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자원시설 건설공사 표준공기 산정을 위한 기초연구
A Study on Normal Project Duration for Water Resource Project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6 no.1, 2015년, pp.35 - 43  

이봉수 (한국수자원공사) ,  김기남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민재 (충남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사회기반시설 건설공사의 성공적인 완수와 고품질의 목적물 확보를 위해서는 적정한 설계기간과 공사기간의 반영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최근 4대강사업과 관련된 감사원 지적사례와 같이 적정공기의 미확보로 인한 기반시설물 의 품질문제가 다수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댐 시설물의 공사기간은 합리적인 산정기준에 따라 계산되어야 하며 이는 오랜 기간 사용될 시설의 시공품질과 추후 유지관리와 관련된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명확한 산정기준이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사회기반시설물의 적정공기 산정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하여 운용중인 기준은 없으며, 일부 공공기관(LH공사 등)에서 건축, 단지분야 위주로 공사기간 산정기준을 수립하여 자체 활용중이나, 댐과 같은 수자원시설물에 대한 공기 산정기준은 없어 그동안의 경험에 기초해서 공기를 산정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정성 검토를 위한 기준이 없는 상태이다. 유일한 정부기준은 1974년 건설부에서 건설공사공기 표준화방안을 마련하면서 도로, 댐, 교량, 철도, 건축 분야에 대한 기준제시 사례가 있으나, 현재는 사용할 수 없는 유명무실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수자원시설의 건설공사의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건설공사 규모와 실 공사기간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여 회귀분석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수자원건설공사의 적정공기 산정을 위한 기초체계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have enough design and construction duration for infrastructure projects. However, recent water resource project in Korea shows several problems caused by their fast-tract schedule. National Audit Committee report several water resource projects have quality problems caused by i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자원시설의 주요사업인 댐, 수도사업의 표준공기산정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이며, 댐 사업의 경우 기 시행된 17건의 실적자료를 분석하였고, 댐 형식별 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공사규모(댐 체적)와 공사기간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댐 건설공사 표준공기 추정모델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수자원시설들의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수자원시설의 종류와 규모별로 실 공사기간을 추정할 수 있는 분석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수자원시설 건설공사의 적정공기 산정을 위한 기초체계를 제시하려 한다. 이를 위한 기존연구 및 문헌조사는 다음과 같다.
  • 기존 문헌과 연구를 검토한 결과 개발된 표준공기 산정식들은 주로 건축공사에 활용 가능한 식들로 본 연구의 대상인 수자원시설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토목공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 수행된 수자원시설 건설공사의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표준공기(적정공기) 산정 모델을 개발하려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수자원시설인 댐과 수도시설건설공사의 실적자료를 바탕으로 건설공사 규모와 실 공사기간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 기법으로 분석하여 회귀분석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수자원건설공사의 적정공기 산정을 위한 기초체계를 제시하려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준공기에서 Normal Project 란? 미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과거 수행한 유사 사업의 실적공정표(Historical data)를 근간으로 해당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표준공기를 산정한다. 이 경우 표준공기를 “Normal Project Duration”으로 표현하는데 여기서 “Normal Project”란 잘 관리되어 완공된 프로젝트로 극단적인 날씨, 설계변경, 사고 등의 외부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미국의 경우 어떻게 사업별 표준공기를 산정하는가? 미국의 경우 일반적으로 과거 수행한 유사 사업의 실적공정표(Historical data)를 근간으로 해당사업의 특성을 반영한 표준공기를 산정한다. 이 경우 표준공기를 “Normal Project Duration”으로 표현하는데 여기서 “Normal Project”란 잘 관리되어 완공된 프로젝트로 극단적인 날씨, 설계변경, 사고 등의 외부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은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수자원건설공사의 적정공기 산정을 위한 기초체계를 제시하려는 이유는? 사회기반시설물의 적정공기 산정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표준화하여 운용중인 기준은 없으며, 일부 공공기관(LH공사 등)에서 건축, 단지분야 위주로 공사기간 산정기준을 수립하여 자체 활용중이나, 댐과 같은 수자원시설물에 대한 공기 산정기준은 없어 그동안의 경험에 기초해서 공기를 산정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정성 검토를 위한 기준이 없는 상태이다. 유일한 정부기준은 1974년 건설부에서 건설공사공기 표준화방안을 마련하면서 도로, 댐, 교량, 철도, 건축 분야에 대한 기준제시 사례가 있으나, 이는 당시의 예산편성과 집행을 위한 자료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사용할 수 없는 유명무실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bouRizk, Halpin (1992). "Statistical properties of construction duration dat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18(3), pp. 525-544. 

  2. Ahuja, Nandakumar (1985). "Simulation model to forecast project completion tim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11(4), pp. 325-342. 

  3. Akinsola A.O, Potts K.F, Ndekugri I, and Harris FC (1997).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factors influencing variations on building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5(4), pp. 263-267. 

  4. Han, Tae-Gon and Kim, Young-su (2000). "An Estimation Method of Activity Duration Using Fuzzy Set Theory",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6(3). pp. 93-102. 

  5. Hwang, Hyo-Sang (2002). "Analysis of Actual Duration by Effecting Elements to Duration Estimate-Focused on Standard Duration of the Office Building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3(3), pp. 84-93. 

  6. Jeong, Suk-Nam and Lee, Hak-ki (2000). "a preliminary study on the effective decision-making support model for duration by the hypothetical weather simulatio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2), pp. 587-590. 

  7. Korea Institui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1992). "Study on the estimation standard of construction duration" 

  8. Kim, Byeong-soo and Chun, Jin-Ku (2005). "A Study on Estimation Model of Construction Duration for Public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6(6), pp. 142-151. 

  9. Kim, Sang-joong and Lee, Jae-Soeb (2004). "An Optimal Scheduling Method Using Probability on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5(6), pp. 72-79. 

  10. Koo, Hae-Shik and Choi, Bong-CHUL (1999).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Period Considering Weather Factor in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11), pp. 87-96. 

  11. Kwon, Dong-Chan and Lee, Chan-Shik (2004).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Duration for High School Buildings Based on the Actual Data",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5(6), pp. 138-145. 

  12. Lee, Chan-Shik (1996). "Estimation Method for Construction Duration in the Frame Work of Reinforced Concrete Wall-Slab Type Apartments", KSCE of Civil Engineering, 12(7), pp 349-364. 

  13. Lee, D.E. (2005). "Probability of project completion using stochastic project scheduling simula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31(3), pp. 310-318. 

  14. Lee, Hyun-soo (1996). "A Method of Estimating the Construction Duration based on Rdpetitive Work Modules for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5), pp. 257-266. 

  15. Lee, Sang-Beom (2001). "A Study on the Optimal Duration Estimating Method by Line of Balance",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7(9), pp. 233-240. 

  16. Schexnayder, C., Knutson, K. and Fente, J (2005). "Describing a beta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for construction simula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31(2), pp. 221-2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