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산림풍경 유형의 선호도 및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for the Beautiful Forest Scenery type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4, 2015년, pp.685 - 696  

이연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박찬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하시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풍경사진을 모집단으로 분류한 22개의 아름다운 산림풍경 유형을 유형별 사진의 매수 비율과 인문자원 유형의 제외 등을 통해 선발한 10개의 풍경유형에 대한 선호경향 도출과 이미지 분석을 위해 실시되었다. 풍경유형의 선호도 평가는 편차치(Z척도)와 일대비교법을 사용하였고, 풍경유형의 이미지 분석은 SD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차치와 일대비교법에 의한 풍경유형의 선호도 평가 결과, 각 풍경유형의 요소 및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평가 결과의 일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임내풍경, 계곡과 바위와 같은 풍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능선 풍경, 기암봉우리의 암릉, 폭포와 절벽 풍경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고사목 군락의 풍경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둘째, SD법에 의한 풍경유형의 이미지 평가 결과, 요인 1 '신비로운 매력', 요인 2 '화려한 색감', 요인 3 '생동감 다양함'으로 구분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풍경유형의 분포를 살펴보면 '신비로운 매력'의 이미지는 능선 풍경으로부터, '화려한 색감'의 이미지는 색으로 표현되는 계절감으로부터, '생동감 다양함'의 이미지는 물과 단풍, 기암봉우리의 동적이고 다양한 변화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visual preference and image for 10 types of forest sceneries which have own distinct characteristics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among 22 types of beautiful forest sceneries based on Korea National Parks. Z scale and paired comparison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에 산림의 임분 단위에서 조림, 육림 등 인위적 조절의 산림시업에 따른 산림풍경 변화에 대한 시각적 평가 연구는 다수 진행된 바 있으나, 산림풍경의 시각적 특성에 따른 유형과 그에 대한 선호 및 이미지 인식 구명은 연구적 시도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자원의 경관적 가치가 크게 높아지는 상황에서 한국의 산림풍경을 대표한다고 여겨지는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산림풍경을 대상으로 시각적 특성에 따른 풍경유형별 선호인식과 이미지 지각 특성을 구명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산림풍경자원 조사 및 관리계획의 기초자료로써 사용됨에 따라 국가적 고유의 산림풍경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적 함의를 가진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자원의 경관적 가치가 크게 높아지는 상황에서 한국의 산림풍경을 대표한다고 여겨지는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산림풍경을 대상으로 시각적 특성에 따른 풍경유형별 선호인식과 이미지 지각 특성을 구명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산림풍경자원 조사 및 관리계획의 기초자료로써 사용됨에 따라 국가적 고유의 산림풍경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적 함의를 가진다.
  • 또한 도출된 선호도와 이미지 평가의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상호연관관계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연구를 통해 대중이 아름답다고 인식하는 산림풍경의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산림경관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풍경사진을 모집단으로 분류한 22개의 아름다운 산림풍경 유형을 유형별 사진의 매수 비율과 인문자원 유형의 제외 등을 통해 선발한 10개의 풍경유형에 대한 선호경향 도출과 이미지 분석을 위해 실시되었다. 풍경유형의 선호도 평가는 편차치(Z척도)와 일대비교법을 사용하였고, 풍경유형의 이미지 분석은 SD법을 사용하였다.
  • 그 중 의미가 중복되거나 난해한 것, 형용사 쌍이 명확히 대비되지 않는 것,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산림풍경에서 연상 또는 평가되기 어려운 어휘 등을 제외하여 총 27쌍의 형용사 쌍을 선정하여 조사에 사용하였다(Table 3). 선정된 형용사 쌍은 매조 사지마다 무작위 순서로 기재하여 선행 평가의 기준이나 조건이 후속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이월효과(carryover effect)를 배제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는 한국의 아름다운 산림 풍경 유형에 대한 선호도 및 이미지 평가 조사를 통해 대중에게 아름다움을 자극하는 산림풍경의 요소가 무엇인 지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경관에 대한 평가는 개인의 특성에 기인하는 주관적 평가로 판단의 근거를 정확히 추론하기 어려운 점은 있으나, 대중이 어떠한 요인에 영향을 받아 선호를 나타내는지 일반적인 경향은 확인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관리의 패러다임은 어떻게 전환되고 있는가? 2007년에 ‘경관법’이 제정되고 국가의 정책 기조와 국민적 요구의 키워드로 ‘경관’이 급속히 부각되면서 도시 계획, 농업, 문화재,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관적 고려가 중요시 되고 있다. 산림분야 역시 산림관리의 패러다임이 ‘양적녹화의 확대’에서 ‘경관적(질적) 산림관리’로 전환되어 국가의 품격을 높이고, 국민 누구나 아름답고 건강한 산림경관을 누리도록 하는 산림경관 관리와 형성의 시급성이 확대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2). 더욱이 우리나라는 산림이 전 국토면적의 64%를 차지하고, 국민의 산림휴양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 에서 산림이 국가 경관의 시각적 관리에 있어서 핵심요소가 됨은 자명하다.
우리나라에서 산림이 국가 경관의 시각적 관리에 있어서 핵심요소가 될 수 있는 배경상황은? 산림분야 역시 산림관리의 패러다임이 ‘양적녹화의 확대’에서 ‘경관적(질적) 산림관리’로 전환되어 국가의 품격을 높이고, 국민 누구나 아름답고 건강한 산림경관을 누리도록 하는 산림경관 관리와 형성의 시급성이 확대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2). 더욱이 우리나라는 산림이 전 국토면적의 64%를 차지하고, 국민의 산림휴양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 에서 산림이 국가 경관의 시각적 관리에 있어서 핵심요소가 됨은 자명하다.
어떠한 경관이 사람에게 좋은 감정을 일으키고 웰빙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까닭은? 경관의 시각적 질 향상은 경관 인식 및 선호도 관련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된다. 경관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해석은 경관관리와 관련하여 많은 응용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경관은 개발정책, 토지이용 변화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계획은 이러한 변화로 인한 인간의 반응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어떠한 경관이 사람에게 좋은 감정을 일으키고 웰빙을 향상시키는지, 반면 어떠한 경관적 자극이 부정적인 감정과 피드백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Karjalainen and Tyrväine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rthur, L.M. 1977. Predicting Scenic Beauty of Forest Environment : some empirical tests. Forest Science 23(2): 151-160. 

  2. Choi, K.S. 2004. Wisdom and Life from Na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2(4) : 133-138. 

  3. Daniel, T.C. and Boster, R.S. 1976. Measuring Landscape Esthetics: The Scenic Beauty Estimation Method. USDA Forest Service. USA. pp. 66. 

  4. Hong, K.A. 2003. Effect of Fiber Cross-sectional Type on the Aesthetic Properties od Woven Fabrics. Ph. 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5. Im, S.B. 1987. A Study o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Perceived Visual Quality: Test of the SBE Method.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5(2): 91-100. 

  6. Karjalainen, E. and Tyrvainen, L. 2002. Visualization in Forest Landscape Preference Research: a Finnish Perspectiv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9: 13-28. 

  7. Kim, E.I., Baek, J.S. and Seo, S.C. 1998. Comparison of Sight-psychological Effect of Open and Closed Landscape on Open Spaces. Korea Society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1): 88-95. 

  8. Korea Forest Service 2012. A Practical Guideling for Korean Forest Landscape in Planning and Design.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pp. 926. 

  9. Laumann, K., Garling, T., and Stormark, K.M. 2001. Rating Scale Measures of Restorative Components of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 31-44. 

  10. Lohr, V.I. and Pearson-Mims, C.H. 2006. Responses to scenes with spreading, rounded, and conical tree forms. Environment and Behavior 38: 667-688. 

  11. Lee, C.H. 2001.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Product Design: with emphasis on the design decision-making in the organization.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12. Lee, J.H., Shin, W.S., Yeon, P.S., and Yoo, R.H. 2009. The Influence of Forest Scenes 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he Korean Forest Society 98(1): 88-93. 

  13. Lee, S.H. 2006. Emotion-Improving Effects of the Index of Greenness Focusing on Fascination Model and Restorative Environment Model.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14. Lee, Y.H., Park, C.W., and Kim, J.J. 2013.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eautiful Forest Scenery in Korea.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7): 55-70. 

  15. Lee, Y.H., Park, C.W., and Kim, J.J. 2014. Effects of Visual Stimulus with Forest Scenery Types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atus of Human. Korean Society for Peopel, Plants and Environment 17(1): 65-71. 

  16. Min, B.C. 2010. Application of Human Ergonomics. Kyobomungo. Seoul. pp. 357. 

  17. Osgood, C.E., Suci, G.J., and Tannenbaum, P.H.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niversity of Illinois. USA. pp. 342. 

  18. Park, C.W. 1993.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nside of Forest Scenery of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 Ph. D. Dissertation. Niigata University. 

  19. Song, J.J. 2012.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AMOS. 21seagisa. Gyeonggi-do. pp. 472. 

  20. Ulrich, R.S. 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4647): 420-421. 

  21. Ulrika, A. and Grahn, P. 2004. A Garden at Your Workplace May Reduce Stress. In: Dilani, A, ed. Design and Health III: Health Promo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Centre for Design and health. Sweden. pp. 147-1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