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epG2 세포의 포스포리파제 D 활성과 자유 지방산 방출에 대한 디프테리아 독소의 영향
Effect of Diphtheria Toxin on the Phospholipase D activity and Free Fatty Acid Release in HepG2 Cells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9 no.1, 2015년, pp.22 - 30  

고은희 (덕성여자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막의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D와 유리된 지방산(Free fatty acid)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질변화는 pH 5.1에서 최고 값을 나타냈으며, 이 pH에서 포스포리파아제 D의 활성을 3.5배 가량, 유리된 지방산의 방출은 5배 정도 증가되었다. 이는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세포막이 교란되어 재배열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세포막을 무작위로 교란시키는 디지토닌의 영향이 디프테리아 독소의 그것보다 중성 pH에서 4배 이상 상당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디프테리아 독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선택적인 교란 현상인 것으로 보여진다. 이런 세포막 교란의 연유를 밝히고자 세포막 구멍 형성 저해제인 cibacron blue와 세포막 융합 펩티드를 갖고 있는 hemagglutinin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Cibacron blue는 디프테리아 독소에 의한 지질 변화를 50% 정도 저해시켰으며, hemagglutinin에 의한 지질변화는 디프테리아 독소의 그것과 유사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들은 디프테리아 독소에 의한 세포막 교란이 구멍형성과 독소의 소수성 펩티드가 세포막에 삽입되는 과정이 서로 연계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그 외 일련의 실험으로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HepG2 세포의 투과성은 상승시켰으나, 세포의 생존능력은 상당히 높게 유지되었고 DNA 토막내기 같은 세포의 괴사는 일어나지 않았다. 이런 조건하에서 디프테리아 독소는 산성 pH에서 HepG2 세포의 지질의 변화를 가져 온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diphtheria toxin on cell membrane lipids was studied by examining the phospholipase D (PLD) activity and free fatty acids (FFA) release in HepG2 cells. The diphtheria toxin effects on lipid alteration show apparently maximal at pH 5.1, stimulating PLD activity nearly 3.5 fold and enh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런 세포막 현상과 관련된 단백질 연구는 활발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데 반하여 세포막 지질 측면의 연구는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1,2 본 연구 에서는 막 함입에 의한 세포막의 물리적 변화가 비교적잘 알려진 디프테리아 독소(diphtheria toxin)을 이용하여, HepG2 세포에서 이 독소에 의한 세포막 교란이 어떻게 포스포리파제 D(PLD)의 활성과 자유 지방산(FFA) 방출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 HepG2 세포의 생존능력(viability)에 대한 diphtheria 독소의 영향을 보기 위해 세포에 대한 독성여부와 DNA 토막내기 효과를 조사하였다. Diphtheria 독소의 독성 검토는 MTT 에세이로 검토하였다(Fig.
  • 세포막 지질의 변화는 막 함입(endocytosis)이나 분화(differentiation) 같이 세포막이 합치거나 나뉠 때 일어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세포막 통과 과정이 비교적 상세하게 알려진 diphtheria toxin을 가지고, 이 독소가 HepG2 세포와 상호작용할 때 어떻게 세포막 지질이 변화하는 지를 관찰하였다. Diphtheria toxin이 세포 내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막 함입에 의해 생긴 endosome의 pH가산성인 것을 감안하여 pH에 따른 지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유리된 지방산(free fatty acids, FFA)은 활성화된 phospholipase A2에 의해 생성되며, 그 때 얻어진 lysophosphatidylcholine은 역쇄기 모양으로 세포막의 곡선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 실험에 서는 PLD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FFA의 방출도 함께 검토 하였다.
  • 17 이는 소수성 펩티드가 세포막에 삽입되어 세포막을 교란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HA의 영향을 HepG2에서 검토하였다. 실험 조건은 HepG2 세포에 5 µg/mL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A를 처리하고 37ºC에서 30분간 배양하였다(Fig.
  • 즉 diphtheria 독소의 세포막 관통 T 구역의 소수성 펩티드가 세포막에 삽입되어 일어나는 현상이거나, 또는 diphtheria 독소에 의해 세포막에 구멍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인지 분명하지가 않다. 이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구멍형성 저해제인 cibacron blue 존재 하에서 HepG2 세포막의 지질변화를 관찰하였다. Cibacron blue는 세포막 구멍형성을 막아주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스포리파제 D는 어떤 현상과 연계되어 다양한 역할을 하는가? 포스포리파제 D(phospholipase D, PLD)는 생물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 역할은 다양하여 성장 제어(growth control), 유사분열(mitosis), 분화(differentiation), 세포골격 개조(cytoskeletal reorganization), 세포막 운송(membrane trafficking), 세포괴사(apoptosis) 등의 현상과 연계되어 있다.6 이들 현상들은 모두 그 과정에서 세포막의 융합이나 교란 같은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디프테리아 독소의 특징은 무엇인가? 디프테리아 독소는 Corynebacterium diphtheria에서 얻어지며, 분자량이 58 kDa의 폴리펩티드로 그 결정구조가 밝혀져 있고,3 전위(translocation) 과정도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4,5 이 독소 단백질은 가수분해로 두 개의 상이한 조각 A와 B로 나뉘어진다. 조각 A(21 kDa)는 감염된 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저해시키는 촉매 구역을 가지고 있으며, 조각 B(37 kDa)는 세포막에 작용하여 조각 A를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정 구조에서 조각 B는 구조와 기능면에서 두 개의 구역, 즉 수용체 결합 R 구역(R domain)과 세포막 관통 T 구역(T domain)으로 구분할 수 있다.3 디프테리아 독소는 수용체를 중개로 하여 막 함입에 의해 엔도좀(endosome)을 형성한다.
포스포리파제 D와 연계된 현상들은 어떤 공통점이 있는가? 포스포리파제 D(phospholipase D, PLD)는 생물계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그 역할은 다양하여 성장 제어(growth control), 유사분열(mitosis), 분화(differentiation), 세포골격 개조(cytoskeletal reorganization), 세포막 운송(membrane trafficking), 세포괴사(apoptosis) 등의 현상과 연계되어 있다.6 이들 현상들은 모두 그 과정에서 세포막의 융합이나 교란 같은 변화를 수반하고 있다. PLD의 이런 역할들은 반응생성물인 phosphatidic acid(PA) 자체가 신호 분자 역할을 함은 물론, 그 구조가 세포막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켜 세포막의 모양을 바꿀 수 있다는 데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Echert, D. M.; Kim, P. S. Annu. Rev. Biochem. 2001, 70, 777. 

  2. Jia, X.; Chen, F.; Pan, W.; Yu, R.; Tian, S.; Han, G.; Fang, H.; Wang , S.; Xhao, J.; Li, X.; Zheng, D.; Tao, S.; Liao, W.; Han, X.; Han, L. Micro. Infect. 2014, 16, 491. 

  3. Choe, S.; Bennette, M.J.; Fujii, G.; Curmi, P. M. G.; Kandtardijieff, K. A.; Collier, R. J.; Eisenberg, D. Nature 1992, 357, 216. 

  4. Umata, T.; Mekada, E. J. Biol. Chem. 1998, 273, 8351. 

  5. Rodnin, M. V.; Kyrychenko, A.; Kienker, P.; Sharma, O.; Posokhov, Y. O.; Collier, R. J.; Finkelstein, A.; Ladokhin, A. S. J. Mol. Biol. 2010, 402, 1. 

  6. Exton, J. H. Physiol. Rev. 1997, 77, 303. 

  7. Pleskot, R.; Li, J.; Zarsky, V.; Potocky, M.; Staiger, C. J. Trend. Plant Science 2013, 18, 496. 

  8. Marguerite, V.; Gkikopulou, E.; Alberto, J.-M.; Gueant, J.-L.; Merten, M. Inter. J. Biochem. Cell Biol. 2013, 45, 213. 

  9. Lee, S. Y.; Park, H. S.; Lee, S. J.; Choi, M. U. Arch. Biochem. Biophys. 2001, 389, 57. 

  10. Park, H. S.; Lee, S. Y.; Kim, Y. H.; Kim, J. Y.; Lee, S. J.; Choi, M-U. Biochem. Biophys. Acta. 2000, 1484, 121. 

  11. Koh, E.-H. J. Korean Chem. Soc. 2005, 49, 473. 

  12. Moskang, J. Q.; Stenmark, H.; Siur, O. J. Biol. Chem. 1991, 266, 2652. 

  13. Jung, K.; Koh, E.-H.; Choi, M. U. Bull. Korean Chem. Soc. 1989, 10, 585. 

  14. Lee, S. Y.; Park, N. G.; Choi, M. U. FEBS letters 1998, 432, 50. 

  15. Chenal, A.; Prongidi-Fix, L.; Perier, A.; Aisenbrey, C.; Vernier, G.; Lambotte, S.; Fragneto, G.; Bechinger, B.; Gillet, D.; Forge, V.; Ferrand, M. J. Mol. Biol. 2009, 391, 872. 

  16. Sharpe, J. C.; Kachel, K.; London, E. J. Membrane Biol. 1999, 171, 223. 

  17. Ramalho-Santos, J.; Maria, C.; De Lima, P. Biochem. Biophys. Acta. 1998, 1376, 147. 

  18. Sharpe, J. C.; London, E. J. Membrane Biol. 1999, 171, 209. 

  19. Khramtsov, Y. V.; Rokitskaya, T. I.; Rosenkranz, A. A.; Trusov, G. A.; Gnuchev, N. V.; Antonenko, Y. N.; Sobolev, A. S. J. Control. Release 2008, 128, 241. 

  20. Man, P.; Montagner, C.; Vitrac, H.; Kavan, D.; Pichard, S.; Gillet, D.; Forest, E.; Forge, V. J. Mol. Biol. 2011, 414, 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