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연처리 목재의 연소특성 분석(I)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s Treated Wood (I)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1, 2015년, pp.96 - 103  

손동원 (국립산림과학원) ,  강미란 (국립산림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목재에 난연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난연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그 난연제를 처리한 목재의 난연성능을 평가함에 있다. 난연제 조성물은 단독 혹은 혼합하여 소나무에 처리한 후 열분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처리된 시료의 연소특성 분석에는 TGA와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였다. 시험결과, 단독약제에 의한 TGA의 열적 거동은 목재에 처리 시 Char의 형성 및 연소 지연 등으로 표현되어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소특성은 이후 약제의 혼합에 의한 조성물의 난연성능의 발현에 영향을 미쳤다. 혼합약제의 목재 처리 후 콘칼로리미터에 의한 열특성 분석에서는 처리농도 및 처리량에 따라서 열방출률총열방출량에 영향이 있었다. 난연제 조성물 중 FR1, FR2는 건축법 난연 3급을 만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woods by fire retardants which are prepared by several borate and phosphate compound solutions.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for flame retardant treated wood were carried out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o meas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난연제 조성을 위한 단독약제의 연소성능을 분석하고 배합비율에 따른 난연약제를 처리한 목재에 대한 난연성능을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용성 난연제의 장점은 무엇인가? 수용성 난연제의 장점은 난연제의 성분이 무기질로 물에 용제로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유독가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적정량을 물과 혼합하기 때문에 침지, 도포, 페인트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물에 용해시켜 난연효과를 시도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면과 가격적인 면에서 다른 난연제에 비해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
목재를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하지만 여전히 목재 사용자들에게 있어 가장 큰 우려는 화재에 대한 안전 부분이다. 목재를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목재의 연소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화재위험성 평가 및 소방설계 자료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직접적인 방법은 소방법 및 건축법에서 명시한 기준 이상의 난연처리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난연제 7종의 열중량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1) TGA분석에서 최고 온도 피크에서 Phosphoricacid가 가장 낮아 159℃이었다 난연처리한 목재는 무처리 목재에 비하여 낮은 온도에서의 열분해 촉진으로 인하여 숯(Char)를 형성하여2차적 산화과정을 억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i, K.S., Woo, S.I., Chung, I.J. 1987. A Study on the Pyrolysis of Wood by Infrared Spectroscopy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HWAHAK KONGHAK 25(6) : 563-569. 

  2. Choi, J.M. 2011.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9(3) : 244-252. 

  3. Grexa, O., Lubke, H. 2001. Flammability parameters of wood tested on a cone calorimeter.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74(3): 427-432. 

  4. Jeong, Y.J., Jin, E. 2010. Combustion Properties of the Quercus variabilis and Zelkova serrata Dried at Room Temperature(II).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1(4): 469-474. 

  5. Jiang, J., Li, J., Hu, J., Fan, D. 2010. Effect of nitrogen phosphorus flame retardants on thermal degradation of wood.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4: 2633-2637. 

  6. KS F ISO 5660-1. Reaction to fire test -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 Part 1 : Heat release rate(Cone calorimeter method). 

  7. Levan, S.h. 1984. "Chemistry of fire retardancy", in Rowell, R(ed.). The chemistry of solid wood, Washington D. C., American Chemical Society, pp. 531-574. 

  8. Park, H.J. 2007. A Study on the Building Rate of Fire Retardant Treated Wo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2(6): 46-54. 

  9. Park, H.J., Kang, Y.G., Kim, H. 2005.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Wood.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3(4): 38-44. 

  10. Son, D.W., Kang, S.G. 2014. Combustion Properties of Woods for Indoor Use(I). Journal of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6): 675-6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