면적은 현재 135,000 ha에 달한다. 역사적으로 고려 고종 22년(1235년) 최초의 간척지를 개 발한 이래 최근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그 면적이 크게 늘 어났다. 간척지가 농업용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토양의 염도가 낮아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Department. 2001. Salt Tolerance of Plants.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Department, Alberta, Canada. Http://www1.agric.gov.ab.ca/$department/deptcods.nsf/all/agdex3303. 

  2. Baek, S.J. 2012. Soil salinity and salt spray drift tolerance of native trees for ecological planting: In the case of Suncheon Bay, Jeollanam-do. Sunchon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Dec. 2012. pp. 69. 

  3. Byun, J.K. 2004. Soil environmental change and growth of transplanted trees by soil covering depths in coastal reclaimed land. Konkuk University Ph. D. thesis, Dec. 2004. Korea. pp. 183. 

  4. Choe, I.H., Hwang, K.H., and Lee, K.J. 2002. Injuries of landscape trees and causes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16: 10-21. 

  5. Choi, M.B. 2003. Selection of tolerant tree species to salt and sea win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south of western sea areas of 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7(3): 57-66. 

  6. Hanson, B., Grattan, S.R., and Fulton, A. 1993. Agricultural salinity and drainage. A handbook for water managers.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California, USA. 

  7.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2006. Native Plants in Saemangeum Watershed.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pp. 156. 

  8. Kim, D.G. 2010a. Soil salinity and salt spray drift tolerance of native trees on the coastal windbreaks in the South Sea, Ko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4: 14-25. 

  9. Kim, D.G. 2010b. Native tree species of tolerance to saline soil and salt spray drift at the coastal forests in the West Sea, Ko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Ecology 24: 209-221. 

  10. Kim, K.N. 2014. A study on ecological tree planting model in the coastal reclaimed land: Focused on the native plants selection in a southern coastal area facing the western sea. Sangji University Ph.D. Thesis, Dept of Applied Plant Sciences. Dec. 2014. Korea. pp. 118. 

  11.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5.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currentweather.jsp. 

  12. Kwon, J.O. and Han, I.C. 2009.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species on the Incheon reclaimed land.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Report 2009-42, Korea. pp. 88. 

  13. Lee, K.J. 2015. Arbor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446. 

  14. Lee, K.J. and Lee, S.J. 2013. Landscape Tree Management Technique. 2nd edi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Korea. pp. 459. 

  15. Lee, K.J., Yoo, S.H., Park, S.W., Lee, S.J., Suriyapananont, V., and Namuco, L.O. 2008. Effects of 2004-Tsunami on the changes from 2005 to 2006 in salinity of soil profiles and groundwater wells and on mortality of garden fruit trees in Maldives.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4: 14-27.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A study on the ecological network establishment in Saemangeum. Ministry of Environment. pp. 231. 

  17. Miyamoto, S., Martines, I., Padilla, M., and Portillo, A. 2004. Landscape Plant Lists for Salt Tolerance Assessment. Texas A & M University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Center at El Paso, and Texas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David Ornelas, El Paso Water Utilities. http://plantanswers.com/Landscape_Plants_List_for_salt_Tolerance_Assessment. pdf. 

  18. Morton Arboritum. 2015. ttp://www.mortonarb.org/tree-plantadvice/ article/845/salt-tolerant-trees-and-shrbus.html 

  19.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2015. home page. http:// www.nics.go.kr 

  20. Park, P.S. 2007. A consultation Report on tree planting and species selection for Taean Industrial City construction. Dept. of Forest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45. 

  21. The State of Queensland. 2011. Salinity management handbook. Second edition.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Resource Management, The State of Queensland, Brisbane, Australia. pp. 172. 

  22. Wu, L. and Dodge, L. 2005. Landscape Plant Salt Tolerance Selection Guide for Recycled Water Irrigation. A Special Report for the Elevenia J. Slosson Endowment Fund,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article, pp. 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